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총서 > 인문학육성총서

미디어 메시지와 공중보건

지은이배현석 옮김

출판일2015-02-28

쪽 수463면

판 형신국판

I S B N978-89-7581-504-4 93330

판매가25,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매스 미디어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를 설계하고 수행할 때 내리는 주요 결정 사례 제공

공중 보건은 커뮤니케이션처럼 무엇보다도 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인류학 및 심리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로 구성되는 다학문적인 분야다. 이 책은 내용분석 연구가 건강과 관련된 행동을 고찰하는 데 사용됨에 따라 내용분석 연구 실례와 전술에 관한 최근의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내용분석 연구를 통해서 공중 보건 메시지를 조사하는 것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내용분석 연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따른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가에 대한 사례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 그것은 곧 다른 대안들의 전통과 가정 그리고 함의를 살펴볼 수 있게 해 준다.

 

공중 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분석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점에 초점

공중 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분석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점에 이 책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울러 전 연구 과정에서 내려지는 결정들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먼저 공중 보건 연구를 위한 내용분석 조사의 개념화 및 설계와 관련된 근본적인 이슈들을 살펴보고 있다.

1부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및 공중 보건을 포함한 많은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논의에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분석이 취할 수 있고 또 취해야 할 신중한 접근방법의 토대를 제시한다. 1장에서는 내용분석적 접근방법의 사용을 정당화하고, 방법론을 소개하며, 내용분석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이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2장은 연구자들이 무엇보다 내용분석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한다.

2부는 우리가 내용분석 연구를 할 때 내리는 많은 결정에 관한 개념적 관점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주요 내용 변인들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4장은 각각의 표집방법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표집에 관한 의사 결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5장에서는 내용 측정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종종 어려운 작업을 해결하기 위한 사려 깊은 권고사항들을 제시한다. 6장은 비록 내용분석은 좀처럼 연구심사위원회의 심사 대상이 아니긴 하지만 코딩을 하는 것은 거의 언제나 사람, 즉 반드시 배려되어야 하고 보호되어야 하는 사람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3부는 공중 보건 분야의 내용분석에 관한 흥미로운 사례연구들을 제시한다. 7장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많은 미디어의 지형 변화와 함께 이로 인해 메시지 및 노출 측정을 위해 연구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함께 제시한다. 3부는 미디어의 성적(性的)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세 개의 장도 포함하고 있다. 8장에서는 인터넷 포르노그래피를 내용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에 대해 설명한다. 9장에서는 텔레비전이 청소년들에게 이성애적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묘사하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10장에서는 프라임타임에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성적 내용에 관한 그들의 내용분석 연구에 대해 설명하면서 성적 내용에 대한 노출이 더 어린 나이에 시작되는 10대 간 성행위와 관련되어 있다는 그들의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12장에서는 독자의 특성이 그들의 잡지에서 본 술과 관련된 메시지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본다. 13장에서는 비디오 게임의 폭력적인 내용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것과 그들이 관찰한 중요한 점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4부는 우리가 내용분석 연구의 독자와 내용분석 연구의 미래를 생각하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이슈들을 결론적으로 살펴본다. 연구자들은 존재하고 있는미디어 지형을 기술하기 위해 내용분석에 엄청난 시간을 투자한다. 분석은 통상 도처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메시지의 유해한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연구들이 밝혀내는 바로 인해 혜택을 받는 사람은 궁극적으로 누구인가? 이러한 정보는 어디로 보내지는가? 14장에서는 내용분석 연구의 수용자에 관한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편집인들은 저자들이 제공한 많은 교훈을 최적의 내용분석 연구를 위한 일련의 가이드라인으로 압축해서 제시한다. 내용분석의 과학을 향상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희망하는 마지막 15장에서 편집인들은 연구 현장에서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과 미디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차례

옮긴이

머리말

엮은이

 

머리말  

제1부 개념적이슈

제1장 내용분석에 이론 사용하기: 제니퍼 맹거넬로/마틴 피쉬바인

제2장 내용분석과 미디어 효과 연구 연결하기: 데일 쿤켈 

 

제2부 연구 설계 문제

제3장 주요 내용 변인의 정의와 측정: W. 제임스 포터

제4장 표집과 내용분석: 이슈 개관 : 에이미 B. 조던/제니퍼 맹거넬로

제5장 내용분석의 신뢰도 : 킴벌리 A. 뉴엔돌프

제6장 내용분석의 연구 윤리: 낸시 시그노리엘리 

 

제3부 사례연구

제7장 10대와 새로운 미디어 환경: 도전과 기회: 스리비드야 라마수브라마니안/수잰 M. 마틴

제8장 10대가 보는 인터넷 상의 노골적인 성적 내용: 로라 F. 살라자르/파멜라 J. 플라이샤워/ 제이 M. 번하트/랠프 J. 디클레멘테

제9장 텔레비전의 성 표현 코딩과 해석: 린 솔솔리/L. 모니크 워드/데버라 L. 톨먼

제10장 미디어 내용과 미디어 효과 연결하기: RAND 텔레비전 및 청소년 성 연구 레베카 L. 콜린스/마크 N. 엘리엇/앤젤라 뮤

제11장 프라임-타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건강 메시지 : 장기적 내용분석 쉴러 L. 머피/홀리 A. 윌킨/마이클 J. 코디/그레이스 C. 황

제12장 수신자-지향 메시지 분석: 주류 광고 분석의 교훈: 에리카 웨인트로브 오스틴

제13장 폭력적 비디오 게임: 내용 패턴 평가의 과제 : 캐써린 M. 피퍼/얼레인 챈/ 스테이시 L. 스미쓰 

 

제4부 전반적인 고려사항

제14장 학계 이외의 내용분석 연구 독자 : D. 찰스 휘트니/엘런 워텔라/데일 쿤켈

제15장 내용분석 과학의 진전 : 에이미 B. 조던/데일 쿤겔/제니퍼 맹거넬로/ 마틴 피쉬바인

책속으로

커뮤니케이션처럼 공중보건도 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로 구성되어 있는 다학제적 분야다. 게다가, 공중보건과 커뮤니케이션 이외의 학술 분야 출신의 연구자도 이제 미디어의 건강 관련 메시지를 조사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그 점을 염두에 두고 있을 뿐 아니라 모든 측면의 건강 관련 행동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애넨버그 학회에서 시작된 대화를 여러분이 지금 보고 있는 이 책을 발간하는 것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이 책의 목적은 내용분석 연구를 위한 모범적인 관행과 전술에 대한 가장 최근의 논의를 제공해 그러한 관행과 전술이 건강 관련 행동을 조사하는 데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구자가 내용분석 연구 계획 및 수행과 관련된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다.연구자에게 내용분석 방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가르쳐 주는 훌륭한 책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특별히 공중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 연구자가 직면한 도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연구 과정에서 내려야 하는 결정을 잘 보여주는 실제 사례연구들을 제시한다.

저자소개

엮은이 소개에이미 B. 조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박사)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애넨버그 공공정책 센터(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의 미디어 및 아동 발달(Media and the Developing Child) 연구 분야 책임자로 어린이 미디어 정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데일 쿤켈(써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애넨버그 커뮤니케이션 대학 박사)은 애리조나 대학교(University of Arizona)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어린이 및 미디어 이슈를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제니퍼 맹거넬로(보스턴 대학교 공중보건학 석사; 존스 홉킨스 공중보건대학 박사)는 올버니 소재 뉴욕 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보건 정책, 관리 및 행동학과 조교수로 그녀의 연구 관심 분야는 어린이 건강과 미디어가 정책 및 건강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다.마틴 피쉬바인(LA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박사)은 펜실베니아 대학교 에넨버그 커뮤니케이션 학부(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의 해리 C. 콜스 주니어(Harry C. Coles Jr.) 저명 교수(Distinguished Professor)이자 애넨버그 공공정책 센터의 보건 커뮤니케이션 분야 책임자다. 옮긴이 소개배현석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본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간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학술지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서평

책소개

매스 미디어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를 설계하고 수행할 때 내리는 주요 결정 사례 제공

공중 보건은 커뮤니케이션처럼 무엇보다도 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인류학 및 심리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로 구성되는 다학문적인 분야다. 이 책은 내용분석 연구가 건강과 관련된 행동을 고찰하는 데 사용됨에 따라 내용분석 연구 실례와 전술에 관한 최근의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내용분석 연구를 통해서 공중 보건 메시지를 조사하는 것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내용분석 연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따른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가에 대한 사례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 그것은 곧 다른 대안들의 전통과 가정 그리고 함의를 살펴볼 수 있게 해 준다.

 

공중 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분석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점에 초점

공중 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분석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점에 이 책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울러 전 연구 과정에서 내려지는 결정들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먼저 공중 보건 연구를 위한 내용분석 조사의 개념화 및 설계와 관련된 근본적인 이슈들을 살펴보고 있다.

1부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및 공중 보건을 포함한 많은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논의에 도움을 주기 위해 내용분석이 취할 수 있고 또 취해야 할 신중한 접근방법의 토대를 제시한다. 1장에서는 내용분석적 접근방법의 사용을 정당화하고, 방법론을 소개하며, 내용분석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이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2장은 연구자들이 무엇보다 내용분석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한다.

2부는 우리가 내용분석 연구를 할 때 내리는 많은 결정에 관한 개념적 관점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주요 내용 변인들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4장은 각각의 표집방법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표집에 관한 의사 결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5장에서는 내용 측정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종종 어려운 작업을 해결하기 위한 사려 깊은 권고사항들을 제시한다. 6장은 비록 내용분석은 좀처럼 연구심사위원회의 심사 대상이 아니긴 하지만 코딩을 하는 것은 거의 언제나 사람, 즉 반드시 배려되어야 하고 보호되어야 하는 사람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3부는 공중 보건 분야의 내용분석에 관한 흥미로운 사례연구들을 제시한다. 7장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많은 미디어의 지형 변화와 함께 이로 인해 메시지 및 노출 측정을 위해 연구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함께 제시한다. 3부는 미디어의 성적(性的)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세 개의 장도 포함하고 있다. 8장에서는 인터넷 포르노그래피를 내용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에 대해 설명한다. 9장에서는 텔레비전이 청소년들에게 이성애적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묘사하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10장에서는 프라임타임에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성적 내용에 관한 그들의 내용분석 연구에 대해 설명하면서 성적 내용에 대한 노출이 더 어린 나이에 시작되는 10대 간 성행위와 관련되어 있다는 그들의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12장에서는 독자의 특성이 그들의 잡지에서 본 술과 관련된 메시지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본다. 13장에서는 비디오 게임의 폭력적인 내용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것과 그들이 관찰한 중요한 점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4부는 우리가 내용분석 연구의 독자와 내용분석 연구의 미래를 생각하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이슈들을 결론적으로 살펴본다. 연구자들은 존재하고 있는미디어 지형을 기술하기 위해 내용분석에 엄청난 시간을 투자한다. 분석은 통상 도처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메시지의 유해한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연구들이 밝혀내는 바로 인해 혜택을 받는 사람은 궁극적으로 누구인가? 이러한 정보는 어디로 보내지는가? 14장에서는 내용분석 연구의 수용자에 관한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편집인들은 저자들이 제공한 많은 교훈을 최적의 내용분석 연구를 위한 일련의 가이드라인으로 압축해서 제시한다. 내용분석의 과학을 향상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희망하는 마지막 15장에서 편집인들은 연구 현장에서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과 미디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차례

옮긴이

머리말

엮은이

 

머리말  

제1부 개념적이슈

제1장 내용분석에 이론 사용하기: 제니퍼 맹거넬로/마틴 피쉬바인

제2장 내용분석과 미디어 효과 연구 연결하기: 데일 쿤켈 

 

제2부 연구 설계 문제

제3장 주요 내용 변인의 정의와 측정: W. 제임스 포터

제4장 표집과 내용분석: 이슈 개관 : 에이미 B. 조던/제니퍼 맹거넬로

제5장 내용분석의 신뢰도 : 킴벌리 A. 뉴엔돌프

제6장 내용분석의 연구 윤리: 낸시 시그노리엘리 

 

제3부 사례연구

제7장 10대와 새로운 미디어 환경: 도전과 기회: 스리비드야 라마수브라마니안/수잰 M. 마틴

제8장 10대가 보는 인터넷 상의 노골적인 성적 내용: 로라 F. 살라자르/파멜라 J. 플라이샤워/ 제이 M. 번하트/랠프 J. 디클레멘테

제9장 텔레비전의 성 표현 코딩과 해석: 린 솔솔리/L. 모니크 워드/데버라 L. 톨먼

제10장 미디어 내용과 미디어 효과 연결하기: RAND 텔레비전 및 청소년 성 연구 레베카 L. 콜린스/마크 N. 엘리엇/앤젤라 뮤

제11장 프라임-타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건강 메시지 : 장기적 내용분석 쉴러 L. 머피/홀리 A. 윌킨/마이클 J. 코디/그레이스 C. 황

제12장 수신자-지향 메시지 분석: 주류 광고 분석의 교훈: 에리카 웨인트로브 오스틴

제13장 폭력적 비디오 게임: 내용 패턴 평가의 과제 : 캐써린 M. 피퍼/얼레인 챈/ 스테이시 L. 스미쓰 

 

제4부 전반적인 고려사항

제14장 학계 이외의 내용분석 연구 독자 : D. 찰스 휘트니/엘런 워텔라/데일 쿤켈

제15장 내용분석 과학의 진전 : 에이미 B. 조던/데일 쿤겔/제니퍼 맹거넬로/ 마틴 피쉬바인

책속으로

커뮤니케이션처럼 공중보건도 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로 구성되어 있는 다학제적 분야다. 게다가, 공중보건과 커뮤니케이션 이외의 학술 분야 출신의 연구자도 이제 미디어의 건강 관련 메시지를 조사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그 점을 염두에 두고 있을 뿐 아니라 모든 측면의 건강 관련 행동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애넨버그 학회에서 시작된 대화를 여러분이 지금 보고 있는 이 책을 발간하는 것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이 책의 목적은 내용분석 연구를 위한 모범적인 관행과 전술에 대한 가장 최근의 논의를 제공해 그러한 관행과 전술이 건강 관련 행동을 조사하는 데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구자가 내용분석 연구 계획 및 수행과 관련된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다.연구자에게 내용분석 방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가르쳐 주는 훌륭한 책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특별히 공중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 연구자가 직면한 도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연구 과정에서 내려야 하는 결정을 잘 보여주는 실제 사례연구들을 제시한다.

저자소개

엮은이 소개에이미 B. 조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박사)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애넨버그 공공정책 센터(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의 미디어 및 아동 발달(Media and the Developing Child) 연구 분야 책임자로 어린이 미디어 정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데일 쿤켈(써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애넨버그 커뮤니케이션 대학 박사)은 애리조나 대학교(University of Arizona)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어린이 및 미디어 이슈를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제니퍼 맹거넬로(보스턴 대학교 공중보건학 석사; 존스 홉킨스 공중보건대학 박사)는 올버니 소재 뉴욕 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보건 정책, 관리 및 행동학과 조교수로 그녀의 연구 관심 분야는 어린이 건강과 미디어가 정책 및 건강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다.마틴 피쉬바인(LA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박사)은 펜실베니아 대학교 에넨버그 커뮤니케이션 학부(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의 해리 C. 콜스 주니어(Harry C. Coles Jr.) 저명 교수(Distinguished Professor)이자 애넨버그 공공정책 센터의 보건 커뮤니케이션 분야 책임자다. 옮긴이 소개배현석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본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간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학술지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