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 미디어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를 설계하고 수행할 때 내리는 주요 결정 사례 제공
공중 보건은 커뮤니케이션처럼 무엇보다도 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인류학 및 심리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로 구성되는 다학문적인 분야다. 이 책은 내용분석 연구가 건강과 관련된 행동을 고찰하는 데 사용됨에 따라 내용분석 연구 실례와 전술에 관한 최근의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내용분석 연구를 통해서 공중 보건 메시지를 조사하는 것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내용분석 연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따른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가에 대한 사례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 그것은 곧 다른 대안들의 전통과 가정 그리고 함의를 살펴볼 수 있게 해 준다.
공중 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분석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점에 초점
공중 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분석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점에 이 책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울러 전 연구 과정에서 내려지는 ‘결정들’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먼저 공중 보건 연구를 위한 내용분석 조사의 개념화 및 설계와 관련된 근본적인 이슈들을 살펴보고 있다.
1부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및 공중 보건을 포함한 많은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논의에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분석이 취할 수 있고 또 취해야 할 신중한 접근방법의 토대를 제시한다. 1장에서는 내용분석적 접근방법의 사용을 정당화하고, 방법론을 소개하며, 내용분석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이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2장은 연구자들이 무엇보다 내용분석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한다.
2부는 우리가 내용분석 연구를 할 때 내리는 많은 결정에 관한 개념적 관점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주요 내용 변인들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4장은 각각의 표집방법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표집에 관한 의사 결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5장에서는 내용 측정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종종 어려운 작업을 해결하기 위한 사려 깊은 권고사항들을 제시한다. 6장은 비록 내용분석은 좀처럼 연구심사위원회의 심사 대상이 아니긴 하지만 코딩을 하는 것은 거의 언제나 사람, 즉 반드시 배려되어야 하고 보호되어야 하는 사람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3부는 공중 보건 분야의 내용분석에 관한 흥미로운 사례연구들을 제시한다. 7장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많은 미디어의 지형 변화와 함께 이로 인해 메시지 및 노출 측정을 위해 연구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함께 제시한다. 3부는 미디어의 성적(性的)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세 개의 장도 포함하고 있다. 8장에서는 인터넷 포르노그래피를 내용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에 대해 설명한다. 9장에서는 텔레비전이 청소년들에게 이성애적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묘사하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10장에서는 프라임타임에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성적 내용에 관한 그들의 내용분석 연구에 대해 설명하면서 성적 내용에 대한 노출이 더 어린 나이에 시작되는 10대 간 성행위와 관련되어 있다는 그들의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12장에서는 독자의 특성이 그들의 잡지에서 본 술과 관련된 메시지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본다. 13장에서는 비디오 게임의 폭력적인 내용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것과 그들이 관찰한 중요한 점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4부는 우리가 내용분석 연구의 독자와 내용분석 연구의 미래를 생각하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큰’ 이슈들을 결론적으로 살펴본다. 연구자들은 ‘존재하고 있는’ 미디어 지형을 기술하기 위해 내용분석에 엄청난 시간을 투자한다. 분석은 통상 도처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메시지의 유해한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연구들이 밝혀내는 바로 인해 혜택을 받는 사람은 궁극적으로 누구인가? 이러한 정보는 어디로 보내지는가? 14장에서는 내용분석 연구의 수용자에 관한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편집인들은 저자들이 제공한 많은 교훈을 최적의 내용분석 연구를 위한 일련의 가이드라인으로 압축해서 제시한다. 내용분석의 과학을 향상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희망하는 마지막 15장에서 편집인들은 연구 현장에서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과 미디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