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교육과 정책에 초점을 두고 다문화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함.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속히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으며 이는 이제 거부할 수 없는 역사적 추세가 되고 있다. 우리는 오랫동안 ‘민족적ㆍ문화적 동질성’이란 특징을 당연한 본질적 속성처럼 받아들여 왔으나 이는 이젠 신화로 남게 되었다. 국내 체류 외국인이 이미 200만 명을 넘어선 오늘날 우리 사회는 여러 인종과 민족 집단이 어울려 사는 다민족ㆍ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 현상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인식과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은 다문화 교육과 정책에 초점을 맞추었다. 저자는 다문화 사회와 관련된 제반 현상들을 13개의 장으로 구분하여 다각도로 다루고 있다.
다문화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다루면서도 일반인들이 이해하도록 서술
200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인문사회과학 여러 분야에서, 우리 사회의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과 함께 여러 가지 다문화 현상을 다룬 연구논문과 저작이 쏟아져 나왔다. 뿐만 아니라 정부 공공기관 및 단체, 민간 시민운동단체 등에서도 여러 가지 자료와 보고서가 제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문헌과 자료의 홍수 속에서도 다문화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다루면서도 일반인들이 알기 쉽게 서술한 저작물은 그리 많지 않다.
다문화 사회와 관련된 제반 현상들을 13개의 장으로 구분하여 다각도로 구성
제1장은 최근 다민족ㆍ다문화 사회로 이행중인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회적 현상과 원인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문화에 대한 여러 가지 잘못된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도록 하였다.
제2장과 3장은 최근 우리나라에 나타난‘다문화 현상’을 몇 가지로 나누어 현황을 개관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일반적인 다문화 현상과 관련된 기초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기본 현황을 관련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제3장에서는 다문화가정의 가족생활 및 사회경제적 생활에 대해 검토하고, 이주노동자, 난민, 북한이탈 주민의 생활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제4장에서는 ‘다문화주의’ 개념의 여러 복합적 의미를 알아보고,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사회를 바라보는 상반된 시각과 이론적 쟁점을 다루었다.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 이론과 부정적 이론을 비교해서 살펴보고 있다.
제5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회문제와 이에 대응하는 국가의 정책방향을 다루었다. 다문화 정책을‘분리ㆍ배제정책’,‘동화주의 정책’,‘다문화주의 정책’등으로 나누고 그 기본 관점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제6장은‘민족,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라는 제목하에 우리나라 사람들 사이에 팽배해 있는 단일민족의 신화가 역사적 사실과 얼마나 부합하며, 한민족의 개념과 국사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고 있다. 또한 민족, 국민, 네이션, 종족집단, 민족주의, 내셔널리즘 등의 개념에 대해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민족과 민족주의가 형성된 세계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제7장에서는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함께 다문화 교육과 유사한 다른 형태의 교육과 비교해 하였다. 또한 미국, 영국, 호주 등 주요국의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특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과 향후 방향을 생각해 보고 있다.
제8장부터 12장까지의 다섯 개 장에서는 선진적인 다문화 정책을 펴고 있는 세계 여러 나라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캐나다, 호주, 스웨덴,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10개국의 다문화 정책의 특성, 문제점과 한계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이들 나라의 사회적ㆍ역사적 배경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고 있다.
제13장에서는 우리나라 다문화 정책의 구성 및 내용, 추진체계 등을 통해 현행 다문화 교육정책의 실태 및 특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과 한계,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