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총서 > 인문과학연구총서

이두의 역사적 연구

지은이서종학

쪽 수282면

판 형신국판

I S B N89-7581-034-8

판매가0원

책소개

본서는 차자표기 자료 중 이두를 역사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관공서나 사찰 등의 실용문에 사용되었는데 여기서는 고려시대까지의 이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이두의 완성이 고려후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본서에서는 이두 자료 중 문법 形態의 표기에 사용된 借字들의 분포를 밝히고 각 차자의 기능을 구명함으로써 차자와 그것이 의미하는 기능이 어떻게 변천하였는가를 고찰하였다

 

차례

제1부 이두의 문법형태에 대한 역사적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사 개관
1.3 연구 방법
1.4 연구 대상

2. 借字의 분포
2.1 분포의 개념
2.2 借字별 분포
2.3 분포와 자료 판독
2.4 요약

3. 助詞
3.1 格助詞
3.2 補助詞
3.3 요약

4. 繫辭와 語尾
4.1 繫辭
4.2 先語末語尾
4.3 語末語尾
4.4 요약

5. 接辭
5.1 派生接辭
5.2 복수접미사 : 等, 徒
5.3 요약

6. 指定文字

7. 결론
7.1 이두 자료의 시기 구분
7.2 요약
7.3 남은 문제

제2부 借字의 기능에 대한 고찰
1. 借字 ‘有’와 ‘在’
2. 借字 ‘在’의 의미와 기원
3. 指定文字와 借字 ‘內’

 

책속으로

 

저자소개

1951년 대구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박사 과정 수료
문학박사
울상대학교 조교수
일본 사전외어대학 한국어학과 招聘교수
현재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국립국어연구원 어문규범연구부장

 

서평

책소개

본서는 차자표기 자료 중 이두를 역사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관공서나 사찰 등의 실용문에 사용되었는데 여기서는 고려시대까지의 이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이두의 완성이 고려후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본서에서는 이두 자료 중 문법 形態의 표기에 사용된 借字들의 분포를 밝히고 각 차자의 기능을 구명함으로써 차자와 그것이 의미하는 기능이 어떻게 변천하였는가를 고찰하였다

 

차례

제1부 이두의 문법형태에 대한 역사적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사 개관
1.3 연구 방법
1.4 연구 대상

2. 借字의 분포
2.1 분포의 개념
2.2 借字별 분포
2.3 분포와 자료 판독
2.4 요약

3. 助詞
3.1 格助詞
3.2 補助詞
3.3 요약

4. 繫辭와 語尾
4.1 繫辭
4.2 先語末語尾
4.3 語末語尾
4.4 요약

5. 接辭
5.1 派生接辭
5.2 복수접미사 : 等, 徒
5.3 요약

6. 指定文字

7. 결론
7.1 이두 자료의 시기 구분
7.2 요약
7.3 남은 문제

제2부 借字의 기능에 대한 고찰
1. 借字 ‘有’와 ‘在’
2. 借字 ‘在’의 의미와 기원
3. 指定文字와 借字 ‘內’

 

책속으로

 

저자소개

1951년 대구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박사 과정 수료
문학박사
울상대학교 조교수
일본 사전외어대학 한국어학과 招聘교수
현재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국립국어연구원 어문규범연구부장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