제1장 한국에서의 양명학 연구성과의 회고와 전망
1. 논의 대상 및 범위
2. 근대 이후 양명학 관련 연구의 회고 1) 한국 양명학 연구
2) 중국 양명학 연구
3) 일본의 양명학
4) 동아시아의 양명학
3. 한국의 양명학 연구에 대한 전망
제2장 양명학의 현대적 흐름
1. 머리말
2. {국제양명학경도회의}에서 새롭게 떠오른 주제
- 양명학과 지구환경, 환경윤리의 모색
3. 지금, 왜 양명학인가?
1) 한 일본 경제학자의 양명학 심취
2) 양명학 중시의 몇 가지 이유
4. 맺는말
제3장 共生의 원리로서의 心
- 陽明 心學에 대한 한 접근
1. 머리말
2. 왕양명 \\'心\\' 해석과 관련한 문제들
3. 일체적 세계관의 확립: \\'與\\'에서 \\'卽\\'으로
4. 心, 良知, 靈明: 공동존재의 근거
5. 共生의 圖式: 사랑의 그물 짜기(萬物一體의 仁)
6. 맺음말
제4장 童心의 탐구: 李贄의 童心說
1. 머리말 - 李贄 읽기의 의미
2. 이지와 양명학
3. \\'童心\\'이란 말, 이지의 童心論
4. \\'童心\\'에서 \\'私\\', \\'私欲\\' 긍정으로
5. 맺음말 - 李贄가 남긴 것 -
제5장 王陽明 心學에서 兒童敎育論의 특질
1. 왕양명의 \\'학교\\'와 \\'교육\\'에 대한 문제제기
2. 양명학에서 \\'교육\\'의 문제는 과연 주변적이었나?
3. 왕양명의 아동교육론
1) 능력에 따른 德性교육
2) \\'아동교육\\'의 방법론
(1) [訓蒙大意示敎讀劉伯頌等]
(2) [敎約]
4. 왕양명의 아동교육론의 특질과 그 현대적 의미
제6장 體認之學의 현대적 가능성: 양명학 다시 읽기
- \\'온몸으로 하는 철학\\' 試論
1. 지금 왜 體認之學인가?
2. 온몸으로 부딪히기
3. \\'늪\\'의 사고 - 全方位的 共生的 사고의 모델
4. 대중의 지평에 선 철학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