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총서 > 민족문화연구총서

탁영 김일손의 문학과 사상

지은이민족문화연구소

쪽 수542면

판 형신국판

I S B N89-7581-063-1

판매가0원

책소개

濯纓 金馹孫(1464<세조10년>∼1498<연산군4년>)이 생존했던 15세기 후반기의 조선전기 정치사회는 낡고 병든 보수적 정치세력―勳舊派를 청산하고 새로운 도덕과 사회질서의 확립을 요구하는 변혁의 시기였다. 이 같은 현실에서 탁영은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士林의 도덕관으로 새로운 정치사회의 질서구현을 위한 선봉자적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현실 정치사회계의 도덕적 타락을 바로 잡고 사림세계의 도덕·正義가 생동하는 사회를 구현하려는 士林派와 구질서·기득권을 고수하려는 勳舊派의 첨예한 대립은, 탁영 선생이 史草化한 畢齋의 \\'弔義帝文\\'을 빌미로 하여 \\'史禍\\'로 비화되었다. 특히 탁영은 훈구파의 不道德과 현실 고수를 위한 부패타락 및 權貴化를 증오하고 온 몸으로 맞받아 저항하다가 무오사화로 인해 35세의 연세로 형장의 이슬로 살아지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짧은 생애 속에서 남긴 탁영의 행적―시대의 고민과 저항의식을 표현한 저작들은 무오사화의 참혹한 변고를 겪으면서 거의 대부분 散佚되고 남아 있는 탁영의 극히 적은 遺著를 통하여 그의 무게를 가늠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15세기 후반기의 격동과 변혁의 시대에 살면서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과 정의감, 그리고 개혁사상을 소유하고 있었던 탁영이 어떠한 고뇌와 갈등을 겪었으며 역사적 삶을 영위하였을까? 이를 조망해 보기 위해 탁영이 시대 상황에 대처하는 자세와 문학사상, 그리고 정치·사회사상과 개혁안, 역사인식, 도학정신 등의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게 되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조선전기라는 시간성과 중앙관계 및 鄕村이라는 공간성 속에서 탁영의 위상을 자리 매김하고, 나아가 탁영의 삶에 歷史的 意味를 부여하고자 하는 데 본서를 출간하게 된 동기가 있다

 

 

차례

제1편 濯纓의 시대와 역할
제1장 朝鮮初期의 士林派와 濯纓의 현실인식 및 대응
1. 勳舊派의 擅權과 정국의 추이
2. 士林派의 구조와 성격
3. 濯纓의 개혁론과 그 성격
4. 戊午史禍와 濯纓의 대응

제2편 濯纓의 散文과 詩 및 辭賦
제1장 濯纓의 藝術論과 그의 散文에 나타난 현실주의적 경향
1. 藝術論&#8228;
1) 書畵&#8228;詩文의 情緖表現論
2) 古今音樂의 獨自論&#8228;


2. 현실주의적 경향&#8228;
1) 神秘主義的 사고의 배격&#8228;
2) 實學의 선비상 정립
3) 治道方案의 모색
4) 인재등용의 중요성 인식&#8228;
5) 자연의 人間學的 理解&#8228;


3. 문학사적 의의

제2장 濯纓의 詩에 對하여


제3장 濯纓 ‘辭賦’의 문체적 성격과 현실인식
1. 문체적 성격&#8228;
1) 辭&#8228;
2) 賦&#8228;


2. 현실인식&#8228;
1) 정치 사회 현실&#8228;
2) 학문 교유&#8228;

제3편 濯纓의 정치&#8228;사회사상과 道學思想
제1장 濯纓의 정치&#8228;사회사상과 개혁안

1. 정치&#8228;사회사상의 형성과정
2. 정치&#8228;사회사상과 개혁안
1) 역사의식과 編史&#8228;史官制 개혁안
2) 성리학적 禮制와 이상정치 구현
3) 정치사상과 官制개혁안
4) 試士制와 인재등용제의 개혁안
5) 사회&#8228;경제사상과 개혁안
6) 새 향촌질서 수립과 향촌교화책

제2장 濯纓의 道學精神
1. 짧은 生涯, 긴 名聲&#8228;
1) 공직생활
2) 公人의 처신


2. 기본적인 安人意識&#8228;
3. 民官的인 利民의 雄志&#8228;
4. 反正的 義理具現의 氣槪

제4편 濯纓先生年譜 247
제1장 濯纓先生年譜의 새로운 添削과 그 性格

1. 三足堂의 先生年譜와 慕川의 刊行過程&#8228;
2. 水陸齋의 設行을 반대한 諫諍
3. 昭陵의 復舊를 위한 諫諍
4. 三足堂의 선생연보에서 삭제한 자료와 序文&#8228;跋文&#8228;

附 : 1. 濯纓先生年譜表
2. 濯纓先生年譜

제5편 濯纓의 연구자료편―王朝實錄抄―
<附 錄>
1. 文愍公 濯纓先生 墓碑文
2. 濯纓 金馹孫先生 文學碑
3. 濯纓先生殉節 五百周年 追慕碑文
4. 紫溪書院事蹟碑文
5. 濯纓先生論文集刊行跋文

 

 

책속으로

 

 

저자소개

이병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
김광순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교수
안재소 성균관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
김영숙 경산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
이수건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 교수
윤사순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김윤곤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구사학과 교수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상임연구원

 

 

서평

책소개

濯纓 金馹孫(1464<세조10년>∼1498<연산군4년>)이 생존했던 15세기 후반기의 조선전기 정치사회는 낡고 병든 보수적 정치세력―勳舊派를 청산하고 새로운 도덕과 사회질서의 확립을 요구하는 변혁의 시기였다. 이 같은 현실에서 탁영은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士林의 도덕관으로 새로운 정치사회의 질서구현을 위한 선봉자적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현실 정치사회계의 도덕적 타락을 바로 잡고 사림세계의 도덕·正義가 생동하는 사회를 구현하려는 士林派와 구질서·기득권을 고수하려는 勳舊派의 첨예한 대립은, 탁영 선생이 史草化한 畢齋의 \\'弔義帝文\\'을 빌미로 하여 \\'史禍\\'로 비화되었다. 특히 탁영은 훈구파의 不道德과 현실 고수를 위한 부패타락 및 權貴化를 증오하고 온 몸으로 맞받아 저항하다가 무오사화로 인해 35세의 연세로 형장의 이슬로 살아지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짧은 생애 속에서 남긴 탁영의 행적―시대의 고민과 저항의식을 표현한 저작들은 무오사화의 참혹한 변고를 겪으면서 거의 대부분 散佚되고 남아 있는 탁영의 극히 적은 遺著를 통하여 그의 무게를 가늠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15세기 후반기의 격동과 변혁의 시대에 살면서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과 정의감, 그리고 개혁사상을 소유하고 있었던 탁영이 어떠한 고뇌와 갈등을 겪었으며 역사적 삶을 영위하였을까? 이를 조망해 보기 위해 탁영이 시대 상황에 대처하는 자세와 문학사상, 그리고 정치·사회사상과 개혁안, 역사인식, 도학정신 등의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게 되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조선전기라는 시간성과 중앙관계 및 鄕村이라는 공간성 속에서 탁영의 위상을 자리 매김하고, 나아가 탁영의 삶에 歷史的 意味를 부여하고자 하는 데 본서를 출간하게 된 동기가 있다

 

 

차례

제1편 濯纓의 시대와 역할
제1장 朝鮮初期의 士林派와 濯纓의 현실인식 및 대응
1. 勳舊派의 擅權과 정국의 추이
2. 士林派의 구조와 성격
3. 濯纓의 개혁론과 그 성격
4. 戊午史禍와 濯纓의 대응

제2편 濯纓의 散文과 詩 및 辭賦
제1장 濯纓의 藝術論과 그의 散文에 나타난 현실주의적 경향
1. 藝術論&#8228;
1) 書畵&#8228;詩文의 情緖表現論
2) 古今音樂의 獨自論&#8228;


2. 현실주의적 경향&#8228;
1) 神秘主義的 사고의 배격&#8228;
2) 實學의 선비상 정립
3) 治道方案의 모색
4) 인재등용의 중요성 인식&#8228;
5) 자연의 人間學的 理解&#8228;


3. 문학사적 의의

제2장 濯纓의 詩에 對하여


제3장 濯纓 ‘辭賦’의 문체적 성격과 현실인식
1. 문체적 성격&#8228;
1) 辭&#8228;
2) 賦&#8228;


2. 현실인식&#8228;
1) 정치 사회 현실&#8228;
2) 학문 교유&#8228;

제3편 濯纓의 정치&#8228;사회사상과 道學思想
제1장 濯纓의 정치&#8228;사회사상과 개혁안

1. 정치&#8228;사회사상의 형성과정
2. 정치&#8228;사회사상과 개혁안
1) 역사의식과 編史&#8228;史官制 개혁안
2) 성리학적 禮制와 이상정치 구현
3) 정치사상과 官制개혁안
4) 試士制와 인재등용제의 개혁안
5) 사회&#8228;경제사상과 개혁안
6) 새 향촌질서 수립과 향촌교화책

제2장 濯纓의 道學精神
1. 짧은 生涯, 긴 名聲&#8228;
1) 공직생활
2) 公人의 처신


2. 기본적인 安人意識&#8228;
3. 民官的인 利民의 雄志&#8228;
4. 反正的 義理具現의 氣槪

제4편 濯纓先生年譜 247
제1장 濯纓先生年譜의 새로운 添削과 그 性格

1. 三足堂의 先生年譜와 慕川의 刊行過程&#8228;
2. 水陸齋의 設行을 반대한 諫諍
3. 昭陵의 復舊를 위한 諫諍
4. 三足堂의 선생연보에서 삭제한 자료와 序文&#8228;跋文&#8228;

附 : 1. 濯纓先生年譜表
2. 濯纓先生年譜

제5편 濯纓의 연구자료편―王朝實錄抄―
<附 錄>
1. 文愍公 濯纓先生 墓碑文
2. 濯纓 金馹孫先生 文學碑
3. 濯纓先生殉節 五百周年 追慕碑文
4. 紫溪書院事蹟碑文
5. 濯纓先生論文集刊行跋文

 

 

책속으로

 

 

저자소개

이병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
김광순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교수
안재소 성균관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
김영숙 경산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
이수건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 교수
윤사순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김윤곤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구사학과 교수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상임연구원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