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예술

체육스포츠 철학의 제 문제

지은이김동규 외

출판일2011.10.28

쪽 수393

판 형크라운판

I S B N978-89-7581-437-2 93690

판매가22,000원

책소개

체육·스포츠의 장르별 과제와 이슈들을 철학적 관점에서 접목시켜 해결책 도출
이 책은 철학의 개념과 철학사상별 특징을 규명한 후, 이를 체육·스포츠의 장르별 과제들과 결부시켜 그에 따른 이슈들을 철학적 시각으로 논의하고 있다. 체육·스포츠의 이론과 실천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반성적 자각’과 ‘비판정신’을 근간으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철학의 정신을 현실적인 문제점과 접목시켜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도출해 내고자 노력하였다. 기존의 체육철학 관련 저서들은 다른 학문분야와는 달리 형식의 일관성이 약하고, 내용구성 또한 저마다 달랐다. 그리고 외서번역의 경우, 난삽함 때문에 의사소통 단절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지나치게 사변논리 지향적이었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해 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국내 체육철학 분야의 연구물이 일천한 실상을 보완하고 있으며, 체육 스포츠 분야의 인문학 연구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몸 철학, 체육학 연구의 통섭, 스포츠윤리, 스포츠실천, 동양무도 등 다섯 영역으로 체육⋅스포츠 실천철학을 탐구
‘제1부 철학개설’에서는 인문학과 철학의 의미, 대상영역, 체육철학의 의의, 그리고 체육사조와 체육 등을 소개하였다. 이는 체육학 및 체육철학의 입문에 있어 거쳐야 할 필연적 과정이다. ‘제2부 체육⋅스포츠 실천철학’에서는 몸 철학, 체육학 연구의 통섭, 스포츠윤리, 스포츠실천, 동양무도 등 다섯 영역으로 분류하여, 탐구한 15편의 연구물을 수록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체육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아이템을 구상하고 논술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 체육⋅스포츠칼럼’은 저자가 체육·스포츠 철학과 관련하여 언론에 기고한 20여 편의 담론들이다. 체육⋅스포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전달해야할 사명이 체육철학자들의 의무임을 절감하고 꾸준히 설파한 주장의 일부이다. 
  
 
체육철학을 통해 체육·스포츠계가 안고 있는 현실적인 제반 문제에 대한 대안 제시
체육학이 지나치게 과학주의에 매몰되어 가고 있는 현상은 우려할만하다. 스포츠현장의 과열경쟁에 의해 과학적 실험과 조사방법, 우월주의가 팽배해 있고, 학교 체육프로그램조차 계량화에 의한 상대평가가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나친

 

차례

제1부 철학 개설
 
제1장 철학의 의미
1. 왜 인문학인가?
2. 철학이란 무엇인가?
3. 체육·스포츠에 철학은 왜? 
 
제2장 철학의 대상
1. 형이상학, 존재론
2. 인식론
3. 가치론
4. 논리학 
 
제3장 철학사조와 체육·스포츠
1. 자연주의
2. 관념론
3. 실재론
4. 실용주의
5. 실존주의 
 
제2부 체육·스포츠 실천철학
 
제1장 몸 철학
문제 1. 몸에 대한 사회철학적 담론
문제 2. 체육적 앎에 대한 실존적 논의
문제 3. 스포츠 섹슈얼리티 담론 
 
제2장 체육학 연구의 통섭
문제 4. 체육인문학의 자생적 패러다임
문제 5. 체육학의 세분화와 통합화
문제 6. 체육인문학의 메가트렌드
문제 7. 체육학의 동서학문간 통섭론 
 
제3장 스포츠윤리
문제 8. 스포츠윤리의 정초
문제 9. 녹색성장과 스포츠 환경
문제 10. 복제인간, 생명공학과 체육학 
 
제4장 스포츠실천
문제 11. 스포츠실천의 진보
문제 12. 스포츠내셔널리즘 
 
제5장 동양무도
문제 13. 무도의 개념정의
문제 14. 王陽明의 ‘知行合一’ 사상과 무도의 도덕성
문제 15. 태권도수련의 진보: 보편성과 개방성
 
제3부 체육·스포츠 칼럼
 

 

책속으로

앎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을 안다’라는 이론적인 앎과 ‘~를 할 줄 안다’라는 실천적인 앎이다. 이론적인 앎은 정신적인 지성에 그치지만 실천적인 앎은 몸 전체로 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수영이나 테니스를 배우려고 할 때 먼저 두 운동의 역사와 역학적 생리학적 원리 등 이론적인 부분을 배운다. 그 이후에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를 이론적으로 배운다. 그렇다고 수영과 테니스를 다 배웠다고 할 수 있을까? 두 운동을 잘 할 수 있을까? 나아가서 ‘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을까’를 배운다고 해서 잘 살 수 있을까? 몸 전체로 수영과 테니스에 대한 경험을 통해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는 실천적인 앎을 맛볼 수 없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체육에 대한 느낌을 전해줄 수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고, 그것은 오늘날 교육의 최대 관건이다. 바로 체육적 앎이 담당하고 있는 영역인 것이다.

최근 체육학 분야에서는 심·신의 관계를 밝혀 신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연구가 있다. 이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인간의 정신세계에 억눌려 있던 신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려는 시도이고, 이를 통해 체육학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인 것이다. 이를 통해 체육적 앎의 수단이 되는 인간의 신체와 움직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도 그 중 대표적인 연구대상인 폴러니(K. Polanyi)와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 사르트르(J. P. Sartre), 니체(F. Nietzsche)를 통해 체육적 앎과 인간 움직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자.

 

저자소개

김동규 金東奎
영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체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졸업(체육학석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졸업(이학박사)
 
현재
영남대학교 체육학부 교수
스포츠사회철학회 회장
동아시아운동․스포츠과학회(한․중․일) 회장
한국체육철학회 고문
대구․경북체육학회 고문
경북농구협회 고문
 
저서
농구의 이론과 실제(1982)
체육원리의 제 문제(1996)
세계체육사(1999)
김동규교수의 스포츠사회철학 담론(2002)
 
공저
건강한 삶과 운동(1995)
스포츠의 철학적 이해(1999)
스포츠사회철학 담론(2000)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2002)
오늘과 내일을 바라본 체육․스포츠론(2002)
스포츠환경론(2002)
체육철학(2002)
중국체육․스포츠(2002)
김동규교수․신선우감독의 농구교실(2004)
체육․스포츠인물사(2004)
스포츠의 사회운동적 이해(2006)
학교체육 제 모습찾기(2009)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개정판, 2011)
 

 

서평

책소개

체육·스포츠의 장르별 과제와 이슈들을 철학적 관점에서 접목시켜 해결책 도출
이 책은 철학의 개념과 철학사상별 특징을 규명한 후, 이를 체육·스포츠의 장르별 과제들과 결부시켜 그에 따른 이슈들을 철학적 시각으로 논의하고 있다. 체육·스포츠의 이론과 실천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반성적 자각’과 ‘비판정신’을 근간으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철학의 정신을 현실적인 문제점과 접목시켜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도출해 내고자 노력하였다. 기존의 체육철학 관련 저서들은 다른 학문분야와는 달리 형식의 일관성이 약하고, 내용구성 또한 저마다 달랐다. 그리고 외서번역의 경우, 난삽함 때문에 의사소통 단절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지나치게 사변논리 지향적이었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해 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국내 체육철학 분야의 연구물이 일천한 실상을 보완하고 있으며, 체육 스포츠 분야의 인문학 연구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몸 철학, 체육학 연구의 통섭, 스포츠윤리, 스포츠실천, 동양무도 등 다섯 영역으로 체육⋅스포츠 실천철학을 탐구
‘제1부 철학개설’에서는 인문학과 철학의 의미, 대상영역, 체육철학의 의의, 그리고 체육사조와 체육 등을 소개하였다. 이는 체육학 및 체육철학의 입문에 있어 거쳐야 할 필연적 과정이다. ‘제2부 체육⋅스포츠 실천철학’에서는 몸 철학, 체육학 연구의 통섭, 스포츠윤리, 스포츠실천, 동양무도 등 다섯 영역으로 분류하여, 탐구한 15편의 연구물을 수록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체육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아이템을 구상하고 논술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 체육⋅스포츠칼럼’은 저자가 체육·스포츠 철학과 관련하여 언론에 기고한 20여 편의 담론들이다. 체육⋅스포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전달해야할 사명이 체육철학자들의 의무임을 절감하고 꾸준히 설파한 주장의 일부이다. 
  
 
체육철학을 통해 체육·스포츠계가 안고 있는 현실적인 제반 문제에 대한 대안 제시
체육학이 지나치게 과학주의에 매몰되어 가고 있는 현상은 우려할만하다. 스포츠현장의 과열경쟁에 의해 과학적 실험과 조사방법, 우월주의가 팽배해 있고, 학교 체육프로그램조차 계량화에 의한 상대평가가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나친

 

차례

제1부 철학 개설
 
제1장 철학의 의미
1. 왜 인문학인가?
2. 철학이란 무엇인가?
3. 체육·스포츠에 철학은 왜? 
 
제2장 철학의 대상
1. 형이상학, 존재론
2. 인식론
3. 가치론
4. 논리학 
 
제3장 철학사조와 체육·스포츠
1. 자연주의
2. 관념론
3. 실재론
4. 실용주의
5. 실존주의 
 
제2부 체육·스포츠 실천철학
 
제1장 몸 철학
문제 1. 몸에 대한 사회철학적 담론
문제 2. 체육적 앎에 대한 실존적 논의
문제 3. 스포츠 섹슈얼리티 담론 
 
제2장 체육학 연구의 통섭
문제 4. 체육인문학의 자생적 패러다임
문제 5. 체육학의 세분화와 통합화
문제 6. 체육인문학의 메가트렌드
문제 7. 체육학의 동서학문간 통섭론 
 
제3장 스포츠윤리
문제 8. 스포츠윤리의 정초
문제 9. 녹색성장과 스포츠 환경
문제 10. 복제인간, 생명공학과 체육학 
 
제4장 스포츠실천
문제 11. 스포츠실천의 진보
문제 12. 스포츠내셔널리즘 
 
제5장 동양무도
문제 13. 무도의 개념정의
문제 14. 王陽明의 ‘知行合一’ 사상과 무도의 도덕성
문제 15. 태권도수련의 진보: 보편성과 개방성
 
제3부 체육·스포츠 칼럼
 

 

책속으로

앎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을 안다’라는 이론적인 앎과 ‘~를 할 줄 안다’라는 실천적인 앎이다. 이론적인 앎은 정신적인 지성에 그치지만 실천적인 앎은 몸 전체로 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수영이나 테니스를 배우려고 할 때 먼저 두 운동의 역사와 역학적 생리학적 원리 등 이론적인 부분을 배운다. 그 이후에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를 이론적으로 배운다. 그렇다고 수영과 테니스를 다 배웠다고 할 수 있을까? 두 운동을 잘 할 수 있을까? 나아가서 ‘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을까’를 배운다고 해서 잘 살 수 있을까? 몸 전체로 수영과 테니스에 대한 경험을 통해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는 실천적인 앎을 맛볼 수 없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체육에 대한 느낌을 전해줄 수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고, 그것은 오늘날 교육의 최대 관건이다. 바로 체육적 앎이 담당하고 있는 영역인 것이다.

최근 체육학 분야에서는 심·신의 관계를 밝혀 신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연구가 있다. 이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인간의 정신세계에 억눌려 있던 신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려는 시도이고, 이를 통해 체육학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인 것이다. 이를 통해 체육적 앎의 수단이 되는 인간의 신체와 움직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도 그 중 대표적인 연구대상인 폴러니(K. Polanyi)와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 사르트르(J. P. Sartre), 니체(F. Nietzsche)를 통해 체육적 앎과 인간 움직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자.

 

저자소개

김동규 金東奎
영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체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졸업(체육학석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졸업(이학박사)
 
현재
영남대학교 체육학부 교수
스포츠사회철학회 회장
동아시아운동․스포츠과학회(한․중․일) 회장
한국체육철학회 고문
대구․경북체육학회 고문
경북농구협회 고문
 
저서
농구의 이론과 실제(1982)
체육원리의 제 문제(1996)
세계체육사(1999)
김동규교수의 스포츠사회철학 담론(2002)
 
공저
건강한 삶과 운동(1995)
스포츠의 철학적 이해(1999)
스포츠사회철학 담론(2000)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2002)
오늘과 내일을 바라본 체육․스포츠론(2002)
스포츠환경론(2002)
체육철학(2002)
중국체육․스포츠(2002)
김동규교수․신선우감독의 농구교실(2004)
체육․스포츠인물사(2004)
스포츠의 사회운동적 이해(2006)
학교체육 제 모습찾기(2009)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개정판, 2011)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