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실용

국어학입문

지은이박종갑 최동주 이혁화 김세환 서희정

출판일2016-09-10

쪽 수204

판 형B5

I S B N978-89-7581-534-8

판매가15,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국어학이 경험과학의 하나이며, 흥미진진한 세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

국어학이 경험과학의 하나이며, 국어학 공부를 통해 얻는 지혜가 우리의 삶을 격조 있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와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려는 저자들의 의도가 담겨진 입문서이다. 국어학 분야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흥미와 탐구욕을 부추기기 위해 각 장의 앞부분에 생각 깨우기문제를 넣는 등 국어학이 까다롭고 어려우며 외우기도 힘든 문법이 아니라 국어학이 얼마나 흥미진진한 세계인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국어학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문제해결능력, 자료분석능력을 기르게 하는 내용들로 구성

국어음운, 국어형태, 국어통사, 국어의미, 국어방언, 국어사와 한국어 교육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문제해결능력과 자료분석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내용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관련 도서들이 많이 나와 있지만, 이들은 국어학의 여러 분야를 맛보기 형식으로 다루어 깊이가 부족하고 일방적 설명 위주의 지식 습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서 현상들을 바라보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저자들은 이런 관행에서 탈피하여, 국어학 전반의 학문적 보편성과 특수성, 국어학의 기초적 개념들을 구체적인 자료와 함께 다룸으로써 국어학의 여러 분과 교과목의 성공적인 수강에 필요한 기초적 배경지식을 습득하게 하였다. 또한 각 분과 교과목별로 핵심적 내용에 대해 분석하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함으로써 자료분석능력과 해당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보는 동기를 만들어 주고 있다.

차례

머리말

1장 국어와 국어학

1.1. 언어와 국어

1.2. 국어학의 하위 영역과 응용 분야

 

2장 발음 기관과 음운

2.1. 발음 기관

2.2. 음운, 자음과 모음, 음절

 

3장 제약과 음운규칙

3.1. 제약과 동화

3.2. 음운 규칙

 

4장 형태소와 단어

4.1. 언어 단위의 분석과 형태소

4.2. 단어와 접사, 어미

4.3. 단어의 짜임새와 단어 형성

 

5장 국어 단어의 문법적 특성

5.1. 국어의 품사 분류

5.2.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과 조사

5.3. 용언(동사와 형용사)

5.4. 수식언(관형사와 부사)

5.5. 독립언(감탄사)

5.6. 품사의 통용

 

6장 국어 문장의 구조

6.1. 홑문장의 구조과 문장성분

6.2. 겹문장의 구성과 특성

 

7장 문법적 기능의 표현(문법범주)

7.1. 사동과 피동

7.2. 시제와 동작상

7.3. 높임법

7.4. 문장종결법과 부정문

 

8장 단어의 의미와 세상살이

8.1. 단어의 의미

8.2. 단어의 세상살이 

 

9장 문장의 의미와 쓰임

9.1. 문장의 의미

9.2. 문장의 쓰임

 

10장 국어의 뿌리와 고대국어

10.1. 국어사의 시대구분

10.2. 차자표기와 고대국어

 

11(후기)중세국어와 근대국어

11.1. (후기)중세국어

11.2. 근대국어

 

12장 방언의 이모저모

12.1. 언어와 방언, 표준어와 방언

12.2. 방언조사 방법론

12.3. 언어지도와 등어선

12.4. 국어 지역 방언의 특징

12.5. 사회방언

 

13장 한국어 교육의 이해

13.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특징

13.2. 한국어 교육의 원리

13.3.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13.4.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참고문헌

책속으로

세상의 삶에서는 두 발을 딛고 있는 땅이 튼튼해야 하는데 그러한 미래 세계의 안정성 제고에 인문학이, 나아가 국어학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회의가 대학에 만연해 있다. 그러나 미래 세계의 안정성은 경제적 안정성이 전부가 아니며 삼라만상이라 표현되는 이 세상의 이치와 질서를 깨쳐 낼 수 있는 이성적 투철함과 감성적 포용성이 그 바탕이 된다. 국어학 분야의 첫 강의는 학생들에게 국어학 공부가 그러한 투철함과 포용성을 길러줄 것이며, 그것을 통해 얻은 지혜가 우리의 삶을 격조 있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와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부족하고 너무 우회적이지만 학생들에게 좀 더 크고 높은 산 위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해야 한다는 의식을 하면서 만들고자 했다.”

저자소개

박종갑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국어의미론)

최동주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국어문법론)

이혁화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국어방언학, 국어사)

김세환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국어음운론)

서희정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한국어교육학)

서평

책소개

국어학이 경험과학의 하나이며, 흥미진진한 세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

국어학이 경험과학의 하나이며, 국어학 공부를 통해 얻는 지혜가 우리의 삶을 격조 있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와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려는 저자들의 의도가 담겨진 입문서이다. 국어학 분야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흥미와 탐구욕을 부추기기 위해 각 장의 앞부분에 생각 깨우기문제를 넣는 등 국어학이 까다롭고 어려우며 외우기도 힘든 문법이 아니라 국어학이 얼마나 흥미진진한 세계인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국어학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문제해결능력, 자료분석능력을 기르게 하는 내용들로 구성

국어음운, 국어형태, 국어통사, 국어의미, 국어방언, 국어사와 한국어 교육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문제해결능력과 자료분석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내용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관련 도서들이 많이 나와 있지만, 이들은 국어학의 여러 분야를 맛보기 형식으로 다루어 깊이가 부족하고 일방적 설명 위주의 지식 습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서 현상들을 바라보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저자들은 이런 관행에서 탈피하여, 국어학 전반의 학문적 보편성과 특수성, 국어학의 기초적 개념들을 구체적인 자료와 함께 다룸으로써 국어학의 여러 분과 교과목의 성공적인 수강에 필요한 기초적 배경지식을 습득하게 하였다. 또한 각 분과 교과목별로 핵심적 내용에 대해 분석하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함으로써 자료분석능력과 해당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보는 동기를 만들어 주고 있다.

차례

머리말

1장 국어와 국어학

1.1. 언어와 국어

1.2. 국어학의 하위 영역과 응용 분야

 

2장 발음 기관과 음운

2.1. 발음 기관

2.2. 음운, 자음과 모음, 음절

 

3장 제약과 음운규칙

3.1. 제약과 동화

3.2. 음운 규칙

 

4장 형태소와 단어

4.1. 언어 단위의 분석과 형태소

4.2. 단어와 접사, 어미

4.3. 단어의 짜임새와 단어 형성

 

5장 국어 단어의 문법적 특성

5.1. 국어의 품사 분류

5.2.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과 조사

5.3. 용언(동사와 형용사)

5.4. 수식언(관형사와 부사)

5.5. 독립언(감탄사)

5.6. 품사의 통용

 

6장 국어 문장의 구조

6.1. 홑문장의 구조과 문장성분

6.2. 겹문장의 구성과 특성

 

7장 문법적 기능의 표현(문법범주)

7.1. 사동과 피동

7.2. 시제와 동작상

7.3. 높임법

7.4. 문장종결법과 부정문

 

8장 단어의 의미와 세상살이

8.1. 단어의 의미

8.2. 단어의 세상살이 

 

9장 문장의 의미와 쓰임

9.1. 문장의 의미

9.2. 문장의 쓰임

 

10장 국어의 뿌리와 고대국어

10.1. 국어사의 시대구분

10.2. 차자표기와 고대국어

 

11(후기)중세국어와 근대국어

11.1. (후기)중세국어

11.2. 근대국어

 

12장 방언의 이모저모

12.1. 언어와 방언, 표준어와 방언

12.2. 방언조사 방법론

12.3. 언어지도와 등어선

12.4. 국어 지역 방언의 특징

12.5. 사회방언

 

13장 한국어 교육의 이해

13.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특징

13.2. 한국어 교육의 원리

13.3.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13.4.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참고문헌

책속으로

세상의 삶에서는 두 발을 딛고 있는 땅이 튼튼해야 하는데 그러한 미래 세계의 안정성 제고에 인문학이, 나아가 국어학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회의가 대학에 만연해 있다. 그러나 미래 세계의 안정성은 경제적 안정성이 전부가 아니며 삼라만상이라 표현되는 이 세상의 이치와 질서를 깨쳐 낼 수 있는 이성적 투철함과 감성적 포용성이 그 바탕이 된다. 국어학 분야의 첫 강의는 학생들에게 국어학 공부가 그러한 투철함과 포용성을 길러줄 것이며, 그것을 통해 얻은 지혜가 우리의 삶을 격조 있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와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부족하고 너무 우회적이지만 학생들에게 좀 더 크고 높은 산 위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해야 한다는 의식을 하면서 만들고자 했다.”

저자소개

박종갑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국어의미론)

최동주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국어문법론)

이혁화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국어방언학, 국어사)

김세환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국어음운론)

서희정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한국어교육학)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