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연

환경오염생태학

지은이공인철

쪽 수228

판 형

I S B N978-89-7581-385-6

판매가13,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 생태계의 근본원리와 운영체계, 다양한 오염요인과 생태계 회복 등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시각을 제공 -
현시대에는 환경보전과 상충되는 활동인 개발이 환경(생태계)의 흐름을 파괴하지 않고 보전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방향 설정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방향으로 환경문제를 이끌어 갈 때 건강한 생태계의 지속성은 더욱 유지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접근을 위해서는 개발 혹은 환경기술의 주된 부분을 담당하는 이들에게 생태계의 근본원리와 운영체계, 다양한 오염요인과 생태계 회복 등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시각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 독자들이 생태계에서 실제 발생하는 현상 및 문제들에 대한 조사를 하도록 하여 생태계 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 -
제1부에서는 생태학 및 생태계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생태계 개념, 모든 흐름의 근본인 에너지, 생태계 예측을 위한 모델링, 순환 등에 대해서 다루었고, 제2부에서는 개발로 인하여 환경에 유출되는 다양한 오염요인들이 우리인간이 살고 있는 생태계(자연환경)에 미치는 현상 및 영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이미 오염된 생태계의 적절한 회복을 위한 평가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위해성 평가와 관리 및 생태공학에 대한 기초사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 독자들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생태계에서 실제 발생하는 현상 및 문제들에 대한 조사를 하도록 하여 생태계 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환경공학(과학) 기술 수행에 공학적(기술적) 관점과 생태계 보전 관점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 -
환경학을 전공 하거나 환경 분야에 관심 있는 이들이 생태계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공학(과학)의 기술 수행에 공학적(기술적) 관점과 생태계 보전 관점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계 보전 개념과 병행하여 수행되는 환경계획들은 지구 생태계 보전에 긍정적인 역할들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구성은 다양한 국내외 관련 도서들과 논문 그리고 인터넷의 풍부한 정보를 참고로 하여 구성하였으며 향후 계속 새로운 정보들을 첨가해 나갈 예정이다.

 

차례

제1부 환경과 생태학
1장 생태계와 스트레스
1. 1 스트레스와 긴장
1. 2 적응과 제한요인
1. 3 생태적 지위

2장 생태계 구조 및 특성
2. 1 생태계 정의
2. 2 생태계 구조
2. 3 생물 다양성
2. 4 생산과 분해 개념
2. 5 시스템 개념

3장 개체군 및 군집 생태학
3. 1 개체군 생태학
3. 2 군집 생태학
3. 3 생물체 상호작용
3. 4 생태계 기능적 특성

4장 생태계와 에너지
4. 1 에너지 기본 개념
4. 2 에너지 흐름과 생물량
4. 3 생산량 및 측정방법
4. 4 에머지(eMergy)
4. 5 자원 에너지

5장 생태계 모델링
5. 1 에너지 시스템 언어
5. 2 단순 성장모델
5. 3 진동(oscillation) 모델

6장 생지화학적 순환
6. 1 탄소, 수소 및 산소(C, H, O) 순환
6. 2 질소 순환
6. 3 인 순환
6. 4 황 순환
6. 5 철 순환
6. 6 기타 원소 순환

7장 생태계 조절 환경요인
7. 1 수분
7. 2 온도 및 일광
7. 3 산소
7. 4 이산화탄소 및 pH
7. 5 토양

제2부 환경 오염 생태학(environmental pollution ecology)
8장 중금속 오염
8. 1 배경농도
8. 2 중금속 독성
8. 3 중금속 오염 피해
8. 4 중금속 피해 사례

9장 산성 강하물(acid-deposition)
9. 1 산성강하물 화학적 특성
9. 2 토양환경 변화
9. 3 지표수 산성화
9. 4 생물학적 영향

10장 유류 오염
10. 1 화학적 특성
10. 2 유류 오염
10. 3 생물학적 영향

11장 수생태계 오염
11. 1 생태계와 물
11. 2 자정작용
11. 3 수질오염
11. 4 수질오염 영향
11. 5 비누와 세제

12장 농약(pesticides)
12. 1 농약 형태
12. 2 생태계 영향
12. 3 농약 대체 방법
12. 4 환경 호르몬(environmental hormones)
제3부 오염 생태계 관리
13장 위해성 평가(risk assessment)
13. 1 서 론
13. 2 건강위해성 평가
13. 3 생태계 위해성 평가
13. 4 위해도 관리

14장 생태 공학(ecological engineering)
14. 1 서론
14. 2 생태공학 접근 방법
14. 3 생태공학 설계 및 실행 기본 원칙
14. 4 생태공학 적용 사례

주요 참고문헌
부록

 

책속으로

인간 생존 현장인 지구 생태계는 지키고 보전하여야 할 귀중한 자산이지만, 인구 증가, 생활수준 향상 및 산업 발달 등의 결과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은 자연 정화능력(자정능력; self-purification)의 한계를 넘어 지구생태계 오염을 더욱 가속화한다. 따라서 현 시대에는 환경보전과 상충되는 활동인 개발이 환경(생태계)의 흐름을 파괴하지 않고 보전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속 가능한 개발(Environment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에 대한 방향 설정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방향으로 환경문제를 이끌어 갈 때 건강한 생태계의 지속성은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위해서는 개발 혹은 환경기술의 주된 부분을 담당하는 환경 공(과)학도들이 생태계의 근본원리와 운영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저자소개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Iowa(생화학공학과)와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석사 및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US. EPA 에덴스 실험실과 University of Florida 환경공학과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친 후, 1994년부터 현재까지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재직 중 미국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와 Kansas State University에서 방문연구를 하였다. 저자의 환경미생물연구실에서는 미생물 중 주로 박테리아를 이용한 응용분야(오염원 생분해, 급성독성평가 및 방법 개발, 유전자 재조합균주 환경적용 biomonitoring, 생물발광기술적용, 중금속 영향, 지하수,지표수,토양 및 처리 공정미생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서평

책소개

 - 생태계의 근본원리와 운영체계, 다양한 오염요인과 생태계 회복 등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시각을 제공 -
현시대에는 환경보전과 상충되는 활동인 개발이 환경(생태계)의 흐름을 파괴하지 않고 보전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방향 설정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방향으로 환경문제를 이끌어 갈 때 건강한 생태계의 지속성은 더욱 유지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접근을 위해서는 개발 혹은 환경기술의 주된 부분을 담당하는 이들에게 생태계의 근본원리와 운영체계, 다양한 오염요인과 생태계 회복 등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시각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 독자들이 생태계에서 실제 발생하는 현상 및 문제들에 대한 조사를 하도록 하여 생태계 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 -
제1부에서는 생태학 및 생태계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생태계 개념, 모든 흐름의 근본인 에너지, 생태계 예측을 위한 모델링, 순환 등에 대해서 다루었고, 제2부에서는 개발로 인하여 환경에 유출되는 다양한 오염요인들이 우리인간이 살고 있는 생태계(자연환경)에 미치는 현상 및 영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이미 오염된 생태계의 적절한 회복을 위한 평가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위해성 평가와 관리 및 생태공학에 대한 기초사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 독자들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생태계에서 실제 발생하는 현상 및 문제들에 대한 조사를 하도록 하여 생태계 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환경공학(과학) 기술 수행에 공학적(기술적) 관점과 생태계 보전 관점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 -
환경학을 전공 하거나 환경 분야에 관심 있는 이들이 생태계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공학(과학)의 기술 수행에 공학적(기술적) 관점과 생태계 보전 관점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계 보전 개념과 병행하여 수행되는 환경계획들은 지구 생태계 보전에 긍정적인 역할들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구성은 다양한 국내외 관련 도서들과 논문 그리고 인터넷의 풍부한 정보를 참고로 하여 구성하였으며 향후 계속 새로운 정보들을 첨가해 나갈 예정이다.

 

차례

제1부 환경과 생태학
1장 생태계와 스트레스
1. 1 스트레스와 긴장
1. 2 적응과 제한요인
1. 3 생태적 지위

2장 생태계 구조 및 특성
2. 1 생태계 정의
2. 2 생태계 구조
2. 3 생물 다양성
2. 4 생산과 분해 개념
2. 5 시스템 개념

3장 개체군 및 군집 생태학
3. 1 개체군 생태학
3. 2 군집 생태학
3. 3 생물체 상호작용
3. 4 생태계 기능적 특성

4장 생태계와 에너지
4. 1 에너지 기본 개념
4. 2 에너지 흐름과 생물량
4. 3 생산량 및 측정방법
4. 4 에머지(eMergy)
4. 5 자원 에너지

5장 생태계 모델링
5. 1 에너지 시스템 언어
5. 2 단순 성장모델
5. 3 진동(oscillation) 모델

6장 생지화학적 순환
6. 1 탄소, 수소 및 산소(C, H, O) 순환
6. 2 질소 순환
6. 3 인 순환
6. 4 황 순환
6. 5 철 순환
6. 6 기타 원소 순환

7장 생태계 조절 환경요인
7. 1 수분
7. 2 온도 및 일광
7. 3 산소
7. 4 이산화탄소 및 pH
7. 5 토양

제2부 환경 오염 생태학(environmental pollution ecology)
8장 중금속 오염
8. 1 배경농도
8. 2 중금속 독성
8. 3 중금속 오염 피해
8. 4 중금속 피해 사례

9장 산성 강하물(acid-deposition)
9. 1 산성강하물 화학적 특성
9. 2 토양환경 변화
9. 3 지표수 산성화
9. 4 생물학적 영향

10장 유류 오염
10. 1 화학적 특성
10. 2 유류 오염
10. 3 생물학적 영향

11장 수생태계 오염
11. 1 생태계와 물
11. 2 자정작용
11. 3 수질오염
11. 4 수질오염 영향
11. 5 비누와 세제

12장 농약(pesticides)
12. 1 농약 형태
12. 2 생태계 영향
12. 3 농약 대체 방법
12. 4 환경 호르몬(environmental hormones)
제3부 오염 생태계 관리
13장 위해성 평가(risk assessment)
13. 1 서 론
13. 2 건강위해성 평가
13. 3 생태계 위해성 평가
13. 4 위해도 관리

14장 생태 공학(ecological engineering)
14. 1 서론
14. 2 생태공학 접근 방법
14. 3 생태공학 설계 및 실행 기본 원칙
14. 4 생태공학 적용 사례

주요 참고문헌
부록

 

책속으로

인간 생존 현장인 지구 생태계는 지키고 보전하여야 할 귀중한 자산이지만, 인구 증가, 생활수준 향상 및 산업 발달 등의 결과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은 자연 정화능력(자정능력; self-purification)의 한계를 넘어 지구생태계 오염을 더욱 가속화한다. 따라서 현 시대에는 환경보전과 상충되는 활동인 개발이 환경(생태계)의 흐름을 파괴하지 않고 보전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속 가능한 개발(Environment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에 대한 방향 설정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방향으로 환경문제를 이끌어 갈 때 건강한 생태계의 지속성은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위해서는 개발 혹은 환경기술의 주된 부분을 담당하는 환경 공(과)학도들이 생태계의 근본원리와 운영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저자소개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Iowa(생화학공학과)와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석사 및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US. EPA 에덴스 실험실과 University of Florida 환경공학과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친 후, 1994년부터 현재까지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재직 중 미국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와 Kansas State University에서 방문연구를 하였다. 저자의 환경미생물연구실에서는 미생물 중 주로 박테리아를 이용한 응용분야(오염원 생분해, 급성독성평가 및 방법 개발, 유전자 재조합균주 환경적용 biomonitoring, 생물발광기술적용, 중금속 영향, 지하수,지표수,토양 및 처리 공정미생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