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연

보건학 역학 통계입문

지은이James F. Jekel, MD, MPH외 3인 지음, 정종학 외 5인 옮김

쪽 수635

판 형

I S B N978-89-7581-383-2

판매가37,000원

책소개

- 국민들의 건강 수준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방의학, 보건학, 지역사회보건, 건강증진 등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쌓은 전문 인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

국민들의 건강수준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방의학, 보건학, 지역사회보건, 건강증진 등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쌓은 전문인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건강에 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이러한 분야에서 교육, 훈련을 받고, 관련 연구 및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건강증진, 만성질환관리, 방문보건, 전염병관리 영역의 전문 인력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보건요원들이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에서 이 책은 매우 유용한 지침서 역할을 할 것이다.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영역에는 1차, 2차, 3차 예방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미국 의료체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

이 책은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학은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기본 과학이고, 보건통계학은 역학의 수량적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에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따라서 역학과 보건통계학을 분리하면 각 분야의 내용이 불충분해지고 주어진 주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영역에는 1차, 2차, 3차 예방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미국 의료체계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보건관리 영역에서 기본적인 개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보건학과 의학 분야의 학생과 대학원생, 연구원, 보건요원, 전문가들이 이론과 개념을 공부하거나 재정립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세 영역으로 구성, 명료하고 쉬운 용어로 설명-

1부, 역학에서는 역학이 의학에 기여하는 것은 무엇인지, 건강관련 자료의 출처, 다양한 도표와 그래프를 사용한 역학관련 측정치의 환산 및 활용 방법 설명, 역학적 감시, 집단발생 조사, 인과관계 및 위험도 평가 등에 있어서의 절차 개관, 역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구 모형 등을 다루고 있다.
2부, 보건통계학에서는 1부에서 소개된 개념들의 설명, 연구결과 분석 뿐 아니라 임상 의학과 보건통계학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보건통계학적 검사 및 공식을 쉽고 명료하게 설명하였으며, 특별히 고안해 낸 “도표”로 표준오차, t 값, 카이제곱 값, 기타 측정치의 계산을 단계별로 설명하였다.
3부,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에서는 1차, 2차, 3차 예방법을 집중 조명하고 있으며,
예방접종 일정, 사용 가능한 백신과 항독성 혈청, 선별검사 추천 자료, 유독물질의 영향 등에 관한 최신 정보의 도표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학적, 환경적, 행동적 요인과 보건 정책과 관련이 있는 사회경제적 정치적 환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상호관련성을 보여 주며 임상, 연구, 공중보건 정책과의 관련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들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상호관련성을 보여 주며 임상, 연구, 공중보건 정책과의 관련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들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독자가 과학 문헌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과 실천의 결합, 예방에 중점을 둔 임상적 접근, 오늘날 사회, 조직, 재정, 정치 부문에서 의사 및 다른 보건 관계자들의 실천 여건에 대한 이해 등에 중점을 두었다. 어려운 개념을 명료하고 쉬운 용어로 설명을 하여 미국 공중보건 및 의학 분야의 학생들과 교수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차례

 Section 1 : 역학Epidemiology

제1장 역학의 기본 개념과 원칙
■ 역학의 기본 개념
■ 질병의 병인과 자연사
■ 역학에 있어서의 생태학적 문제
■ 의과학에 대한 역학자들의 공헌
■ 요약

제2장 역학자료의 종류와 측정
■ 건강자료의 종류
■ 역학적 측정
■ 요약

제3장 역학적 감시와 유행조사
■ 질병의 감시
■ 유행의 조사
■ 요약

제4장 역학조사와 연구에 있어서 인과관계 규명
■ 인과관계의 종류
■ 원인과 결과의 결정 과정
■ 원인조사에서 흔한 함정
■ 위험요인과 질병에 대한 중요한 조언
■ 요약

제5장 일반적인 역학 연구설계
■ 연구설계의 기능
■ 연구설계의 종류
■ 요약 156

제6장 역학 연구에서의 위험도와 편익 평가
■ 연구군의 정의
■ 여러 연구군의 위험도 비교
■ 위험요인의 영향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
■ 위험도 평가 자료의 사용
■ 요약

제7장 임상의학에서 자료의 질 이해
■ 자료 수집과 분석의 목적
■ 선별검사와 진단검사의 정확성과 유용성 연구
■ 측정 일치도
■ 요약

제8장 임상적 의사결정 개선
■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
■ 의사결정분석(Decision Analysis)
■ 메타분석(Meta-Analysis)
■ 요약

Section 2 : 보건통계Biostatistics

제9장 자료의 변이
■ 의학에서 변이의 원인
■ 통계자료와 변수들
■ 빈도분포
■ 요약

제10장 통계적 추론과 가설검정
■ 통계적 추론의 특성과 목적
■ 가설 검정 과정
■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
■ 고찰
■ 요약

제11장 이변량분석
■ 통계검정법의 선택
■ 연속변수에 대한 추론
■ 순위(비모수)변수에 대한 추론
■ 이분형 변수와 명목(비모수)변수에 대한 추론
■ 요약

제12장 표본크기, 무작위 할당, 확률론
■ 표본크기
■ 연구대상자의 등록과 보호
■ 연구대상자의 무작위 할당
■ 자료 이끌어내기(data dredging)의 위험성
■ 기초확률론
■ 요약

제13장 다변량분석
■ 다변량 통계 개요
■ 다변량분석방법
■ 요약

Section 3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제14장 예방의학 서론
■ 기본적 개념
■ 건강상태의 측정
■ 질병의 자연사
■ 예방의 단계
■ 예방의 경제학
■ 요약

제15장 1차 예방:건강증진
■ 건강에 대한 사회의 기여
■ 건강증진에 있어서의 영양 요소
■ 건강증진의 환경 및 직업 요인
■ 건강증진에 있어 행동요인
■ 요약

제16장 1차 예방:특별보호
■ 백신을 통한 질병예방
■ 항균 약제를 사용한 질병예방
■ 결핍상태의 예방
■ 손상과 독성물질에 대한 노출의 예방
■ 의인성 질병과 손상의 예방
■ 요약

제17장 2차 예방
■ 지역사회 집단검진
■ 개별 환자 발견
■ 요약

제18장 3차 예방
■ 개요
■ 3차 예방의 기회
■ 재활
■ 요약

제19장 다양한 예방보건사업
■ 모자보건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결핵
■ 화학물질 남용
■ 정신보건
■ 손상
■ 산업보건
■ 구강보건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유전학
■ 요약

제20장 공중보건체계:구조와 기능
■ 공중보건의 정의
■ 공중보건 업무
■ 공중보건의 목적
■ 예방의학 조직과 교육
■ 요약

제21장 의료조직, 정책, 재정
■ 의료체계 이해의 기본 틀
■ 의료체계
■ 의료조직
■ 의료기관
■ 의료비 지불
■ 비용 할인과 의료의 질
■ 의료정책의 문제
■ 요약

종합시험 (Comprehensive Examination)
역학 및 의학용어 (Epidemiologic and Medical Glossary)
부록 (Appendix)
정답 (Answer Key)
찾아보기

 

 

 

 

 

 

책속으로

비록 몇몇 철학적 전통에서 시간은 순환성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서양의 과학은 시간이 한 방향으로 흐른다고 가정한다.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위해서 의심되는 원인적 요인이 결과(질병) 이전에 발생했거나 나타났어야한다. 이것은 실험적 조작(즉 실험적 개입이 있기 전과 있은 후에 무작위 표본에서 위험요인과 질병측정)이 불가능 하다면 보기보다 매우 복잡한 일이다.

만성적인 질병에서는 질병의 시작점은 불분명하다. 언제 동맥경화가 시작되었는가? 언제 첫 기관지세포가 암으로 변하였는가? 이와 비슷하게 위험요인의 시작도 불분명하다. 혈압이 언제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였는가? 식단이 언제부터 건강에 유해하게 되었는가? 위험요인들과 질병의 발생 간에는 길지만 잠복기(latent period)가 다양하기 때문에 시간적 관계는 애매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성은 복잡하고 악순환을 형성할 수 있다. 비만과 같은 만성질환은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고 관절염은 또 다시 비만을 심하게 할 수 있다.

연구설계는 원인과 결과의 시간적 연속성을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제5장 참고). 만약 원인과 결과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얻어진다면 예측원인 또는 결과 중 어느 것이 먼저 나타났는지를 결정하기 힘들다. 반면에 성별이나 인종과 같은 기본적인 인구학의 변수들은 외부적 위험요인으로 인한 질병이 시작되기 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을 것이다. 그리고 한 번의 설문조사나 한 번의 방문으로 어떤 변수가 먼저 일어났는지 아는 것은 종종 불가능 하다.

 

 

 

 

 

 

저자소개

James F. Jekel, MD, MPH
예일대 의학 및 보건대학원(Yale University Schools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역학/공중보건학 명예교수, 그리핀병원(Griffin Hospital) 예방의학과 수석 고문. 17년 간 예일대 예방의학 전문의 과정 지도교수를 역임하였으며 그리핀 병원 예방의학 및 공중보건 전문의 과정의 신설 및 지도에 기여하였다. 15년 간 예일대 Robert Wood Johnson Clinical Scholar Program의 부과장이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지역사회 전염병학, 프로그램 계획과 평가, 임상역학이다.

David L. Katz, MD, MPH
공중보건학 부교수(겸임)이면서 예일대-그리핀 예방의학 연구 센터(Yale-Griffin Prevention Research Center) 소장. 예일 의학대학원 공중보건학과장과 코네티컷주 더비(Derby) 그리핀병원 예방의학 전문의 과정 지도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관심분야는 영양학, 체중조절, 만성질환 예방 등이다. 미국보건부장관, 미국식품의약청장, 캐나다와 이스라엘의 보건부, 미국주지사협회의 비만 관리 고문이다.『더 오프라 매거진(the Oprah Magazine)』“O”에 영양학 관련 글을 기고하며,『뉴욕 타임즈』의 건강 관련 칼럼니스트이기도 하고 ABC 뉴스의 의학전문 기고가로 활동 중이다. 미국소비자연구회(Consumer Research Council of America)로부터 예방의학 분야 미국 최고 내과의사로 2회 선정된 바 있다.

Joann G. Elmore, MD, MPH
시애틀 워싱턴대 의학대학원 내과 교수 겸 역학 겸임교수, 시애틀 Harborview Medical Center 내과 과장. 워싱턴대 Robert Wood Johnson Clinical Scholar Program의 과장을 역임한 바 있다. 관심 분야는 암 선별검사 및 진단검사의 변이성이며, 유방영상촬영 판독의 변이성을 비롯하여 유방암 관련 전문가이다.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의 국가고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Dorothea M.G. Wild, MD, MPH
예일대 의학 및 보건대학원 공중보건학 연구원, 그리핀 병원 내과/예방의학 연합전문의 과정 부담당관. Hospitalist로서 그리핀병원 Faculty Practice Plan의 질향상 프로그램(Quality Improvement) 책임자로 활동 중이다. 주된 관심 분야는 보건정책, 의료의 비용-효과 분석, 의료과실 감소 체계 개발 등이다.

<역자소개>

정종학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설립하였고, 예방의학교실 주임교수, 의과대학장, 대한예방의학회 이사장을 역임하였고, 역학 및 산업보건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06년 정년퇴직하였다.

김창윤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주임교수, 산업의학과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의학도서관장을 맡고있다. 역학 및 산업보건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석범 원장 MD, PhD
영남의대 부교수로 재직하다가 2004년에 퇴직하여, 대구에서 보량MCM건강의학센터를 개원하고 있으며, 건강증진과 장기요양, 보완대체의학 분야에 관심이 많다.

사공 준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주임교수와 영남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과장을 겸무하고 있다. 환경 및 산업의학, 역학 분야의 교육을 담당하는 한편 환경 및 직업적 유해요인과 신경계장애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와 환경성 질환에 대한 역학조사를 다수 수행하고 있다.

이경수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환경보건대학원 보건학과 학과장 겸 대학원 보건학과 주임교수를 맡고 있으며, 의료관리분야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도시지역 보건문제, 만성질환관리, 건강증진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사업의 평가와 근거중심의 공중보건사업에 관심이 많다.

황태윤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의료관리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건강증진과 만성질환관리에 관심이 많다. 현재 대구광역시 건강증진사업지원단장을 맡고 있다.

 

 

 

 

 

 

서평

책소개

- 국민들의 건강 수준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방의학, 보건학, 지역사회보건, 건강증진 등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쌓은 전문 인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

국민들의 건강수준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방의학, 보건학, 지역사회보건, 건강증진 등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쌓은 전문인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건강에 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이러한 분야에서 교육, 훈련을 받고, 관련 연구 및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건강증진, 만성질환관리, 방문보건, 전염병관리 영역의 전문 인력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보건요원들이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에서 이 책은 매우 유용한 지침서 역할을 할 것이다.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영역에는 1차, 2차, 3차 예방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미국 의료체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

이 책은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학은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기본 과학이고, 보건통계학은 역학의 수량적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에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따라서 역학과 보건통계학을 분리하면 각 분야의 내용이 불충분해지고 주어진 주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영역에는 1차, 2차, 3차 예방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미국 의료체계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보건관리 영역에서 기본적인 개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보건학과 의학 분야의 학생과 대학원생, 연구원, 보건요원, 전문가들이 이론과 개념을 공부하거나 재정립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세 영역으로 구성, 명료하고 쉬운 용어로 설명-

1부, 역학에서는 역학이 의학에 기여하는 것은 무엇인지, 건강관련 자료의 출처, 다양한 도표와 그래프를 사용한 역학관련 측정치의 환산 및 활용 방법 설명, 역학적 감시, 집단발생 조사, 인과관계 및 위험도 평가 등에 있어서의 절차 개관, 역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구 모형 등을 다루고 있다.
2부, 보건통계학에서는 1부에서 소개된 개념들의 설명, 연구결과 분석 뿐 아니라 임상 의학과 보건통계학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보건통계학적 검사 및 공식을 쉽고 명료하게 설명하였으며, 특별히 고안해 낸 “도표”로 표준오차, t 값, 카이제곱 값, 기타 측정치의 계산을 단계별로 설명하였다.
3부,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에서는 1차, 2차, 3차 예방법을 집중 조명하고 있으며,
예방접종 일정, 사용 가능한 백신과 항독성 혈청, 선별검사 추천 자료, 유독물질의 영향 등에 관한 최신 정보의 도표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학적, 환경적, 행동적 요인과 보건 정책과 관련이 있는 사회경제적 정치적 환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상호관련성을 보여 주며 임상, 연구, 공중보건 정책과의 관련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들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

역학, 보건통계학,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상호관련성을 보여 주며 임상, 연구, 공중보건 정책과의 관련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들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독자가 과학 문헌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과 실천의 결합, 예방에 중점을 둔 임상적 접근, 오늘날 사회, 조직, 재정, 정치 부문에서 의사 및 다른 보건 관계자들의 실천 여건에 대한 이해 등에 중점을 두었다. 어려운 개념을 명료하고 쉬운 용어로 설명을 하여 미국 공중보건 및 의학 분야의 학생들과 교수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차례

 Section 1 : 역학Epidemiology

제1장 역학의 기본 개념과 원칙
■ 역학의 기본 개념
■ 질병의 병인과 자연사
■ 역학에 있어서의 생태학적 문제
■ 의과학에 대한 역학자들의 공헌
■ 요약

제2장 역학자료의 종류와 측정
■ 건강자료의 종류
■ 역학적 측정
■ 요약

제3장 역학적 감시와 유행조사
■ 질병의 감시
■ 유행의 조사
■ 요약

제4장 역학조사와 연구에 있어서 인과관계 규명
■ 인과관계의 종류
■ 원인과 결과의 결정 과정
■ 원인조사에서 흔한 함정
■ 위험요인과 질병에 대한 중요한 조언
■ 요약

제5장 일반적인 역학 연구설계
■ 연구설계의 기능
■ 연구설계의 종류
■ 요약 156

제6장 역학 연구에서의 위험도와 편익 평가
■ 연구군의 정의
■ 여러 연구군의 위험도 비교
■ 위험요인의 영향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
■ 위험도 평가 자료의 사용
■ 요약

제7장 임상의학에서 자료의 질 이해
■ 자료 수집과 분석의 목적
■ 선별검사와 진단검사의 정확성과 유용성 연구
■ 측정 일치도
■ 요약

제8장 임상적 의사결정 개선
■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
■ 의사결정분석(Decision Analysis)
■ 메타분석(Meta-Analysis)
■ 요약

Section 2 : 보건통계Biostatistics

제9장 자료의 변이
■ 의학에서 변이의 원인
■ 통계자료와 변수들
■ 빈도분포
■ 요약

제10장 통계적 추론과 가설검정
■ 통계적 추론의 특성과 목적
■ 가설 검정 과정
■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
■ 고찰
■ 요약

제11장 이변량분석
■ 통계검정법의 선택
■ 연속변수에 대한 추론
■ 순위(비모수)변수에 대한 추론
■ 이분형 변수와 명목(비모수)변수에 대한 추론
■ 요약

제12장 표본크기, 무작위 할당, 확률론
■ 표본크기
■ 연구대상자의 등록과 보호
■ 연구대상자의 무작위 할당
■ 자료 이끌어내기(data dredging)의 위험성
■ 기초확률론
■ 요약

제13장 다변량분석
■ 다변량 통계 개요
■ 다변량분석방법
■ 요약

Section 3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제14장 예방의학 서론
■ 기본적 개념
■ 건강상태의 측정
■ 질병의 자연사
■ 예방의 단계
■ 예방의 경제학
■ 요약

제15장 1차 예방:건강증진
■ 건강에 대한 사회의 기여
■ 건강증진에 있어서의 영양 요소
■ 건강증진의 환경 및 직업 요인
■ 건강증진에 있어 행동요인
■ 요약

제16장 1차 예방:특별보호
■ 백신을 통한 질병예방
■ 항균 약제를 사용한 질병예방
■ 결핍상태의 예방
■ 손상과 독성물질에 대한 노출의 예방
■ 의인성 질병과 손상의 예방
■ 요약

제17장 2차 예방
■ 지역사회 집단검진
■ 개별 환자 발견
■ 요약

제18장 3차 예방
■ 개요
■ 3차 예방의 기회
■ 재활
■ 요약

제19장 다양한 예방보건사업
■ 모자보건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결핵
■ 화학물질 남용
■ 정신보건
■ 손상
■ 산업보건
■ 구강보건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의 유전학
■ 요약

제20장 공중보건체계:구조와 기능
■ 공중보건의 정의
■ 공중보건 업무
■ 공중보건의 목적
■ 예방의학 조직과 교육
■ 요약

제21장 의료조직, 정책, 재정
■ 의료체계 이해의 기본 틀
■ 의료체계
■ 의료조직
■ 의료기관
■ 의료비 지불
■ 비용 할인과 의료의 질
■ 의료정책의 문제
■ 요약

종합시험 (Comprehensive Examination)
역학 및 의학용어 (Epidemiologic and Medical Glossary)
부록 (Appendix)
정답 (Answer Key)
찾아보기

 

 

 

 

 

 

책속으로

비록 몇몇 철학적 전통에서 시간은 순환성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서양의 과학은 시간이 한 방향으로 흐른다고 가정한다.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위해서 의심되는 원인적 요인이 결과(질병) 이전에 발생했거나 나타났어야한다. 이것은 실험적 조작(즉 실험적 개입이 있기 전과 있은 후에 무작위 표본에서 위험요인과 질병측정)이 불가능 하다면 보기보다 매우 복잡한 일이다.

만성적인 질병에서는 질병의 시작점은 불분명하다. 언제 동맥경화가 시작되었는가? 언제 첫 기관지세포가 암으로 변하였는가? 이와 비슷하게 위험요인의 시작도 불분명하다. 혈압이 언제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였는가? 식단이 언제부터 건강에 유해하게 되었는가? 위험요인들과 질병의 발생 간에는 길지만 잠복기(latent period)가 다양하기 때문에 시간적 관계는 애매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성은 복잡하고 악순환을 형성할 수 있다. 비만과 같은 만성질환은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고 관절염은 또 다시 비만을 심하게 할 수 있다.

연구설계는 원인과 결과의 시간적 연속성을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제5장 참고). 만약 원인과 결과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얻어진다면 예측원인 또는 결과 중 어느 것이 먼저 나타났는지를 결정하기 힘들다. 반면에 성별이나 인종과 같은 기본적인 인구학의 변수들은 외부적 위험요인으로 인한 질병이 시작되기 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을 것이다. 그리고 한 번의 설문조사나 한 번의 방문으로 어떤 변수가 먼저 일어났는지 아는 것은 종종 불가능 하다.

 

 

 

 

 

 

저자소개

James F. Jekel, MD, MPH
예일대 의학 및 보건대학원(Yale University Schools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역학/공중보건학 명예교수, 그리핀병원(Griffin Hospital) 예방의학과 수석 고문. 17년 간 예일대 예방의학 전문의 과정 지도교수를 역임하였으며 그리핀 병원 예방의학 및 공중보건 전문의 과정의 신설 및 지도에 기여하였다. 15년 간 예일대 Robert Wood Johnson Clinical Scholar Program의 부과장이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지역사회 전염병학, 프로그램 계획과 평가, 임상역학이다.

David L. Katz, MD, MPH
공중보건학 부교수(겸임)이면서 예일대-그리핀 예방의학 연구 센터(Yale-Griffin Prevention Research Center) 소장. 예일 의학대학원 공중보건학과장과 코네티컷주 더비(Derby) 그리핀병원 예방의학 전문의 과정 지도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관심분야는 영양학, 체중조절, 만성질환 예방 등이다. 미국보건부장관, 미국식품의약청장, 캐나다와 이스라엘의 보건부, 미국주지사협회의 비만 관리 고문이다.『더 오프라 매거진(the Oprah Magazine)』“O”에 영양학 관련 글을 기고하며,『뉴욕 타임즈』의 건강 관련 칼럼니스트이기도 하고 ABC 뉴스의 의학전문 기고가로 활동 중이다. 미국소비자연구회(Consumer Research Council of America)로부터 예방의학 분야 미국 최고 내과의사로 2회 선정된 바 있다.

Joann G. Elmore, MD, MPH
시애틀 워싱턴대 의학대학원 내과 교수 겸 역학 겸임교수, 시애틀 Harborview Medical Center 내과 과장. 워싱턴대 Robert Wood Johnson Clinical Scholar Program의 과장을 역임한 바 있다. 관심 분야는 암 선별검사 및 진단검사의 변이성이며, 유방영상촬영 판독의 변이성을 비롯하여 유방암 관련 전문가이다.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의 국가고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Dorothea M.G. Wild, MD, MPH
예일대 의학 및 보건대학원 공중보건학 연구원, 그리핀 병원 내과/예방의학 연합전문의 과정 부담당관. Hospitalist로서 그리핀병원 Faculty Practice Plan의 질향상 프로그램(Quality Improvement) 책임자로 활동 중이다. 주된 관심 분야는 보건정책, 의료의 비용-효과 분석, 의료과실 감소 체계 개발 등이다.

<역자소개>

정종학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설립하였고, 예방의학교실 주임교수, 의과대학장, 대한예방의학회 이사장을 역임하였고, 역학 및 산업보건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06년 정년퇴직하였다.

김창윤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주임교수, 산업의학과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의학도서관장을 맡고있다. 역학 및 산업보건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석범 원장 MD, PhD
영남의대 부교수로 재직하다가 2004년에 퇴직하여, 대구에서 보량MCM건강의학센터를 개원하고 있으며, 건강증진과 장기요양, 보완대체의학 분야에 관심이 많다.

사공 준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주임교수와 영남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과장을 겸무하고 있다. 환경 및 산업의학, 역학 분야의 교육을 담당하는 한편 환경 및 직업적 유해요인과 신경계장애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와 환경성 질환에 대한 역학조사를 다수 수행하고 있다.

이경수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환경보건대학원 보건학과 학과장 겸 대학원 보건학과 주임교수를 맡고 있으며, 의료관리분야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도시지역 보건문제, 만성질환관리, 건강증진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사업의 평가와 근거중심의 공중보건사업에 관심이 많다.

황태윤 교수 MD, PhD
영남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의료관리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건강증진과 만성질환관리에 관심이 많다. 현재 대구광역시 건강증진사업지원단장을 맡고 있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