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연구의 의의와 대상
제2장 주요 개념과 선거 연합 유형
선거 연합의 개념과 유형
정당 체제의 개념과 유형
제3장 선거 연합 연구의 검토와 이론 재구성
선거 연합 연구의 검토와 이론 분류
정치 제도 접근론의 내용과 한계
유권자 접근론의 내용과 한계
연합 행위자 접근론의 내용과 한계
메타 이론의 시론(試論)적 재구성
제4장 선거 제도, 정당 체제와 선거 연합
선출 방식에 따른 선 거 제도의 특징
비례 대표제의 다당제 촉진 효과?
선거 제도 효과에 대한 선거 연합의 영향
요약과 함의
제5장 한국의 대선과 선거 연합
대선 선거 연합의 역사와 선행 연구
최초의 선거 연합 ‘DJP 연합’의 형성과 결과
반공 보수적 지역주의 정당 체제와 선거 연합 회피 요인의 변화
공직 추구와 전선 전략의 지역 연합으로서의 DJP 연합
노무현-정몽준 연합과 이후 선거 연합의 시도와 실패
반공 보수적 지역주의 정당 체제의 해체와 선거 연합 촉진 요인의 변화
공직 추구와 전선 전략의 지지층 연합으로서의 노무현-정몽준 연합
요약과 함의
제6장 한국의 총선과 선거 연합
반공 보수주의 카르텔 정당 체제의 해체와 선거 연합의 효과
중도화에 따른 삼각 구도 변화와 선거 연합의 효과
지역주의 카르텔 정당 체제의 약화와 선거 연합의 효과
요약과 함의
제7장 독일의 선거 연합: 서독과 통일 독일
선거 연합의 형성과 유형
선거 연합의 목표와 전략
선거 연합 회피 및 촉진의 제도적·구조적 요인
선거 연합 회피 및 촉진의 행위자적 요인
요약과 함의
제8장 프랑스의 선거 연합: 제5공화국을 중심으로
절대 다수 대표제의 도입과 선거 연합의 형성
제5공화국 선거 연합 정치의 변화
정당의 수와 규모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정당들 간 이념 및 정책의 거리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요약과 함의
제9장 이탈리아의 선거 연합: ‘제2공화국’을 중심으로
다수 대표제의 도입과 선거 연합의 형성
전면 비례 대표제 재도입과 선거 연합 정치의 변화
정당의 수와 규모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이념 및 정책의 거리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요약과 함의
제10장 국가별 특징과 선거 연합 정치의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
표 차례
그림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