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사회

조선후기 중인교육

지은이이동기 지음

출판일2014-02-27

쪽 수248

판 형신국판

I S B N978-89-7581-478-593370

판매가20,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저자는 처음으로 중인교육이란 용어를 제기하고 그 발전과정을 다각도로 탐색
교육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인간사의 흔적을 탐방하는 여행이며, 오늘의 교육상황을 판단하고 새로운 미래의 좌표를 설정하는데 이바지한다. 이것이 교육사를 배우는 목적이며, 연구하는 의미라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교육사 연구는 연구영역이 편중되고 분류적인 경향을 띠어왔다. 그 결과 한국교육사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등한시되었으며 창의적인 연구방법론이 활발하게 나오지를 못하였다. 따라서 한국교육사의 연구영역이 보다 확대되고, 연구방법론은 더욱 다양화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저자는 처음으로 중인교육이란 용어를 제기하고 그 발전과정을 탐색함으로써 한국교육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소중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중인신분의 학문적 세전世傳을 분석하고 중인교육의 개념화를 시도
조선후기의 중인신분은 경제적 성장과 지적 기반의 확대 등 여러 분야에서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고, 이들은 의식의 고양과 자기역할의 증대, 신분상승운동 등을 통해 양반신분에 버금가는 사회세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중인이라는 새로운 신분의 등장은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급격하게 촉발하였다. 그리고 이들 중인은 그들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세전하는 방식으로 교육하였다. 저자는 중인신분의 학문적 세전을 분석하고 중인교육의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지금까지 이러한 중인교육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 저술이 없었기에 이 책은, 조선후기 중인들의 교육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지남指南을 제공할 것이다.

교육제도와 교육현상을 사회구조의 변동과 연계시켜 중인의 교육정책을 자세하게 분석
우리는 교육제도에 대하여 단순히 제도적인 차원에서만 접근하려는 편협성을 탈피하고, 교육제도를 사회구조 내지는 사회적 변화와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관점을 저자는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교육제도와 교육현상을 사회구조의 변동과 연계시켜 조선후기 중인의 교육정책을 분야별로 자세하게 살펴보고 있다. 1장에서는 한국교육사의 연구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이 저서의 연구목적과 연구내용, 2장에서는 중인의 의미와 형성시기 및 영역을 다루고 있다. 3장에서는 역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역과입격자의 분석, 4장에서는 의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의과입격자의 분석, 5장에서는 율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율과입격자의 분석, 6장에서는 산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산과입격자의 분석을 교육정책의 변화와 관련시켜 논의하고 있다. 7장에서는 중인교육과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중인의 신분적 지위변동과 중인가문의 세전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 제8장에서는 중인교육의 교육사적 함의를 논의하고 있다.

 

 

차례

1장 서론
교육사 인식의 새로운 지평
조선후기의 중인과 사회변동의 관련성

2장 중인신분의 등장과 중인교육의 성립
1. 중인의 의미와 형성 시기
1) 새로운 신분의 탄생
2) 중인의 형성 시기
3) 중인의 사회적 지위


2. 중인교육의 의미와 영역
1) 새로운 용어로서 중인교육
2) 중인교육의 영역 
 

3장 역학교육과 역과입격자
1. 역학교육의 발전과정
1) 통문관通文館의 설치
2) 사역원司譯院의 출현
3) 조선시대의 사역원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역과입격자의 지위와 역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역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역과입격자
2) 세기별 역과입격자
3) 전공별 역과입격자
4) 품계와 관직별 역과입격자  

4장 의학교육과 의과입격자
1. 의학교육의 발전과정
1) 고구려의 시의侍醫 제도
2) 태의감太醫監의 설치
3) 조선시대의 삼의사三醫司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의과입격자의 지위와 의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의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의과입격자
2) 세기별 의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의과입격자 

5장 율학교육과 율과입격자
1. 율학교육의 발전과정
1) 율령전律令典의 박사제도
2) 경사육학의 확립
3) 조선시대의 율학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율과입격자의 지위와 율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율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율과입격자
2) 세기별 율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율과입격 

6장 산학교육과 산과입격자
1. 산학교육의 발전과정
1) 산학박사의 임용
2) 경사육부제京師六部制의 확립
3) 조선시대의 산학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산과입격자의 지위와 산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산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산과입격자
2) 세기별 산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산과입격자
 

7장 중인교육과 조선후기의 사회변동
1. 신분적 지위의 변화
1) 중인신분의 세전성
2) 중인의 지방관 진출


2. 새로운 사회세력의 등장
1) 중인 가문의 등장
2) 오경석 가문의 세전성
3) 장현 가문의 세전성
4) 최유태 가문의 세전성
5) 개화관료와 교회지도층으로 진출한 중인  

8장 결론
중인교육의 교육사적 함의

참고문헌
부 록

 

 

책속으로

 중인은 조선후기의 새로운 사회를 태동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등장한 사회적 신분이며, 이들은 기술학과 하급 행정직에 종사하면서 자신들의 경제적 성장과 지적 기반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중인교육은 중인을 양성할 목적으로 중인이 갖추어야할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전수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말한다.
 한편, 중인 가계家系는 조선 말기까지 명문씨족名門氏族에 편중되면서 문벌을 형성하였고, 세전世傳의 형식으로 세습화되어 중인신분을 공고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봉건적 질서의 해체와 사회적 신분의 와해가 발생하자 의역醫譯 중인을 중심으로 신분상승 운동인 통청通淸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촉진하는 하나의 도화선으로 작용한다. 저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다.

 

 

저자소개

이동기李東基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박사)
영남대 학교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영남대 연구교수 및 객원교수
논문 : 퇴계학파의 교육사상 외 20여편
저서 : 한국의 전통교육,
교육학개론,
사람됨의 길은 예절이다

 

 

서평

책소개

저자는 처음으로 중인교육이란 용어를 제기하고 그 발전과정을 다각도로 탐색
교육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인간사의 흔적을 탐방하는 여행이며, 오늘의 교육상황을 판단하고 새로운 미래의 좌표를 설정하는데 이바지한다. 이것이 교육사를 배우는 목적이며, 연구하는 의미라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교육사 연구는 연구영역이 편중되고 분류적인 경향을 띠어왔다. 그 결과 한국교육사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등한시되었으며 창의적인 연구방법론이 활발하게 나오지를 못하였다. 따라서 한국교육사의 연구영역이 보다 확대되고, 연구방법론은 더욱 다양화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저자는 처음으로 중인교육이란 용어를 제기하고 그 발전과정을 탐색함으로써 한국교육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소중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중인신분의 학문적 세전世傳을 분석하고 중인교육의 개념화를 시도
조선후기의 중인신분은 경제적 성장과 지적 기반의 확대 등 여러 분야에서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고, 이들은 의식의 고양과 자기역할의 증대, 신분상승운동 등을 통해 양반신분에 버금가는 사회세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중인이라는 새로운 신분의 등장은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급격하게 촉발하였다. 그리고 이들 중인은 그들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세전하는 방식으로 교육하였다. 저자는 중인신분의 학문적 세전을 분석하고 중인교육의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지금까지 이러한 중인교육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 저술이 없었기에 이 책은, 조선후기 중인들의 교육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지남指南을 제공할 것이다.

교육제도와 교육현상을 사회구조의 변동과 연계시켜 중인의 교육정책을 자세하게 분석
우리는 교육제도에 대하여 단순히 제도적인 차원에서만 접근하려는 편협성을 탈피하고, 교육제도를 사회구조 내지는 사회적 변화와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관점을 저자는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교육제도와 교육현상을 사회구조의 변동과 연계시켜 조선후기 중인의 교육정책을 분야별로 자세하게 살펴보고 있다. 1장에서는 한국교육사의 연구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이 저서의 연구목적과 연구내용, 2장에서는 중인의 의미와 형성시기 및 영역을 다루고 있다. 3장에서는 역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역과입격자의 분석, 4장에서는 의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의과입격자의 분석, 5장에서는 율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율과입격자의 분석, 6장에서는 산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산과입격자의 분석을 교육정책의 변화와 관련시켜 논의하고 있다. 7장에서는 중인교육과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중인의 신분적 지위변동과 중인가문의 세전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 제8장에서는 중인교육의 교육사적 함의를 논의하고 있다.

 

 

차례

1장 서론
교육사 인식의 새로운 지평
조선후기의 중인과 사회변동의 관련성

2장 중인신분의 등장과 중인교육의 성립
1. 중인의 의미와 형성 시기
1) 새로운 신분의 탄생
2) 중인의 형성 시기
3) 중인의 사회적 지위


2. 중인교육의 의미와 영역
1) 새로운 용어로서 중인교육
2) 중인교육의 영역 
 

3장 역학교육과 역과입격자
1. 역학교육의 발전과정
1) 통문관通文館의 설치
2) 사역원司譯院의 출현
3) 조선시대의 사역원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역과입격자의 지위와 역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역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역과입격자
2) 세기별 역과입격자
3) 전공별 역과입격자
4) 품계와 관직별 역과입격자  

4장 의학교육과 의과입격자
1. 의학교육의 발전과정
1) 고구려의 시의侍醫 제도
2) 태의감太醫監의 설치
3) 조선시대의 삼의사三醫司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의과입격자의 지위와 의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의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의과입격자
2) 세기별 의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의과입격자 

5장 율학교육과 율과입격자
1. 율학교육의 발전과정
1) 율령전律令典의 박사제도
2) 경사육학의 확립
3) 조선시대의 율학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율과입격자의 지위와 율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율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율과입격자
2) 세기별 율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율과입격 

6장 산학교육과 산과입격자
1. 산학교육의 발전과정
1) 산학박사의 임용
2) 경사육부제京師六部制의 확립
3) 조선시대의 산학
(1) 연혁과 직제
(2)
선발제도와 교육과정
(3) 산과입격자의 지위와 산학 권장책


2. 조선후기 산과입격자의 분석
1) 왕조별 산과입격자
2) 세기별 산과입격자
3) 품계와 관직별 산과입격자
 

7장 중인교육과 조선후기의 사회변동
1. 신분적 지위의 변화
1) 중인신분의 세전성
2) 중인의 지방관 진출


2. 새로운 사회세력의 등장
1) 중인 가문의 등장
2) 오경석 가문의 세전성
3) 장현 가문의 세전성
4) 최유태 가문의 세전성
5) 개화관료와 교회지도층으로 진출한 중인  

8장 결론
중인교육의 교육사적 함의

참고문헌
부 록

 

 

책속으로

 중인은 조선후기의 새로운 사회를 태동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등장한 사회적 신분이며, 이들은 기술학과 하급 행정직에 종사하면서 자신들의 경제적 성장과 지적 기반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중인교육은 중인을 양성할 목적으로 중인이 갖추어야할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전수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말한다.
 한편, 중인 가계家系는 조선 말기까지 명문씨족名門氏族에 편중되면서 문벌을 형성하였고, 세전世傳의 형식으로 세습화되어 중인신분을 공고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봉건적 질서의 해체와 사회적 신분의 와해가 발생하자 의역醫譯 중인을 중심으로 신분상승 운동인 통청通淸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촉진하는 하나의 도화선으로 작용한다. 저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다.

 

 

저자소개

이동기李東基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박사)
영남대 학교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영남대 연구교수 및 객원교수
논문 : 퇴계학파의 교육사상 외 20여편
저서 : 한국의 전통교육,
교육학개론,
사람됨의 길은 예절이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