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사회

퇴계의 인성교육

지은이이동기

출판일2016-03-03

쪽 수216

판 형

I S B N978-89-7581-518-8

판매가17,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오늘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인성교육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를 고민한 결과물

퇴계의 삶에 대한 탐구를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인성교육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 해법을 고민한 성과물이다. 퇴계가 인성교육에서 중점적으로 강조했던 구인성성(求仁成聖) 지경공부(持敬工夫) 지행병진(知行竝進)의 원리가 무엇인지 심도 있게 다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을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에서 어떻게 적용했고 실천했는지 다각도로 찾아보고 있다. 나아가 퇴계의 교육철학에는 무엇이 담겨있으며, 어떻게 후대로 이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각종 사례를 통해 밝히고 있다. 퇴계의 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모습을 통해 오늘날 잃어버린 전통의 인성교육을 재발견하는데 이 책은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생활인으로서의 퇴계의 모습을 통해 인성교육적인 측면에서 오늘날 현실을 극복하고자 노력

퇴계에 관한 연구는, 성리학·수양론·의리론·교육론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져 왔다. 퇴계의 인간적인 모습을 부각시키는 노력도 성과를 얻고 있지만, 여전히 퇴계는 역사 속의 인간으로 우리들에게 더 알려져 있다. 저자는 퇴계를 성인이나 학자로서가 아니라 생활인으로서의 퇴계로 드러내어 일상인으로서의 삶을 인성교육적인 측면에서 오늘날 접목시킬 수 없는지를 모색하고 있다.퇴계선생연보퇴계선생언행록의 옛 기록들을 바탕으로 그가 삶속에서 인성교육을 어떻게 실천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퇴계의 학문과 인성교육을 학봉 김성일의 자료를 통해서도 살펴봄으로서, 동시대를 살아간 다른 학자들에게 퇴계의 사상과 삶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었는지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성숙인격을 지향하는 전통의 인성교육을 대안으로 퇴계의 인성교육에서 해답을 찾았다.

통교육은 삶 속에서 앎을 추구하는 것을 통해 사람됨의 길을 실천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삶과 앎은 하나이며 분리할 수 없다. 하지만 현대교육은 살아가는 것아는 것을 별개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대학진학률에도 불구하고, 사회 병리적 행동과 범죄가 감소되지 않는 근본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저자는 보았다. 이런 사회적 문제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성숙인격을 지향하는 전통의 인성교육을 대안으로 생각했고, 퇴계의 인성교육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다. 퇴계가 어떤 삶을 살아왔고, 어떻게 학문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그가 평생 동안 추구했던 앎과 삶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차례

머리말

1장 인성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1. 인성교육의 의미 
    2. 인성교육의 목적 
    3. 인성교육의 중요성


2장 퇴계의 생애
    1. 퇴계의 출생 
    2. 학문연마와 관직생활 
    3. 강학활동과 퇴계의 서거

3장 퇴계의 인성교육원리 
    1. 구인성성求仁成聖의 원리
    2. 지경공부持敬工夫의 원리 
    3. 지행호진知行互進의 원리


4장 개인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학문탐구와 인격완성 
    2. 거경궁리와 교수방법 
    3. 존양성찰과 덕성함양


5장 가정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가정경영과 자녀교육 
    2. 경장윤리와 봉선예절


6장 사회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인간관계와 인물평가 
    2. 강의논변과 예학사상 
    3. 진퇴의리와 청렴정신


7장 학봉의 기록에 나타난 퇴계상 
    1. 생활인으로서의 퇴계 
    2. 치밀한 학자적 풍모 
    3. 자상한 인간적 품격 
    4. 청렴한 관료적 자세 
    
5. 퇴계의 인품에 대한 사관의 평가

8장 퇴계학파의 분석과 교육철학적 의미
    1. 퇴계학파의 전승傳承 
    2. 퇴계학파의 분석 
    3. 퇴계학파의 교육철학적 의미 
    4. 추로지향의 연원

9장 퇴계학파의 교육사상 
    1. 진리와 인간의 숭고한 만남 
    2. 월천과 학봉의 생애와 학문
    
3. 월천과 학봉의 교육사상 
    4. 퇴계 학문의 창도唱導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책속으로

퇴계의 인성교육을 이해하는 것은 퇴계의 삶을 파악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철학의 대상으로서 삶은 딱딱하게 굳은 고정적인 존재가 아니고 생동적인 생성을 의미한다.” 여기의 설명에 따르면, 철학은 생동적인 삶의 이해를 전제로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퇴계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제는 그의 철학과 교육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교육은 인간이해에 기초하고, 일정한 인간상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즉 퇴계에 대한 이해는 퇴계사상의 내적 구조를 발견하는 하나의 단서이다. 그리고 퇴계의 인성교육은 그 자신의 삶 속에 융화되고 실천된 도덕적 결정체이며, 이는 성리공부에서 출발하여 심성공부로 귀결되었다. 즉 심성공부는 마음공부이며 인성교육이었다. 인성교육은 정신적인 차원에서 마음으로 이루어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교섭이며, 초월적인 자아의식에 대한 각성이다.

저자소개

이동기 이동기

 경북 예천 출생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박사)
 영남대학교 연구교수 및 객원교수
 현재 영남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교양학부 교수
 논문 : 퇴계학파의 교육사상40여편
 저서 : 조선후기 중인교육외 다수

서평

책소개

  오늘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인성교육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를 고민한 결과물

퇴계의 삶에 대한 탐구를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인성교육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 해법을 고민한 성과물이다. 퇴계가 인성교육에서 중점적으로 강조했던 구인성성(求仁成聖) 지경공부(持敬工夫) 지행병진(知行竝進)의 원리가 무엇인지 심도 있게 다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을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에서 어떻게 적용했고 실천했는지 다각도로 찾아보고 있다. 나아가 퇴계의 교육철학에는 무엇이 담겨있으며, 어떻게 후대로 이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각종 사례를 통해 밝히고 있다. 퇴계의 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모습을 통해 오늘날 잃어버린 전통의 인성교육을 재발견하는데 이 책은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생활인으로서의 퇴계의 모습을 통해 인성교육적인 측면에서 오늘날 현실을 극복하고자 노력

퇴계에 관한 연구는, 성리학·수양론·의리론·교육론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져 왔다. 퇴계의 인간적인 모습을 부각시키는 노력도 성과를 얻고 있지만, 여전히 퇴계는 역사 속의 인간으로 우리들에게 더 알려져 있다. 저자는 퇴계를 성인이나 학자로서가 아니라 생활인으로서의 퇴계로 드러내어 일상인으로서의 삶을 인성교육적인 측면에서 오늘날 접목시킬 수 없는지를 모색하고 있다.퇴계선생연보퇴계선생언행록의 옛 기록들을 바탕으로 그가 삶속에서 인성교육을 어떻게 실천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퇴계의 학문과 인성교육을 학봉 김성일의 자료를 통해서도 살펴봄으로서, 동시대를 살아간 다른 학자들에게 퇴계의 사상과 삶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었는지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성숙인격을 지향하는 전통의 인성교육을 대안으로 퇴계의 인성교육에서 해답을 찾았다.

통교육은 삶 속에서 앎을 추구하는 것을 통해 사람됨의 길을 실천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삶과 앎은 하나이며 분리할 수 없다. 하지만 현대교육은 살아가는 것아는 것을 별개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대학진학률에도 불구하고, 사회 병리적 행동과 범죄가 감소되지 않는 근본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저자는 보았다. 이런 사회적 문제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성숙인격을 지향하는 전통의 인성교육을 대안으로 생각했고, 퇴계의 인성교육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다. 퇴계가 어떤 삶을 살아왔고, 어떻게 학문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그가 평생 동안 추구했던 앎과 삶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차례

머리말

1장 인성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1. 인성교육의 의미 
    2. 인성교육의 목적 
    3. 인성교육의 중요성


2장 퇴계의 생애
    1. 퇴계의 출생 
    2. 학문연마와 관직생활 
    3. 강학활동과 퇴계의 서거

3장 퇴계의 인성교육원리 
    1. 구인성성求仁成聖의 원리
    2. 지경공부持敬工夫의 원리 
    3. 지행호진知行互進의 원리


4장 개인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학문탐구와 인격완성 
    2. 거경궁리와 교수방법 
    3. 존양성찰과 덕성함양


5장 가정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가정경영과 자녀교육 
    2. 경장윤리와 봉선예절


6장 사회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인간관계와 인물평가 
    2. 강의논변과 예학사상 
    3. 진퇴의리와 청렴정신


7장 학봉의 기록에 나타난 퇴계상 
    1. 생활인으로서의 퇴계 
    2. 치밀한 학자적 풍모 
    3. 자상한 인간적 품격 
    4. 청렴한 관료적 자세 
    
5. 퇴계의 인품에 대한 사관의 평가

8장 퇴계학파의 분석과 교육철학적 의미
    1. 퇴계학파의 전승傳承 
    2. 퇴계학파의 분석 
    3. 퇴계학파의 교육철학적 의미 
    4. 추로지향의 연원

9장 퇴계학파의 교육사상 
    1. 진리와 인간의 숭고한 만남 
    2. 월천과 학봉의 생애와 학문
    
3. 월천과 학봉의 교육사상 
    4. 퇴계 학문의 창도唱導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책속으로

퇴계의 인성교육을 이해하는 것은 퇴계의 삶을 파악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철학의 대상으로서 삶은 딱딱하게 굳은 고정적인 존재가 아니고 생동적인 생성을 의미한다.” 여기의 설명에 따르면, 철학은 생동적인 삶의 이해를 전제로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퇴계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제는 그의 철학과 교육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교육은 인간이해에 기초하고, 일정한 인간상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즉 퇴계에 대한 이해는 퇴계사상의 내적 구조를 발견하는 하나의 단서이다. 그리고 퇴계의 인성교육은 그 자신의 삶 속에 융화되고 실천된 도덕적 결정체이며, 이는 성리공부에서 출발하여 심성공부로 귀결되었다. 즉 심성공부는 마음공부이며 인성교육이었다. 인성교육은 정신적인 차원에서 마음으로 이루어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교섭이며, 초월적인 자아의식에 대한 각성이다.

저자소개

이동기 이동기

 경북 예천 출생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박사)
 영남대학교 연구교수 및 객원교수
 현재 영남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교양학부 교수
 논문 : 퇴계학파의 교육사상40여편
 저서 : 조선후기 중인교육외 다수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