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사회

세상을 바꾸는 표준

지은이정병기

출판일2015-01-20

쪽 수253

판 형신국판

I S B N978-89-7581-501-0 93320

판매가17,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인문‧사회‧예술을 포괄하는 통섭적 표준학의 성립을 제안해 학문의 다양화에 기여최근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사회적 책임(SR) 국제표준(ISO 26000)을 제정해 관리, 조직, 환경, 노동,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을 요구하고 세계 여러 나라들도 수용해 가는 등 표준에 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공학과 경제학, 일부 행정학에서 표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다른 사회과학 영역으로 확대되지 못했고 표준 관련 도서들도 단편적인 소개나 홍보성 책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책은 공학 영역뿐만 아니라 무역과 경제를 넘어 정치와 민주주의, 복지와 규범, 예술과 감성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사회철학적 탐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도서가 지닌 한계를 상당히 극복하고 있다. 저자는 표준에 관한 논의를 공학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과 예술의 영역을 포괄함으로서 통섭적 표준학의 성립을 제안하는 등 표준의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표준의 종류와 기능, 효과, 제정원리를 설명하고 새로운 분류와 표준화 갈등 조정 방식을 제안표준의 종류와 기능, 효과, 표준 제정 원리 등 표준에 관한 총론적 논의를 비롯하여 이해관계자에 대한 새로운 분류와 개념을 정의하고, 표준화 갈등 조정 방식을 제안하는 등 사회학적 논의를 심화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표준을 통해 역사를 재구성함과 동시에 표준을 권력 현상의 하나로 보고 정치의 표준화에도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저자는 이데올로기, 노동, 인권, 복지, 교육, 생명, 감성과 예술 및 일탈과 다양성으로 나누어 표준의 의미를 다각도로 탐구할 뿐만 아니라, 법, 사회규범 등과 구분되는 새로운 규범성을 제시함으로서 표준의 의미를 크게 확장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 질서와 한반도 통일 등 다양한 정치ㆍ경제ㆍ사회관계에서 표준의 새로운 역할과 국제 규범성과 사회통합 규범성, 그리고 리좀(Rhizome)적 촉진성을 강조하고 있다.

차례

들어가며 - 왜 지금 표준이 중요한가?

 

제1부 표준의 진화

제1장 생명과 유목의 역사, 그리고 표준

제2장 복잡다단한 현대의 새로운 규범 ‘표준’

제3장 표준은 대중을 위한 것

제4장 표준의 사회경제적 영향

제5장 표준이 열어가는 세상과 원리  

 

제2부 표준은 전리품인가, 합의의 대상인가?

제1장 표준의 종류와 이해관계자

제2장 역사와 표준 전쟁

제3장 기업 활동과 사회적 책임 표준

제4장 제품 안전을 관리하는 표준

제5장 특허, 지식재산권과 표준 

 

제3부 표준은 민주주의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제1장 역사와 미래, 그리고 표준

제2장 표준은 권력인가?

제3장 민주주의의 표준화가 가능한가?

제4장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표준

제5장 표준의 제정과 갈등 조정 

 

제4부 표준의 다양한 쓰임새

제1장 노동 규범과 표준

제2장 이데올로기와 표준

제3장 일상생활과 표준

제4장 감성 및 예술과 표준

제5장 일탈과 다양성에 숨겨진 표준 

 

제5부 인권과 복지를 지원하고 생명을 살리는 표준

제1장 인권과 표준

제2장 복지국가의 기틀, 표준

제3장 교육 대계의 기본, 표준

제4장 생명의 코즈모스, 표준

제5장 국가 표준 정책의 방향 

 

제6부 국제 규범과 통일 규범으로 기능하는 표준

제1장 국제 경제 질서의 쟁점, 표준

제2장 글로벌 사회에서 신뢰를 가꾸는 표준

제3장 국제적 사회 통합 규범으로서의 표준

제4장 국제 표준 정립을 위한 노력과 협력

제5장 통일 국가의 사회 통합 규범 

 

에필로그 - 표준학의 가능성과 전망참고문헌

책속으로

1980년대 말 이후에는 지식과 감성으로까지 기술 개념이 확장되는 다양성의 사회가 도래했다. 그와 동시에 세계화라는 흐름 속에서 새로운 통일성의 기운이 팽창하기도 한다. 그러나 과거의 통일성이 다양성을 대체할 수는 없다. 역사는 언제나 과거와 현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발전적으로 종합하면서 전개되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의 다양성은 획일성을 요구하는 세계화가 아니라 다양하게 포진하고 있는 인간과 집단들의 이해관계가 골고루 반영되는 새로운 통일성으로 연결될 것이다. 그 새로운 통일적 규범이 곧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규범으로서의 표준은 다양성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저자소개

정병기서울대 정치학과 졸업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영남대 정치외교학과 부교수(현)ㄱ<대표 저서 및 논문>『미래 사회와 표준』(공저, 한국표준협회, 2013).『기초 자료로 본 독일 통일 20년』(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상상력에 권력을?: 1968혁명의 평가』(역, 메이데이, 2008).『미국 사회과학의 기원』 전 2권 (공역, 나남, 2008).“동서독의 표준화 체계와 표준 통일 과정: 남북한 표준 협력에 대한 함의,” 『한국정치연구』 제22집 1호(공저, 2013)“사회적 책임(SR) 국제표준이 노동계에 미치는 영향 및 한국 노동조합의 인식과 대응,” 『산업 노동연구』 제18권 1호(2012).“공적 표준화의 이해갈등구조와 코포라티즘적 갈등조정,”『국가전략』제16권 3호(세종연구소, 2010).

서평

책소개

인문‧사회‧예술을 포괄하는 통섭적 표준학의 성립을 제안해 학문의 다양화에 기여최근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사회적 책임(SR) 국제표준(ISO 26000)을 제정해 관리, 조직, 환경, 노동,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을 요구하고 세계 여러 나라들도 수용해 가는 등 표준에 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공학과 경제학, 일부 행정학에서 표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다른 사회과학 영역으로 확대되지 못했고 표준 관련 도서들도 단편적인 소개나 홍보성 책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책은 공학 영역뿐만 아니라 무역과 경제를 넘어 정치와 민주주의, 복지와 규범, 예술과 감성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사회철학적 탐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도서가 지닌 한계를 상당히 극복하고 있다. 저자는 표준에 관한 논의를 공학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과 예술의 영역을 포괄함으로서 통섭적 표준학의 성립을 제안하는 등 표준의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표준의 종류와 기능, 효과, 제정원리를 설명하고 새로운 분류와 표준화 갈등 조정 방식을 제안표준의 종류와 기능, 효과, 표준 제정 원리 등 표준에 관한 총론적 논의를 비롯하여 이해관계자에 대한 새로운 분류와 개념을 정의하고, 표준화 갈등 조정 방식을 제안하는 등 사회학적 논의를 심화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표준을 통해 역사를 재구성함과 동시에 표준을 권력 현상의 하나로 보고 정치의 표준화에도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저자는 이데올로기, 노동, 인권, 복지, 교육, 생명, 감성과 예술 및 일탈과 다양성으로 나누어 표준의 의미를 다각도로 탐구할 뿐만 아니라, 법, 사회규범 등과 구분되는 새로운 규범성을 제시함으로서 표준의 의미를 크게 확장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 질서와 한반도 통일 등 다양한 정치ㆍ경제ㆍ사회관계에서 표준의 새로운 역할과 국제 규범성과 사회통합 규범성, 그리고 리좀(Rhizome)적 촉진성을 강조하고 있다.

차례

들어가며 - 왜 지금 표준이 중요한가?

 

제1부 표준의 진화

제1장 생명과 유목의 역사, 그리고 표준

제2장 복잡다단한 현대의 새로운 규범 ‘표준’

제3장 표준은 대중을 위한 것

제4장 표준의 사회경제적 영향

제5장 표준이 열어가는 세상과 원리  

 

제2부 표준은 전리품인가, 합의의 대상인가?

제1장 표준의 종류와 이해관계자

제2장 역사와 표준 전쟁

제3장 기업 활동과 사회적 책임 표준

제4장 제품 안전을 관리하는 표준

제5장 특허, 지식재산권과 표준 

 

제3부 표준은 민주주의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제1장 역사와 미래, 그리고 표준

제2장 표준은 권력인가?

제3장 민주주의의 표준화가 가능한가?

제4장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표준

제5장 표준의 제정과 갈등 조정 

 

제4부 표준의 다양한 쓰임새

제1장 노동 규범과 표준

제2장 이데올로기와 표준

제3장 일상생활과 표준

제4장 감성 및 예술과 표준

제5장 일탈과 다양성에 숨겨진 표준 

 

제5부 인권과 복지를 지원하고 생명을 살리는 표준

제1장 인권과 표준

제2장 복지국가의 기틀, 표준

제3장 교육 대계의 기본, 표준

제4장 생명의 코즈모스, 표준

제5장 국가 표준 정책의 방향 

 

제6부 국제 규범과 통일 규범으로 기능하는 표준

제1장 국제 경제 질서의 쟁점, 표준

제2장 글로벌 사회에서 신뢰를 가꾸는 표준

제3장 국제적 사회 통합 규범으로서의 표준

제4장 국제 표준 정립을 위한 노력과 협력

제5장 통일 국가의 사회 통합 규범 

 

에필로그 - 표준학의 가능성과 전망참고문헌

책속으로

1980년대 말 이후에는 지식과 감성으로까지 기술 개념이 확장되는 다양성의 사회가 도래했다. 그와 동시에 세계화라는 흐름 속에서 새로운 통일성의 기운이 팽창하기도 한다. 그러나 과거의 통일성이 다양성을 대체할 수는 없다. 역사는 언제나 과거와 현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발전적으로 종합하면서 전개되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의 다양성은 획일성을 요구하는 세계화가 아니라 다양하게 포진하고 있는 인간과 집단들의 이해관계가 골고루 반영되는 새로운 통일성으로 연결될 것이다. 그 새로운 통일적 규범이 곧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규범으로서의 표준은 다양성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저자소개

정병기서울대 정치학과 졸업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영남대 정치외교학과 부교수(현)ㄱ<대표 저서 및 논문>『미래 사회와 표준』(공저, 한국표준협회, 2013).『기초 자료로 본 독일 통일 20년』(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상상력에 권력을?: 1968혁명의 평가』(역, 메이데이, 2008).『미국 사회과학의 기원』 전 2권 (공역, 나남, 2008).“동서독의 표준화 체계와 표준 통일 과정: 남북한 표준 협력에 대한 함의,” 『한국정치연구』 제22집 1호(공저, 2013)“사회적 책임(SR) 국제표준이 노동계에 미치는 영향 및 한국 노동조합의 인식과 대응,” 『산업 노동연구』 제18권 1호(2012).“공적 표준화의 이해갈등구조와 코포라티즘적 갈등조정,”『국가전략』제16권 3호(세종연구소, 2010).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