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총서 > 민족문화연구총서

울릉도 독도 동해안 어민의 생존전략과 적응

지은이민족문화연구소 편

쪽 수437면

판 형신국판

I S B N89-7581-176-0 94330

판매가0원

책소개

한국사회의 기층문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는 그 동안 인류학·사회학·민속학 등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농업을 주로 하는 내륙의 농촌사회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어촌사회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한 실정이었다. 그나마 어촌사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서해와 남해의 도서 해안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울릉도나 동해안 지역의 어민들에 대한 연구는 극히 희소하였다. 따라서 환태평양시대를 맞이하여 해양진출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기왕에 축적된 서남해안지역에 대한 연구성과와 비교분석을 위해서도 긴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모두 여섯 개의 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어촌마을의 인구이동과 친족생활, 어촌의 협동체계의 변화, 어촌 사회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정치적 과정, 관광이 동해안 어촌지역 주민들에 미치는 영향, 동해안의 네 개 어촌마을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또한 울릉도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울릉도 한 어촌가족의 구조화과정과 적응전략은 울릉도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각 분야의 연구들은 각기 독립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어민들의 생존전략과 적응이라는 하나의 큰 틀에 수렴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공동연구에서는 흔히 하나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각 연구자들이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책은 각 연구자들이 맡은 주제에 적합한 연구대상자를 각자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서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울릉도와 동해안의 여러 지역에 대한 종합연구로서의 의미를 한층 충실하게 담을 수있었다. 나아가 이 책은 어촌 마을의 사회구조와 어민들의 생활양식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에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차례

동해안 어촌만을의 인구이동과 친족생활: 이창기
Ⅰ. 서론 : 연구의 목적과 방법
Ⅱ. 조사대상 마을의 개황
Ⅲ. 인구이동
Ⅳ. 문중활동
Ⅴ. 제사분할
Ⅵ. 지역적 통혼권

어촌의 협동체계의 변화: 여중철
Ⅰ. 서론
Ⅱ. 가족단위 협동체계의 변화
Ⅲ. 사회집단 단위 협동체계의 변화
Ⅳ. 마을단위 협동체계의 변화
Ⅴ. 결론

어촌사회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정치적 과정: 유명기
Ⅰ. 머리말
Ⅱ. 조사지의 일반 배경
III. 마을의 사회경제적 변화
IV. 사회관계와 정치적 과정의 변화
Ⅳ. 요약과 결론

관광이 동해안 어촌지역 주민에 미치는 영향: 이황언
Ⅰ. 머리말
Ⅱ. 조사지역 개관
Ⅲ. G마을의 사회문화적 특성
Ⅳ. 관광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화
Ⅵ. 맺음말

울릉도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김태원
I. 머리말
II. 연구범위 및 방법
III. 울릉도의 인문·자연환경
IV. 울릉도 연혁
V. 울릉도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VI. 맺음말

울릉도 한 어촌가족의 구조화과정과 적응전략: 박성용
Ⅰ. 연구목적과 문제제기
Ⅱ. 조사지의 인문·지리적 배경
III. 이주민의 정착과정과 사회·경제생활
IV. 인구구성과 직업
V. 가족구성형태
VI. 환경적·경제적 제어와 가족의 적응전략
Ⅴ. 혼인관계망과 사회적 재생산
Ⅷ. 결언

 

책속으로

 

저자소개

 

서평

책소개

한국사회의 기층문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는 그 동안 인류학·사회학·민속학 등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농업을 주로 하는 내륙의 농촌사회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어촌사회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한 실정이었다. 그나마 어촌사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서해와 남해의 도서 해안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울릉도나 동해안 지역의 어민들에 대한 연구는 극히 희소하였다. 따라서 환태평양시대를 맞이하여 해양진출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기왕에 축적된 서남해안지역에 대한 연구성과와 비교분석을 위해서도 긴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모두 여섯 개의 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어촌마을의 인구이동과 친족생활, 어촌의 협동체계의 변화, 어촌 사회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정치적 과정, 관광이 동해안 어촌지역 주민들에 미치는 영향, 동해안의 네 개 어촌마을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또한 울릉도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울릉도 한 어촌가족의 구조화과정과 적응전략은 울릉도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각 분야의 연구들은 각기 독립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어민들의 생존전략과 적응이라는 하나의 큰 틀에 수렴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공동연구에서는 흔히 하나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각 연구자들이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책은 각 연구자들이 맡은 주제에 적합한 연구대상자를 각자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서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울릉도와 동해안의 여러 지역에 대한 종합연구로서의 의미를 한층 충실하게 담을 수있었다. 나아가 이 책은 어촌 마을의 사회구조와 어민들의 생활양식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에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차례

동해안 어촌만을의 인구이동과 친족생활: 이창기
Ⅰ. 서론 : 연구의 목적과 방법
Ⅱ. 조사대상 마을의 개황
Ⅲ. 인구이동
Ⅳ. 문중활동
Ⅴ. 제사분할
Ⅵ. 지역적 통혼권

어촌의 협동체계의 변화: 여중철
Ⅰ. 서론
Ⅱ. 가족단위 협동체계의 변화
Ⅲ. 사회집단 단위 협동체계의 변화
Ⅳ. 마을단위 협동체계의 변화
Ⅴ. 결론

어촌사회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정치적 과정: 유명기
Ⅰ. 머리말
Ⅱ. 조사지의 일반 배경
III. 마을의 사회경제적 변화
IV. 사회관계와 정치적 과정의 변화
Ⅳ. 요약과 결론

관광이 동해안 어촌지역 주민에 미치는 영향: 이황언
Ⅰ. 머리말
Ⅱ. 조사지역 개관
Ⅲ. G마을의 사회문화적 특성
Ⅳ. 관광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화
Ⅵ. 맺음말

울릉도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김태원
I. 머리말
II. 연구범위 및 방법
III. 울릉도의 인문·자연환경
IV. 울릉도 연혁
V. 울릉도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VI. 맺음말

울릉도 한 어촌가족의 구조화과정과 적응전략: 박성용
Ⅰ. 연구목적과 문제제기
Ⅱ. 조사지의 인문·지리적 배경
III. 이주민의 정착과정과 사회·경제생활
IV. 인구구성과 직업
V. 가족구성형태
VI. 환경적·경제적 제어와 가족의 적응전략
Ⅴ. 혼인관계망과 사회적 재생산
Ⅷ. 결언

 

책속으로

 

저자소개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