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총서 > 인문학육성총서

노화와 커뮤니케이션 이해하기

지은이제이크하우드 지음 배현석 옮김

출판일2018-06-30

쪽 수440

판 형신국판

I S B N978-89-7581-576-8-93330

판매가27,000원

책소개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나 노화 및 노인에 대한 이해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전무한 한 실정
    우리나라는 20007월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2%로 이미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접어들었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 사회(aged society), 2026년경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 증가속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월등하게 빠르다.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로 가는데 프랑스가 115년으로 가장 오래 걸렸고, 미국이 73, 독일 40, 일본은 24년이 소요된 데 반해, 우리나라는 18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시기는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나 노화 및 노인에 대한 이해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전무한 한 실정이다.

커뮤니케이션이 노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살펴봄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분야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입문서로, 노년기의 대인관계와 가족 관계, 미디어의 노화 묘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문화적 차이, 노년기의 건강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생생한 프레젠테이션 스타일을 통해 이 분야의 주요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는 한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의 노화에 관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에 대해 학생들이 좀 더 폭넓게 생각해보게끔 한다: 왜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더 성공적인 노년의 삶을 사는가? 커뮤니케이션은 노화에 대한 우리의 태도 및 감정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가 늙어가는 좀 더 낫거나 다른 방법은 없는가?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연구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이 노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더 큰 관심과 감수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노년기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을 다루면서
  노년층이 황혼기에 경험할 수 있는 전반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탐구
  노화 및 세대간 커뮤니케이션, 노화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노인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등 노년기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을 다루면서 노년층이 황혼기에 경험할 수 있는 전반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탐구하였다. 따라서 초고령 사회를 맞은 한국에서의 노화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줌은 물론 노화 연구가 왜 필요한지, 사회와 매스 미디어가 노화와 고령자를 바라보는 태도는 어떠하고 고령자와 노화를 어떻게 기술하고 묘사하는지, 고령자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과 건강과의 연관성은 어떠한지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것이다.

차례

감사의 글

1부 노화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소개
1장 노화에 대한 관점
1. 왜 노화를 연구하는가?
2. 노화에 대한 접근방식
   생물학적/생의학 적 접 근방식
   심리학적 접 근방식
   사회학적 접 근방식
전 생애적 발 달 접 근방식
3. 노화를 연구하는 방법
4. 요약

2장 노화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접근방식
1. 커뮤니케이션 감퇴
   정상적인 노화
   병적인 노 화: 알 츠하이머의 경우
2. 대조: 노화에 관한 긍정적인 연구 의제
3. 커뮤니케이션과 노화에 대한 접근방식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스 커뮤니케이션
   집단 간 커 뮤니케이션
4. 이 책을 이끌어가는 핵심 명제들: 커뮤니케이션 접근방식
5. 요약

2부 노화에 대한 태도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3장 노화 및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정관념과 태도
1. 고정관념과 태도 구분하기
2. 노화에 관한 태도
3.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
4. 연령 정체성내 세대에 대해 말하기
   사회적 이동성
   사회적 창 의성
   사회적 경쟁
5.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의 인지적 표상
6. 부정적인 태도와 고정관념이 왜 문제가 되는가?
7. 요약

4장 노화, 정체성, 태도, 그리고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 조절 이론
2. 노화의 커뮤니케이션 고충 모델
3. 상호작용에서의 연령 고정관념 모델
4. 의존성 지지하기
5. 조절의 다른 차원들
6. 연령 정체성: 커뮤니케이션에서 나이 공개하기와 감추기
7. 요약

5장 고령 성인기의 세대 내 관계
1. 노년의 배우자 관계
2. 노년의 세대 내 친구관계
3. 형제자매 관계
4. 요약

6장 고령 성인기의 세대 간 관계
1. 조부모 역할하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
2. 고령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
3. 세대 간 친구관계
4. 요약

7장 고령 성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향상하기
1. 젊은 사람의 변화: 세대 간 접촉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과 세 대 간 접촉
   다양한 차이에 대한 인식
2. 고충 끝내기: 커뮤니케이션 향상 모델
3. 고령 성인의 변화: 어린애 취급하는 듯한 말투에 맞서기
   수동적 대응
   공격적(대립적) 대응
   적극적 대응
   유머러스한 대응
4. 커뮤니케이션 기량과 커뮤니케이션 훈련
5. 요약

3부 사회적 표상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8장 고령 성인에 대한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묘사
1. 과소 묘사
2. 부정적 묘사
   건강
   주역 대 조역
   유머
   노화 과정에 대한 메시지
3. 긍정적 묘사
   예외적인 등장인물
   중심 등장인물
   유머러스한 등장인물
   광고
   정치권력
4. 미디어 산업
5. 요약

9장 미디어 이용과 효과
1. 미디어 이용에 있어서의 연령 차이
   텔레비전 시청량: 텔레비전 포용자로서의 고령자
   고령 성인이 시청하 는 것
   기타 미디어
2. 이용과 충족 이론
3. 미디어 효과
   젊은 시청자에게 미치는 효과
   고령 시청자에게 미치는 효과
4. 텔레비전 포용자으로서의 고령 성인?
5. 요약

10장 문화, 커뮤니케이션, 리고 노화
1. 동아시아
2. 남아시아(인도)
3. 미국의 라틴계 문화
4.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5. 세계화와 문화횡단적 주제
6. 요약

4부 고령 성인기의 커뮤니케이션의 맥락
11장 건강과 보건 의료
1. 의사-고령 환자 상호작용
   의사-고령 환자 상호작용의 속성
   의사 요인
   환자 요인
   동반자
   의사와 고령 환자의 면담 향상하기
   만족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고령자 차별주의를 보여주는
   기타 의료적 징후
2. 돌보미 지원 단체
3. 연장자 학대
4. 추가적인 토픽
5. 요약

12장 기술
1. 고령 성인의 기술적 역량에 대한 고정관념
2. 고령 성인의 컴퓨터 사용 현실
   장벽
   사용 증가
3. 고령 성인은 인터넷 상에서 무엇을 하는가?
   인터넷 사 용의 정체성 기능
4. 기술과 직장
5. 요약

5부 결론
13장 결론
1. 개인적 맥락과 사회적 맥락에서의 노화 모델
   역연령
   사회적 힘
   미시적 요인들
2. 여러분이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문화적 변화
   개인적 변화
3. 요약

책속으로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분야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입문서로, 노년기의 대인관계와 가족 관계, 미디어의 노화 묘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문화적 차이, 노년기의 건강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생생한 프레젠테이션 스타일을 통해 이 분야의 주요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는 한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의 노화에 관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에 대해 독자들이 좀 더 폭넓게 생각해보게끔 한다.
   왜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더 성공적인 노년의 삶을 사는가?
   커뮤니케이션은 노화에 대한 우리의 태도 및 감정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가 늙어가는 좀 더 낫거나 다른 방법은 없는가?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연구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이 노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더 큰 관심과 감수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제이크 하우드

  제이크 하우드[샌터 바버라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박사]는 커뮤니케이션학 교수이자 애 리조나 대학교(University of Arizona)에서 대학원 노인학 과정 책임자였다. 그의 연구 초점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이다. 그는 연령 집단에 대한 인지적(, 고정관념) 표상과 사회적(, 매스 미디어) 표상이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관련되는 방식에 관심이 있다. 그의 연구는 사회적 정체성, 집단 간 행동, 커뮤니케이션 조절에 대한 이론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는집단 간 커뮤니케이션: 다양한 관점(Intergroup Communication: Multiple Perspectives)의 공동 편집인이며 전문 학술지에 5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최근 논문은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Journal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에 게재되었다. 그는 현재 Human Communication Research의 편집인을 맡고 있으며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의 서평 편집인이. 2004, 그는 뛰어난 교육, 학문 및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분야에 대한 기여로 전미 커뮤니케이션 학회(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의 자일스/누스바움 저명 학자상(Giles/Nussbaum Distinguished Scholar Award)을 수상했다. 하우드 박사는 애리조나 대학교로 옮기기 전에는 캔저스 대학교(University of Kansas)에서 가르쳤다.

배현석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본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건 주립대(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서평

책소개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나 노화 및 노인에 대한 이해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전무한 한 실정
    우리나라는 20007월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2%로 이미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접어들었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 사회(aged society), 2026년경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 증가속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월등하게 빠르다.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로 가는데 프랑스가 115년으로 가장 오래 걸렸고, 미국이 73, 독일 40, 일본은 24년이 소요된 데 반해, 우리나라는 18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시기는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나 노화 및 노인에 대한 이해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전무한 한 실정이다.

커뮤니케이션이 노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살펴봄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분야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입문서로, 노년기의 대인관계와 가족 관계, 미디어의 노화 묘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문화적 차이, 노년기의 건강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생생한 프레젠테이션 스타일을 통해 이 분야의 주요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는 한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의 노화에 관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에 대해 학생들이 좀 더 폭넓게 생각해보게끔 한다: 왜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더 성공적인 노년의 삶을 사는가? 커뮤니케이션은 노화에 대한 우리의 태도 및 감정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가 늙어가는 좀 더 낫거나 다른 방법은 없는가?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연구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이 노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더 큰 관심과 감수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노년기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을 다루면서
  노년층이 황혼기에 경험할 수 있는 전반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탐구
  노화 및 세대간 커뮤니케이션, 노화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노인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등 노년기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을 다루면서 노년층이 황혼기에 경험할 수 있는 전반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탐구하였다. 따라서 초고령 사회를 맞은 한국에서의 노화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줌은 물론 노화 연구가 왜 필요한지, 사회와 매스 미디어가 노화와 고령자를 바라보는 태도는 어떠하고 고령자와 노화를 어떻게 기술하고 묘사하는지, 고령자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과 건강과의 연관성은 어떠한지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것이다.

차례

감사의 글

1부 노화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소개
1장 노화에 대한 관점
1. 왜 노화를 연구하는가?
2. 노화에 대한 접근방식
   생물학적/생의학 적 접 근방식
   심리학적 접 근방식
   사회학적 접 근방식
전 생애적 발 달 접 근방식
3. 노화를 연구하는 방법
4. 요약

2장 노화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접근방식
1. 커뮤니케이션 감퇴
   정상적인 노화
   병적인 노 화: 알 츠하이머의 경우
2. 대조: 노화에 관한 긍정적인 연구 의제
3. 커뮤니케이션과 노화에 대한 접근방식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스 커뮤니케이션
   집단 간 커 뮤니케이션
4. 이 책을 이끌어가는 핵심 명제들: 커뮤니케이션 접근방식
5. 요약

2부 노화에 대한 태도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3장 노화 및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정관념과 태도
1. 고정관념과 태도 구분하기
2. 노화에 관한 태도
3.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
4. 연령 정체성내 세대에 대해 말하기
   사회적 이동성
   사회적 창 의성
   사회적 경쟁
5.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의 인지적 표상
6. 부정적인 태도와 고정관념이 왜 문제가 되는가?
7. 요약

4장 노화, 정체성, 태도, 그리고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 조절 이론
2. 노화의 커뮤니케이션 고충 모델
3. 상호작용에서의 연령 고정관념 모델
4. 의존성 지지하기
5. 조절의 다른 차원들
6. 연령 정체성: 커뮤니케이션에서 나이 공개하기와 감추기
7. 요약

5장 고령 성인기의 세대 내 관계
1. 노년의 배우자 관계
2. 노년의 세대 내 친구관계
3. 형제자매 관계
4. 요약

6장 고령 성인기의 세대 간 관계
1. 조부모 역할하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
2. 고령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
3. 세대 간 친구관계
4. 요약

7장 고령 성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향상하기
1. 젊은 사람의 변화: 세대 간 접촉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과 세 대 간 접촉
   다양한 차이에 대한 인식
2. 고충 끝내기: 커뮤니케이션 향상 모델
3. 고령 성인의 변화: 어린애 취급하는 듯한 말투에 맞서기
   수동적 대응
   공격적(대립적) 대응
   적극적 대응
   유머러스한 대응
4. 커뮤니케이션 기량과 커뮤니케이션 훈련
5. 요약

3부 사회적 표상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8장 고령 성인에 대한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묘사
1. 과소 묘사
2. 부정적 묘사
   건강
   주역 대 조역
   유머
   노화 과정에 대한 메시지
3. 긍정적 묘사
   예외적인 등장인물
   중심 등장인물
   유머러스한 등장인물
   광고
   정치권력
4. 미디어 산업
5. 요약

9장 미디어 이용과 효과
1. 미디어 이용에 있어서의 연령 차이
   텔레비전 시청량: 텔레비전 포용자로서의 고령자
   고령 성인이 시청하 는 것
   기타 미디어
2. 이용과 충족 이론
3. 미디어 효과
   젊은 시청자에게 미치는 효과
   고령 시청자에게 미치는 효과
4. 텔레비전 포용자으로서의 고령 성인?
5. 요약

10장 문화, 커뮤니케이션, 리고 노화
1. 동아시아
2. 남아시아(인도)
3. 미국의 라틴계 문화
4.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5. 세계화와 문화횡단적 주제
6. 요약

4부 고령 성인기의 커뮤니케이션의 맥락
11장 건강과 보건 의료
1. 의사-고령 환자 상호작용
   의사-고령 환자 상호작용의 속성
   의사 요인
   환자 요인
   동반자
   의사와 고령 환자의 면담 향상하기
   만족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고령자 차별주의를 보여주는
   기타 의료적 징후
2. 돌보미 지원 단체
3. 연장자 학대
4. 추가적인 토픽
5. 요약

12장 기술
1. 고령 성인의 기술적 역량에 대한 고정관념
2. 고령 성인의 컴퓨터 사용 현실
   장벽
   사용 증가
3. 고령 성인은 인터넷 상에서 무엇을 하는가?
   인터넷 사 용의 정체성 기능
4. 기술과 직장
5. 요약

5부 결론
13장 결론
1. 개인적 맥락과 사회적 맥락에서의 노화 모델
   역연령
   사회적 힘
   미시적 요인들
2. 여러분이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문화적 변화
   개인적 변화
3. 요약

책속으로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분야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입문서로, 노년기의 대인관계와 가족 관계, 미디어의 노화 묘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문화적 차이, 노년기의 건강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생생한 프레젠테이션 스타일을 통해 이 분야의 주요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는 한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의 노화에 관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에 대해 독자들이 좀 더 폭넓게 생각해보게끔 한다.
   왜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더 성공적인 노년의 삶을 사는가?
   커뮤니케이션은 노화에 대한 우리의 태도 및 감정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가 늙어가는 좀 더 낫거나 다른 방법은 없는가?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연구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이 노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더 큰 관심과 감수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제이크 하우드

  제이크 하우드[샌터 바버라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박사]는 커뮤니케이션학 교수이자 애 리조나 대학교(University of Arizona)에서 대학원 노인학 과정 책임자였다. 그의 연구 초점은 커뮤니케이션과 노화이다. 그는 연령 집단에 대한 인지적(, 고정관념) 표상과 사회적(, 매스 미디어) 표상이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관련되는 방식에 관심이 있다. 그의 연구는 사회적 정체성, 집단 간 행동, 커뮤니케이션 조절에 대한 이론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는집단 간 커뮤니케이션: 다양한 관점(Intergroup Communication: Multiple Perspectives)의 공동 편집인이며 전문 학술지에 5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최근 논문은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Journal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에 게재되었다. 그는 현재 Human Communication Research의 편집인을 맡고 있으며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의 서평 편집인이. 2004, 그는 뛰어난 교육, 학문 및 커뮤니케이션과 노화 분야에 대한 기여로 전미 커뮤니케이션 학회(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의 자일스/누스바움 저명 학자상(Giles/Nussbaum Distinguished Scholar Award)을 수상했다. 하우드 박사는 애리조나 대학교로 옮기기 전에는 캔저스 대학교(University of Kansas)에서 가르쳤다.

배현석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본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건 주립대(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