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 유가철학과 연속성
1. 들어가는 말
2. 유가의 연속적 세계관
3. 유가에서 연속적 세계관의 전개
4. 연속적 세계관과 원시사유
5. 소결
제1부 천인합일의 생명관을 통해 본 유가의 연속적 세계관
제1장 천인합일의 연속적 세계관
1. 들어가는 말
2. 연속성의 원시 존재론과 기
3. 중국철학의 자연관과 천인합일의 이념
4. 천인합일과 유기체적 세계관
5. 천인합일과 연속적 세계 질서관
6. 직분의 통일로 본 천인합일
7. 소결
제2장 생명관을 통해 본 유가의 연속적 세계관
1. 왜 생명이 문제되는가?
2. 유가의 연속적 세계관과 생명의 의미
3. 생명에 대한 유가적 해석
4. 우주의 보편생명과 개체 생명
5. 생명과 우주 공동체
6. 소결
제3장 생명 연속체로서의 宇宙大家庭의 생태적 사유
1. 들어가는 말
2. 생명 연속체로서의 자연
3. 우주대가정의 생태적 사유
4. 천인합일의 생명윤리
5. 소결
제2부 유가의 내성외왕을 통해 본 도덕과 정치의 연속
제4장 성왕이념을 통해 본 내성과 외왕의 일체적 연속
1. 들어가는 말
2. 유가의 이상적인 정치와 聖王의 이념
3. 내성외왕의 일체적 연속성이 가지는 곤경과 왜곡
4. 내성외왕에 대한 현대 신유가의 평가와 新外王理論의 전개
5. 내성이 新外王을 전개해 낸다는 이론의 현실적 난점
6. 소결
제5장 고대 유가의 덕치주의에 보이는 법과 도덕의 연속
1. 덕치는 하나의 위대한 신화인가?
2. 유가의 덕치주의와 도덕적 정치공동체
3. 유가의 도덕법 사상과 德主法輔의 예치
4. 법가의 법치에 대한 유가의 비판
5. 덕치와 유가의 조화로운 정치공동체의 이념
6. 소결
제6장 퇴계의 「무진육조소」 에 보이는 정치와 도덕의 일체적 연속과 성학의 이념
1. 들어가는 말
2. 정치의 근본으로서의 성학 : 敦聖學以立治本
3. 신체은유를 통하여 본 퇴계의 정치적 사유 : 推腹心以通耳目
4. ‘천인감응론’에 대한 성학적 해석과 견제성의 권위이원화: 誠修省以承天愛
5. 소결
제3부 역사적 연속성을 통해 본 유가의 철학적 전통
제7장 온고지신과 유가의 철학적 전통 : 공자의 전통에 대한 상고주의적 관점과 주자에서
철학의 정체
1. 들어가는 말
2. ‘전통’에 대한 공자의 기본관점: ‘역사적 연속성’과 ‘述古’
3. 공자의 ‘온고지신’의 철학적 태도와 진리의 완결성에 대한 지향: 尙古主義와 聖人之道
4. 유가의 ‘철학적 전통’에 대한 주자의 관점 : 도통과 사서
5. 주자철학에서 철학의 정체 : 理學과 聖人之道의 현실화
6. 소결
제8장 문화심리 구조와 실용이성으로 본 유학의 철학적 전통 : 李澤厚의 중국철학사의 기술
문제와 관련하여
1. 들어가는 말
2. 중국인의 문화심리 구조
3. 실용이성과 半哲學으로서의 유학
4. 문화심리 구조의 원형인 인학 모체구조와 중국철학사의 기술
5. 소결
제9장 동서교섭에서 드러난 유학의 문화적 인지구조와 견고한 자아 의식
1. 들어가는 말
2. 동서철학의 만남, 유가 정신세계의 변환에 대한 서학의 도전과 실패 : 유학에 대한 서학의 만만디의 緩進政策과 과학기술
3. 서학동점에 대한 유가의 문화적 인지구조의 대응 : 동화와 조절
4. 유학의 정체성 위기와 문화적 인지 도식의 조절 가능성 : 취사선택의 체용관과 전면교체의 整體觀
5. 유학의 견고한 자아의식과 문화적 발전구상 : 중체서용과 返本改新
6. 소결
제4부 유학의 도덕적 종교관을 통해 본 도덕과 종교의 연속
제10장 도덕적 종교 혹은 인문교 : 유학의 종교성에 대한 모종삼의 관점
1. 들어가는 말
2. 모종삼의 종교에 대한 기본 관점 : 궁극적 관심과 문화적 원동력으로서의 종교
3. 모종삼의 유학종교론에 대한 관점 : 도덕이면서 종교인 인문교
4. 모종삼의 무한지심에 대한 관점 : 圓敎의 가능 근거로서의 무한지심
5. 소결
제11장 한계 이승희의 도덕적 종교관
1. 들어가는 말
2. 유학 종교화 운동의 여러 양상
3. 이승희의 유학 종교화 운동 방향과 반기독교적 성격
4. 이승희의 심즉리설에 보이는 도덕과 종교의 결합
5. 이승희의 도덕적 종교의 성격
6. 소결
제12장 공교운동에 보이는 교화적 종교관 : 康有爲와 朴章鉉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유학 종교화 운동에 보이는 유학의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
3. 강유위의 공교운동에 보이는 교화적 성격
4. 박장현의 교화적 공교관
5. 소결
제5부 유가의 도덕적 죽음관을 통해 본 생사의 연속
제13장 유가의 죽음 담론을 통해 본 삶과 죽음의 연속
1. 어떻게 삶을 연속시킬 수 있는가?
2. 유가의 尊生과 죽음 : 存事沒寧
3. 죽음의 현상에 대한 유가의 관점 : 遊魂爲變
4. 유가의 禮에 보이는 생사의 연속 : 愼終追遠
5. 유가의 도덕적 생사관을 통한 죽음의 초월 : 死而不朽
6. 소결
제14장 공자의 도덕적 생사관 : 장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1. 들어가는 말
2. 덕복의 불일치와 죽음에 대한 유 ‧ 도가의 대응
3. 공자의 도덕적 생사관을 통해 본 죽음의 문제
1) “未知生, 焉知死”와 ‘處死之道’
2) 살신성인과 명
3) 제사와 불후
4. 장자의 기화적 생사관을 통해 본 죽음의 문제
1) 死生一條의 생사관
2) 氣化論的 생사관과 安命論
3) 不死不生
5. 공자와 장자의 죽음 논의에 보이는 생사학적 의미
제15장 포은 정몽주의 의리정신과 죽음의 의미
1. 들어가는 말
2. 포은의 성리학에 대한 관점, 黙識心融하여 實踐躬行하기
3. 포은의 실천적 의리정신
4. 포은의 죽음, 성리학적인 삶의 한 형태
5. 포은의 죽음과 불후 그리고 보응
6. 소결
결론
참고문헌
저자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