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총서 > 민족문화연구총서

한국 농경세시의 연구

지은이김택규

쪽 수576면

판 형신국판

I S B N

판매가0원

책소개

1987년도 제11회 세계평화교수협의회 아카데미상 수상작이며, 제9차 오늘의 책 선정도서다. 農耕儀禮를 모태로 하는 한국의 歲時를 文化人類學的인 시점에서 분석한 것으로, 저자는 이 책에서 농경의례라고 하는 민족 체계를 통하여 한문화복합이라는 분석 체계를 정립하려 하고 있다. 나아가서 한국 세시의 지역유형설에서 착상하여 한반도 내에 있어서 秋夕圈과 端年圈 그리고 秋夕端午複合圈이라는 3대 基層文化領域을 상징하였다. 저자는 이를 입증키 위하여 공시적으로는 北較文化論의 방법으로 우리 주위 여러 민족의 文化要素와 비교하여 있으며, 통시적으로는 한·중·일 아시아 3국의 옛 문헌을 섭렵하여 이 時·空의 좌표 속에서 한국 세시의 源流에도 접근하고 있다. 한국을 작업 현장으로 하는 民俗學 文化人類學徒의 必携의 한 권이라 할 것이다

 

차례

제1편 導論
제1장 序章
제1절 세시의 개념
제2절 문제의 한계
제3절 선행업적의 검토

제2장 한민족과 농경생활
제1절 농경문화의 시원
제2절 稻米文化의 南北二元說
제3절 稻米의 南方傳來說
제4절 稻米의 北方傳來說

제3장 歲時의 基盤
제1절 生業層과 祭儀曆
제2절 농경의례의 모태
제3절 神母와 阿老
제4절 稻米의 北方傳來說

제3장 歲時의 基盤
제1절 生業層과 祭儀曆
제2절 농경의례의 모태
제3절 神母와 阿老

제2편 축원의 세시
제4장 歲暮年頭의 生業層
제1절 농한기의 생업층
제2절 年頭의 축원과 占歲

제5장 모방주술적 축원의례
제1절 조선시재의 궁중내 농작
제2절 農家內農作의 의미

제6장 農神信仰과 假裝演戱
제1절 신앙의 속성
제2절 성역과 祭場

제7장 민속유희의 의의
제1절 민속유희의 개념
제2절 女性群舞의 분석

제8장 占歲와 占穀
제1절 月占
제2절 占穀

제9장 擬戰
제1절 石戰
제2절 色戰
제3절 踏橋

제3편 생장의 歲時
제10장 播種 移秧의 세시
제1절 생장기의 생업층
제2절 移秧儀禮

제11장 성장의례
제1절 단오절
제2절 농신굿
제3절 풋굿

제12장 기우제
제1절 기우제의 의의
제2절 기우제의 유형

제4편 수확의 세시
제13장 수확과 추수
제1절 수확기의 생업층
제2절 流頭薦新
제3절 秋夕薦新
제4절 告祀薦新

제14장 薦新과 嘗祭
제1절 고대군주의 천신제의
제2절 嘗祭와 薦新

제5편 歲時와 협동관행
제15장 洞祭와 洞會
제1절 洞祭와 洞神
제2절 別神
제3절 洞會

제16장 세시와 협동노동
제1절 두레
제2절 품앗이
제3절 노동관행의 변천

제17장 洑과 契
제1절 洑와 契
제2절 契
제3절 扶助

제18장 入社와 制裁
제1절 入社慣行
제2절 制裁慣行

제6편
제19장 추석권과 단오권
제1절 기층문화 영역과 문화요소
제2절 굿의 기층문화적 속성
제3절 민속예능과 기층문화영역

20장 結章
제1절 要約
제2절 결론

책속으로

 

 

 

저자소개

문학박사 1974, 영남대학교
사회학박사 1987, 일본동경대학 문화인류교실
문화인류학과 개설(1972)
현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문회인류학과 교수
현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장

서평

책소개

1987년도 제11회 세계평화교수협의회 아카데미상 수상작이며, 제9차 오늘의 책 선정도서다. 農耕儀禮를 모태로 하는 한국의 歲時를 文化人類學的인 시점에서 분석한 것으로, 저자는 이 책에서 농경의례라고 하는 민족 체계를 통하여 한문화복합이라는 분석 체계를 정립하려 하고 있다. 나아가서 한국 세시의 지역유형설에서 착상하여 한반도 내에 있어서 秋夕圈과 端年圈 그리고 秋夕端午複合圈이라는 3대 基層文化領域을 상징하였다. 저자는 이를 입증키 위하여 공시적으로는 北較文化論의 방법으로 우리 주위 여러 민족의 文化要素와 비교하여 있으며, 통시적으로는 한·중·일 아시아 3국의 옛 문헌을 섭렵하여 이 時·空의 좌표 속에서 한국 세시의 源流에도 접근하고 있다. 한국을 작업 현장으로 하는 民俗學 文化人類學徒의 必携의 한 권이라 할 것이다

 

차례

제1편 導論
제1장 序章
제1절 세시의 개념
제2절 문제의 한계
제3절 선행업적의 검토

제2장 한민족과 농경생활
제1절 농경문화의 시원
제2절 稻米文化의 南北二元說
제3절 稻米의 南方傳來說
제4절 稻米의 北方傳來說

제3장 歲時의 基盤
제1절 生業層과 祭儀曆
제2절 농경의례의 모태
제3절 神母와 阿老
제4절 稻米의 北方傳來說

제3장 歲時의 基盤
제1절 生業層과 祭儀曆
제2절 농경의례의 모태
제3절 神母와 阿老

제2편 축원의 세시
제4장 歲暮年頭의 生業層
제1절 농한기의 생업층
제2절 年頭의 축원과 占歲

제5장 모방주술적 축원의례
제1절 조선시재의 궁중내 농작
제2절 農家內農作의 의미

제6장 農神信仰과 假裝演戱
제1절 신앙의 속성
제2절 성역과 祭場

제7장 민속유희의 의의
제1절 민속유희의 개념
제2절 女性群舞의 분석

제8장 占歲와 占穀
제1절 月占
제2절 占穀

제9장 擬戰
제1절 石戰
제2절 色戰
제3절 踏橋

제3편 생장의 歲時
제10장 播種 移秧의 세시
제1절 생장기의 생업층
제2절 移秧儀禮

제11장 성장의례
제1절 단오절
제2절 농신굿
제3절 풋굿

제12장 기우제
제1절 기우제의 의의
제2절 기우제의 유형

제4편 수확의 세시
제13장 수확과 추수
제1절 수확기의 생업층
제2절 流頭薦新
제3절 秋夕薦新
제4절 告祀薦新

제14장 薦新과 嘗祭
제1절 고대군주의 천신제의
제2절 嘗祭와 薦新

제5편 歲時와 협동관행
제15장 洞祭와 洞會
제1절 洞祭와 洞神
제2절 別神
제3절 洞會

제16장 세시와 협동노동
제1절 두레
제2절 품앗이
제3절 노동관행의 변천

제17장 洑과 契
제1절 洑와 契
제2절 契
제3절 扶助

제18장 入社와 制裁
제1절 入社慣行
제2절 制裁慣行

제6편
제19장 추석권과 단오권
제1절 기층문화 영역과 문화요소
제2절 굿의 기층문화적 속성
제3절 민속예능과 기층문화영역

20장 結章
제1절 要約
제2절 결론

책속으로

 

 

 

저자소개

문학박사 1974, 영남대학교
사회학박사 1987, 일본동경대학 문화인류교실
문화인류학과 개설(1972)
현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문회인류학과 교수
현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장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