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교육사 인식의 새로운 지평
조선후기의 중인과 사회변동의 관련성
제2장 중인신분의 등장과 중인교육의 성립
1. 중인의 의미와 형성 시기
1) 새로운 신분의 탄생
2) 중인의 형성 시기
3) 중인의 사회적 지위
2. 중인교육의 의미와 영역
1) 새로운 용어로서 중인교육
2) 중인교육의 영역
제3장 역학교육과 역과입격자
1. 역학교육의 발전과정
1) 통문관通文館의 설치
2) 사역원司譯院의 출현
3) 조선시대의 사역원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역과입격자의 지위와 역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역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역과입격자
2) 세기별 역과입격자
3) 전공별 역과입격자
4) 품계와 관직별 역과입격자
제4장 의학교육과 의과입격자
1. 의학교육의 발전과정
1) 고구려의 시의侍醫 제도
2) 태의감太醫監의 설치
3) 조선시대의 삼의사三醫司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의과입격자의 지위와 의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의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의과입격자
2) 세기별 의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의과입격자
제5장 율학교육과 율과입격자
1. 율학교육의 발전과정
1) 율령전律令典의 박사제도
2) 경사육학의 확립
3) 조선시대의 율학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율과입격자의 지위와 율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율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율과입격자
2) 세기별 율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율과입격
제6장 산학교육과 산과입격자
1. 산학교육의 발전과정
1) 산학박사의 임용
2) 경사육부제京師六部制의 확립
3) 조선시대의 산학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산과입격자의 지위와 산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산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산과입격자
2) 세기별 산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산과입격자
제7장 중인교육과 조선후기의 사회변동
1. 신분적 지위의 변화
1) 중인신분의 세전성
2) 중인의 지방관 진출
2. 새로운 사회세력의 등장
1) 중인 가문의 등장
2) 오경석 가문의 세전성
3) 장현 가문의 세전성
4) 최유태 가문의 세전성
5) 개화관료와 교회지도층으로 진출한 중인
제8장 결론
중인교육의 교육사적 함의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