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인문

사람 그리고 실천

지은이김한곤 김기호 엮음

출판일2016-03-21

쪽 수223

판 형신국판

I S B N978-89-7581-521-8

판매가15,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실존적 불안과 병리현상을 극복하고 참사람과 참세상으로 나아가려는 인문학적 사색의 결과물

오늘날 현대인들이 느끼는 실존적 불안은 진정한 자아와 대면할 용기를 내지 못하기 때문에 생겨난다. 그 결과 일상에서 매일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현상들을 보며 절망을 느끼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문학에서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한다. 이 책에 실린 文理가 트인다는 것의 의미에 대하여”(이한우), “중국의 고대문화와논어”(송용준), “직업으로서의 인류학: 실천에서 실천으로”(전경수), “현실은 꿈이다, 그 서사적 표징과 수행”(이강옥), “마키아벨리군주의 인간학적 해석”(김용석), “신라인의 남아선호와 그 의미”(주보돈)에서는 이 시대 지성인들의 사람과 세상에 대한 인문학적 고민들이 담겨 있다.

 

자기실현을 위해 어떤 실천적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문학, 역사, 철학의 영역에서 문제제기

사람과 세상에 대한 성찰을 통해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올바르게 실천하는 삶인지를 보여주고자 기획되었다. 문학, 역사, 철학의 영역에서 문제적인 이슈를 제기하는 연구자들의 문제의식과, 포럼을 통해 토론을 거친 내용들이 담겨져 있다. 청년들에게 자기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실현과 공동체의 행복을 위해 어떤 실천적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 스스로 묻고 답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차례

머리말

1. 이한우 문리文理가 트인다는 것의 의미에 대하여

2. 송용준 中國古代文化論語

3. 전경수 직업으로서의 인류학 : 실천에서 실천으로

4. 이강옥 현실은 꿈이다’, 그 서사적 표징과 수행

5. 김용석 마키아벨리 군주의 인간학적 해석

6. 주보돈 신라인의 男兒選好와 그 의미

책속으로

동아시아의 오랜 전통 속에서 나타난 현상들 중의 하나로서 풍수라는 것이 있다. 그것은 동아시아 사람들의 삶이라는 현상이다(Yoon 2006). 어느 산골로 다니다보면, ‘동수라는 것이 마을마다

있다. 마을 앞이 허하기 때문에 나무를 심어서 좀 앞가림을 해야 사람이 살 수 있는 동네를 지킬 수 있다는 얘기이다. 오랜 동안 그러한 곳에 살아온 사람들의 경험이 축적된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동수풍수는 지식인가? 아니다. 축적된 경험의 결과로 형성된 삶이란 현상이다. 우리는 그러한 경우에 대해서 지혜 wisdom 라고 이름 해왔다. 지식이란 것이 삶의 현상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개별적이고 분석적인 모형이라면, 지혜라는 것은 삶의 현상을 재현해내는 집단적이고 총체적인 모형이라고 생각한다.

지혜의 근저에는 실천이라는 과정이 개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을 지칭하는 단어로 호모 사피엔스라고 있다. 사람에 대해서 총체적인 지칭으로서 지혜로운이라는 형용사를 붙여준 것의 의미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저자소개

이한우

()조선일보 문화부 부장, 조선일보 논설위원

슬픈공자(2013)논어로 대학을 풀다(2013)논어로 중용을 풀다(2013)왕의 하루(2012)

 

송용준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한국중국어문학회장

식탁 위의 논어(2012)송시사(2004)중국시율학(2005)진관사연구(1989)

 

전경수

()귀주대학교 동맹연구원교수,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

혼혈에서 다문화로(2008)백살의 문화인류학(2008)사멸위기의 문화유산(2009)

 

이강옥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어문학회 회장, 한국구비문학회 회장

구운몽의 불교적 해석과 문학치료교육(2010),새 세상을 설계한 박지원(2010),한국야담연구(2006),조선시대일화연구(1998)

 

김용석

()영산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청소년 문화포럼 편집위원, 고전해석 및 토론 세미나 교수

철학광장(2010)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2010)메두사의 시선(2010)서사철학(2009)

 

주보돈

()경북대학교 교수,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경북대 인문대 학장, 경북대 박물관장

한국사회발전사론(1992)신라지방통치체계의정비과정과 촌락(1998)금석문과 신라사(2002)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2007) 임나일본부설 다시 되살아나는 망령(2012)

서평

책소개

실존적 불안과 병리현상을 극복하고 참사람과 참세상으로 나아가려는 인문학적 사색의 결과물

오늘날 현대인들이 느끼는 실존적 불안은 진정한 자아와 대면할 용기를 내지 못하기 때문에 생겨난다. 그 결과 일상에서 매일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현상들을 보며 절망을 느끼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문학에서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한다. 이 책에 실린 文理가 트인다는 것의 의미에 대하여”(이한우), “중국의 고대문화와논어”(송용준), “직업으로서의 인류학: 실천에서 실천으로”(전경수), “현실은 꿈이다, 그 서사적 표징과 수행”(이강옥), “마키아벨리군주의 인간학적 해석”(김용석), “신라인의 남아선호와 그 의미”(주보돈)에서는 이 시대 지성인들의 사람과 세상에 대한 인문학적 고민들이 담겨 있다.

 

자기실현을 위해 어떤 실천적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문학, 역사, 철학의 영역에서 문제제기

사람과 세상에 대한 성찰을 통해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올바르게 실천하는 삶인지를 보여주고자 기획되었다. 문학, 역사, 철학의 영역에서 문제적인 이슈를 제기하는 연구자들의 문제의식과, 포럼을 통해 토론을 거친 내용들이 담겨져 있다. 청년들에게 자기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실현과 공동체의 행복을 위해 어떤 실천적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 스스로 묻고 답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차례

머리말

1. 이한우 문리文理가 트인다는 것의 의미에 대하여

2. 송용준 中國古代文化論語

3. 전경수 직업으로서의 인류학 : 실천에서 실천으로

4. 이강옥 현실은 꿈이다’, 그 서사적 표징과 수행

5. 김용석 마키아벨리 군주의 인간학적 해석

6. 주보돈 신라인의 男兒選好와 그 의미

책속으로

동아시아의 오랜 전통 속에서 나타난 현상들 중의 하나로서 풍수라는 것이 있다. 그것은 동아시아 사람들의 삶이라는 현상이다(Yoon 2006). 어느 산골로 다니다보면, ‘동수라는 것이 마을마다

있다. 마을 앞이 허하기 때문에 나무를 심어서 좀 앞가림을 해야 사람이 살 수 있는 동네를 지킬 수 있다는 얘기이다. 오랜 동안 그러한 곳에 살아온 사람들의 경험이 축적된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동수풍수는 지식인가? 아니다. 축적된 경험의 결과로 형성된 삶이란 현상이다. 우리는 그러한 경우에 대해서 지혜 wisdom 라고 이름 해왔다. 지식이란 것이 삶의 현상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개별적이고 분석적인 모형이라면, 지혜라는 것은 삶의 현상을 재현해내는 집단적이고 총체적인 모형이라고 생각한다.

지혜의 근저에는 실천이라는 과정이 개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을 지칭하는 단어로 호모 사피엔스라고 있다. 사람에 대해서 총체적인 지칭으로서 지혜로운이라는 형용사를 붙여준 것의 의미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저자소개

이한우

()조선일보 문화부 부장, 조선일보 논설위원

슬픈공자(2013)논어로 대학을 풀다(2013)논어로 중용을 풀다(2013)왕의 하루(2012)

 

송용준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한국중국어문학회장

식탁 위의 논어(2012)송시사(2004)중국시율학(2005)진관사연구(1989)

 

전경수

()귀주대학교 동맹연구원교수,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

혼혈에서 다문화로(2008)백살의 문화인류학(2008)사멸위기의 문화유산(2009)

 

이강옥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어문학회 회장, 한국구비문학회 회장

구운몽의 불교적 해석과 문학치료교육(2010),새 세상을 설계한 박지원(2010),한국야담연구(2006),조선시대일화연구(1998)

 

김용석

()영산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청소년 문화포럼 편집위원, 고전해석 및 토론 세미나 교수

철학광장(2010)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2010)메두사의 시선(2010)서사철학(2009)

 

주보돈

()경북대학교 교수,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경북대 인문대 학장, 경북대 박물관장

한국사회발전사론(1992)신라지방통치체계의정비과정과 촌락(1998)금석문과 신라사(2002)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2007) 임나일본부설 다시 되살아나는 망령(2012)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