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연

해양생물학

지은이김기태

쪽 수218면

판 형46배판

I S B N89-7581-246-4 93470

판매가16,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 해양자원을 어떻게 보존하고 가꾸어야 할지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서!!

해양생산과 해양오염에 관한 문제는 인류의 미래와 직결되는 중요한 과학기술분야의 하나이다. 또한 해양의 기초생산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해양 광합성 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해양생산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 나라는 이 분야에 대한 기초연구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해양학 전반을 다각도 다룬 이 책은 큰 의의가 있다.

제1장은 해양과 직접 관련이 있는 바람, 해류, 수온 등 자연현상과 물질들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해양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필수적인 사항들을 정확하게 정리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이게 기초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해양생태계의 연구에 대한 방법론들을 살펴보고 있으며, 해양학의 학술용어들과 해양학 연구의 기초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제4장에는 해양학 중에서 대단한 잠재력이 내포되어 있는 해양미생물에 대해서 다루었다. 해양 생물의 배양은행(culture bank)을 구축해 광합성 또는 비광합성 미생물을 연구하는 것은 유전공학적으로 해양생산의 한 분야이다. 해양미생물의 먹이망을 이용한 해양미생물의 자원개발은 중요한 연구과제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해양미생물에 대한 이 책의 접근은 매우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대양의 특성과 자원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제5장과 해양오염과 보호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세계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바다의 다양한 이용과 해안 도시의 발달, 그리고 대규모 해양 산업 단지의 조성에 따른 선박 오염, 도시 하수, 해안 방파제 건설 등으로 인해 해양오염이 심각해지고 있고, 바다를 사막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해양오염의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사례들을 통해 비중 있게 다루었다.

제6장은 바다의 자연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호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저자의 고민과 대안들을 우리 나라의 바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이 책은 실제로 저자가 접했던 다양한 바다, 예로서 우리나라의 동해를 비롯하여 지중해, 영불해협, 유럽의 대서양, 아프리카의 대서양, 남미의 대서양, 남극권의 바다, 북극권의 바다, 동남아의 태평양 등으로부터 얻은 오랜 기간동안의 현지 조사를 통한 연구 및 실험 자료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실감나게 읽혀진다

 

차례

제1장 해양환경
1. 바람
2. 해류
3. 수온
4. 염도
5. 용존산소
6. 인산염(P-PO4)
7. 질산염 (N-NO3)
8. 질소와 인의 비률 (N/P)
9. 아질산염 (N-NO2)
10. 규산염 (Si-SiO4)
11. 투명도와 세스톤
12. 어황

제2장 해양생태계와 연구방법
1. 해양생태계의 개요
2. Marine Ecosystem 의 parameters와 연구 방법
3. 광합성 해양미생물의 색소연구
4. 해양의 제1차 생산량연구

제3장 해양의 기초 생산자
1. Microflora의 생물학적 의의
2. Microflora의 국문-구문 학술용어
3. Microflora의 구문-국문 학술용어
4. Microflora의 여러 가지 형태
5. Microflora에 대한 학술용어의 해설
6. Microflora의 형태학적 구조
7. 광합성 해양미생물의 생체량 (Biomass)

제4장 해양생산
1. 해양생산 및 연구 방법
2. 해양미생물의 개요
3. 서해의 갯벌 자연과 미생물 자원
4. ATP와 수계 미생물
5. 해태의 양식과 영양분
6. 심층해수와 양식
7. 바람과 명태잡이
8. 대만의 자연과 해양양식
9. 아르헨티나의 해안생물 자원
10. 대서양 카나리아 군도의 자연과 수산자원
11. 아프리카의 황금어장, 모리타니 해역

제5장 해양오염
1. 적조현상 (Red Tide)
2. 흑조현상 (Black Tide)
3. 녹조현상 (Green Tide)
4. 해양오염
5. 영일만의 자연과 해양오염
6. 영일만의 저층오염
7. 해양오염과 백화현상
8. 해양오염의 일례 : 뱀장어의 떼죽음

제6장 바다의 자연보호
1. 파괴되는 해양 생태계
2. 해양생태계의 복원
3. 바다의 자연보호
4. 경북해안의 Blue Belt 조성
5. 연안 생태계 보호와 간척사업
6. 백령도의 매립공사와 자연보호
7. 독도의 자연보호와 영토권
8. 해양·오염원에 대한 대책

 

책속으로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이학석사 및 이학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프랑스에서 해양생물학으로 이학국가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 교수. 미국 올드도미니언(Old Dominion)대학교 해양학과 교환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미국, 아르헨티나, 모리타니, 동남아 등 세계 30여개국에서 해양과학의 조사와 연구 또는 강의를 한 바 있다.
경상북도 문화상으로 자연과학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해양생물학, 주로 해양 생산에 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동해 남부 해역의 연구><해양 생산과 오염><지중해얀의 에땅 드베르호 연구Ⅰ,Ⅱ>등이 있다

 

서평

책소개

* 해양자원을 어떻게 보존하고 가꾸어야 할지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서!!

해양생산과 해양오염에 관한 문제는 인류의 미래와 직결되는 중요한 과학기술분야의 하나이다. 또한 해양의 기초생산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해양 광합성 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해양생산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 나라는 이 분야에 대한 기초연구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해양학 전반을 다각도 다룬 이 책은 큰 의의가 있다.

제1장은 해양과 직접 관련이 있는 바람, 해류, 수온 등 자연현상과 물질들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해양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필수적인 사항들을 정확하게 정리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이게 기초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해양생태계의 연구에 대한 방법론들을 살펴보고 있으며, 해양학의 학술용어들과 해양학 연구의 기초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제4장에는 해양학 중에서 대단한 잠재력이 내포되어 있는 해양미생물에 대해서 다루었다. 해양 생물의 배양은행(culture bank)을 구축해 광합성 또는 비광합성 미생물을 연구하는 것은 유전공학적으로 해양생산의 한 분야이다. 해양미생물의 먹이망을 이용한 해양미생물의 자원개발은 중요한 연구과제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해양미생물에 대한 이 책의 접근은 매우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대양의 특성과 자원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제5장과 해양오염과 보호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세계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바다의 다양한 이용과 해안 도시의 발달, 그리고 대규모 해양 산업 단지의 조성에 따른 선박 오염, 도시 하수, 해안 방파제 건설 등으로 인해 해양오염이 심각해지고 있고, 바다를 사막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해양오염의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사례들을 통해 비중 있게 다루었다.

제6장은 바다의 자연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호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저자의 고민과 대안들을 우리 나라의 바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이 책은 실제로 저자가 접했던 다양한 바다, 예로서 우리나라의 동해를 비롯하여 지중해, 영불해협, 유럽의 대서양, 아프리카의 대서양, 남미의 대서양, 남극권의 바다, 북극권의 바다, 동남아의 태평양 등으로부터 얻은 오랜 기간동안의 현지 조사를 통한 연구 및 실험 자료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실감나게 읽혀진다

 

차례

제1장 해양환경
1. 바람
2. 해류
3. 수온
4. 염도
5. 용존산소
6. 인산염(P-PO4)
7. 질산염 (N-NO3)
8. 질소와 인의 비률 (N/P)
9. 아질산염 (N-NO2)
10. 규산염 (Si-SiO4)
11. 투명도와 세스톤
12. 어황

제2장 해양생태계와 연구방법
1. 해양생태계의 개요
2. Marine Ecosystem 의 parameters와 연구 방법
3. 광합성 해양미생물의 색소연구
4. 해양의 제1차 생산량연구

제3장 해양의 기초 생산자
1. Microflora의 생물학적 의의
2. Microflora의 국문-구문 학술용어
3. Microflora의 구문-국문 학술용어
4. Microflora의 여러 가지 형태
5. Microflora에 대한 학술용어의 해설
6. Microflora의 형태학적 구조
7. 광합성 해양미생물의 생체량 (Biomass)

제4장 해양생산
1. 해양생산 및 연구 방법
2. 해양미생물의 개요
3. 서해의 갯벌 자연과 미생물 자원
4. ATP와 수계 미생물
5. 해태의 양식과 영양분
6. 심층해수와 양식
7. 바람과 명태잡이
8. 대만의 자연과 해양양식
9. 아르헨티나의 해안생물 자원
10. 대서양 카나리아 군도의 자연과 수산자원
11. 아프리카의 황금어장, 모리타니 해역

제5장 해양오염
1. 적조현상 (Red Tide)
2. 흑조현상 (Black Tide)
3. 녹조현상 (Green Tide)
4. 해양오염
5. 영일만의 자연과 해양오염
6. 영일만의 저층오염
7. 해양오염과 백화현상
8. 해양오염의 일례 : 뱀장어의 떼죽음

제6장 바다의 자연보호
1. 파괴되는 해양 생태계
2. 해양생태계의 복원
3. 바다의 자연보호
4. 경북해안의 Blue Belt 조성
5. 연안 생태계 보호와 간척사업
6. 백령도의 매립공사와 자연보호
7. 독도의 자연보호와 영토권
8. 해양·오염원에 대한 대책

 

책속으로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이학석사 및 이학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프랑스에서 해양생물학으로 이학국가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 교수. 미국 올드도미니언(Old Dominion)대학교 해양학과 교환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미국, 아르헨티나, 모리타니, 동남아 등 세계 30여개국에서 해양과학의 조사와 연구 또는 강의를 한 바 있다.
경상북도 문화상으로 자연과학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해양생물학, 주로 해양 생산에 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동해 남부 해역의 연구><해양 생산과 오염><지중해얀의 에땅 드베르호 연구Ⅰ,Ⅱ>등이 있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