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수상도서

당나라 시인들이 서예를 노래하다 中國 唐代 書藝詩

" 2021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학술도서 "

지은이우재호 역저

출판일2020-11-13

쪽 수224면

판 형신국판

I S B N978-89-7581-827-1

판매가20,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서예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모든 시(詩)를 ‘서예시’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제시

 

서예(書藝)는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며, 중국에서는 서법(書法), 일본에서는 서도(書道)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서예가나 서예작품과 관련된 일화는 물론이고 작가 자신이 글씨를 쓰면서 느끼는 감흥을 읊은 시, 문자로서의 글자 자체에 대해 읊은 시, 서론(書論)을 다룬 시, 서예 작품을 품평한 시, 서예사를 읊은 시, 문방사우를 비롯한 서예 도구를 읊은 시 등을 모두 포괄한 개념으로 저자는 서예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서예시가 왕성하게 지어진 당대(唐代)의 서예시를 추출하여 소개하고 역주함. 

 

서예가의 서예작품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서론도 중요하지만, 서예시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 상당한 도움이 된다. 저자는 중국 역대의 서예시 중에서, 서예시가 왕성하게 지어지기 시작한 당대의 서예시를 가려내어 소개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중 당대(唐代)의 이백(李白), 두보(杜甫),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을 비롯한 32명의 서예시 40수를 해석하고 주석 붙였다. 중국의 당대의 서예시를 체계적으로 탐구하여 출간한 저작물은 아직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학술적으로도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서예시를 정리하여 특징을 체계적으로 규명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서예시를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아내고 있다. 서예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을 정리하고 논술한 시들이 많으며, 당대의 서예가 가운데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는 회소(懷素)였다. 아울러 초서를 다룬 시가 40여수 가까이 되어 전체 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서예 작품과 더불어 서예가에 대해 읊고 있는 경우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표현상 특징으로는 직유와 은유 등 비유적인 표현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형식에 있어서는 오언시나 근체시 보다 칠언시나 잡언체의 고시가 많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차례

머리말


제1장 中國 唐代 書藝詩에 대하여

 

1. 서예시의 개념과 범주

 

2. 당 이전의 서예시

 

3. 당대의 서예시

 

4. 나가며

 

 

 

제2장 中國 唐代 書藝詩 풀이

 

1. 글씨(書)

 

2. 장욱에게 드림(贈張旭)

 

3. 초서를 노래함(草書歌行)

 

4. 왕우군(王右軍)

 

5.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6. 회소스님 초서에 제함(題懷素上人草書)

 

7. 전중감 양염(楊炎)이 장욱의 초서도를 보여주다(殿中楊監見示張旭草書圖)

 

8. 이조의 팔분소전 글씨 노래(李潮八分小篆歌)

 

9.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10. 우세남의 해서를 읊은 노래(賦虞書歌)

 

11.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12. 회소대사의 초서 노래(懷素師草書歌)

 

13. 소단의 초서 노래(蕭鄲草書歌)

 

14.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15. 마수재의 초서 노래(馬秀才草書歌)

 

16. 구루산(岣嶁山)

 

17. 석고가(石鼓歌)

 

18. 은현이 장난삼아 글씨를 평한 후 연주자사 유우석에게 보내며 아울러 맹과 윤

 

두 아이에게도 보이다(殷賢戲批書後寄劉連州幷示孟崙二童)

 

19. 거듭 보냄. 두 수(重贈. 二首)

 

20. 낙중사 북쪽 누각에서 하지장이 초서로 쓴 시를 보다(洛中寺北樓見賀監草書題詩)

 

21. 유종원이 집닭이란 시를 보낸 것에 수답하다(酬柳柳州家雞之贈)

 

22. 앞의 시에 답하다(答前篇)

 

23. 뒤의 시에 답하다(答後篇)

 

24. 초서로 유명한 헌스님이 여산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送草書獻上人歸廬山)

 

25. 고한상인(高閑上人)

 

26. 산조역 앞의 비석에 제하다(題酸棗驛前碑)

 

27. 초서 병풍(草書屛風)

 

28. 변광 스님에게 초서가를 드리다(贈䛒光上人草書歌)

 

29. 변광 스님에게 보내다(寄䛒光上人)

 

30. 회소의 주광첩 뒤에 제하다(題懷素酒狂帖後)

 

31. 회소대가(懷素臺歌)

 

32. 팔분서를 친구에게 보내 주고 이어서 시를 지어주다(送八分書與友人, 繼以詩)

 

33. 양소경의 글씨 뒤에 제하다(題楊少卿書後)

 

34. 산사에서 벽에 쓰인 양소경의 글씨를 보고, 이로 인해

 

글씨 말미에 제하다(山寺見楊少卿書壁, 因題其尾)

 

35. 장백고의 초서 노래(張伯高草書歌)

 

36. 진씨 집안 동자의 초서 노래(陳氏童子草書歌)

 

37. 회소의 초서를 보고 노래하다(觀懷素草書歌)

 

38. 변광대사의 초서를 노래하다(䛒光大師草書歌) 

 

39. 서천 담역대사의 옥저전서에 감사하며(謝西川曇域大師玉箸篆書)

 

40. 이양빙의 옥저전에 제하다(題李陽冰玉箸篆詞)

 

41. 수공 스님의 초서 노래(修公上人草書歌)

 

42. 몽구의 초서를 보다(觀夢龜草書)

 

 

 

제3장 文房四友를 읊은 唐詩

 

1.序論

 

2. 文房四友를 주제로 한 唐詩

 

3. 結論

책속으로

시학(詩學)과 서학(書學)의 만남이라는 측면에서 서예시를 분석하는 것은 시가사(詩歌史)나 서예사(書藝史)의 이해뿐만 아니라 미학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궁극적으로 어떤 한 서예가의 서예 작품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서론(書論)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서예시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 책은 중국 역대의 서예시 중에서, 서예시가 왕성하게 지어지기 시작한 당대(唐代)의 서예시를 추출 정리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저자소개

우재호(禹在鎬)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을 졸업하였고, 중국 南開大學 교환교수, 華中師範大學 방문학자와 國立臺灣大學 연구교수 등을 지냈으며, 지금은 영남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및 대학원 동아시아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저서로 『退溪全書12』(共譯, 1993), 『袁宏道詩歌硏究』(1995), 『唐代文人列傳』(共譯, 1998), 『中國佛敎文化』(2001), 『古文眞寶(前集 2001: 後集 2003)』(共譯), 『孟子譯註』(2002), 『魏晉南北朝文人列傳』(共譯, 2005), 『商君書』(2005), 『孟子』(2007),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共譯, 2015) 등이 있다. 현재는 주로 중국 시가와 서예 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서평

책소개

서예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모든 시(詩)를 ‘서예시’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제시

 

서예(書藝)는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며, 중국에서는 서법(書法), 일본에서는 서도(書道)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서예가나 서예작품과 관련된 일화는 물론이고 작가 자신이 글씨를 쓰면서 느끼는 감흥을 읊은 시, 문자로서의 글자 자체에 대해 읊은 시, 서론(書論)을 다룬 시, 서예 작품을 품평한 시, 서예사를 읊은 시, 문방사우를 비롯한 서예 도구를 읊은 시 등을 모두 포괄한 개념으로 저자는 서예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서예시가 왕성하게 지어진 당대(唐代)의 서예시를 추출하여 소개하고 역주함. 

 

서예가의 서예작품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서론도 중요하지만, 서예시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 상당한 도움이 된다. 저자는 중국 역대의 서예시 중에서, 서예시가 왕성하게 지어지기 시작한 당대의 서예시를 가려내어 소개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중 당대(唐代)의 이백(李白), 두보(杜甫),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을 비롯한 32명의 서예시 40수를 해석하고 주석 붙였다. 중국의 당대의 서예시를 체계적으로 탐구하여 출간한 저작물은 아직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학술적으로도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서예시를 정리하여 특징을 체계적으로 규명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서예시를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아내고 있다. 서예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을 정리하고 논술한 시들이 많으며, 당대의 서예가 가운데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는 회소(懷素)였다. 아울러 초서를 다룬 시가 40여수 가까이 되어 전체 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서예 작품과 더불어 서예가에 대해 읊고 있는 경우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표현상 특징으로는 직유와 은유 등 비유적인 표현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형식에 있어서는 오언시나 근체시 보다 칠언시나 잡언체의 고시가 많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차례

머리말


제1장 中國 唐代 書藝詩에 대하여

 

1. 서예시의 개념과 범주

 

2. 당 이전의 서예시

 

3. 당대의 서예시

 

4. 나가며

 

 

 

제2장 中國 唐代 書藝詩 풀이

 

1. 글씨(書)

 

2. 장욱에게 드림(贈張旭)

 

3. 초서를 노래함(草書歌行)

 

4. 왕우군(王右軍)

 

5.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6. 회소스님 초서에 제함(題懷素上人草書)

 

7. 전중감 양염(楊炎)이 장욱의 초서도를 보여주다(殿中楊監見示張旭草書圖)

 

8. 이조의 팔분소전 글씨 노래(李潮八分小篆歌)

 

9.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10. 우세남의 해서를 읊은 노래(賦虞書歌)

 

11.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12. 회소대사의 초서 노래(懷素師草書歌)

 

13. 소단의 초서 노래(蕭鄲草書歌)

 

14. 회소스님의 초서 노래(懷素上人草書歌)

 

15. 마수재의 초서 노래(馬秀才草書歌)

 

16. 구루산(岣嶁山)

 

17. 석고가(石鼓歌)

 

18. 은현이 장난삼아 글씨를 평한 후 연주자사 유우석에게 보내며 아울러 맹과 윤

 

두 아이에게도 보이다(殷賢戲批書後寄劉連州幷示孟崙二童)

 

19. 거듭 보냄. 두 수(重贈. 二首)

 

20. 낙중사 북쪽 누각에서 하지장이 초서로 쓴 시를 보다(洛中寺北樓見賀監草書題詩)

 

21. 유종원이 집닭이란 시를 보낸 것에 수답하다(酬柳柳州家雞之贈)

 

22. 앞의 시에 답하다(答前篇)

 

23. 뒤의 시에 답하다(答後篇)

 

24. 초서로 유명한 헌스님이 여산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送草書獻上人歸廬山)

 

25. 고한상인(高閑上人)

 

26. 산조역 앞의 비석에 제하다(題酸棗驛前碑)

 

27. 초서 병풍(草書屛風)

 

28. 변광 스님에게 초서가를 드리다(贈䛒光上人草書歌)

 

29. 변광 스님에게 보내다(寄䛒光上人)

 

30. 회소의 주광첩 뒤에 제하다(題懷素酒狂帖後)

 

31. 회소대가(懷素臺歌)

 

32. 팔분서를 친구에게 보내 주고 이어서 시를 지어주다(送八分書與友人, 繼以詩)

 

33. 양소경의 글씨 뒤에 제하다(題楊少卿書後)

 

34. 산사에서 벽에 쓰인 양소경의 글씨를 보고, 이로 인해

 

글씨 말미에 제하다(山寺見楊少卿書壁, 因題其尾)

 

35. 장백고의 초서 노래(張伯高草書歌)

 

36. 진씨 집안 동자의 초서 노래(陳氏童子草書歌)

 

37. 회소의 초서를 보고 노래하다(觀懷素草書歌)

 

38. 변광대사의 초서를 노래하다(䛒光大師草書歌) 

 

39. 서천 담역대사의 옥저전서에 감사하며(謝西川曇域大師玉箸篆書)

 

40. 이양빙의 옥저전에 제하다(題李陽冰玉箸篆詞)

 

41. 수공 스님의 초서 노래(修公上人草書歌)

 

42. 몽구의 초서를 보다(觀夢龜草書)

 

 

 

제3장 文房四友를 읊은 唐詩

 

1.序論

 

2. 文房四友를 주제로 한 唐詩

 

3. 結論

책속으로

시학(詩學)과 서학(書學)의 만남이라는 측면에서 서예시를 분석하는 것은 시가사(詩歌史)나 서예사(書藝史)의 이해뿐만 아니라 미학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궁극적으로 어떤 한 서예가의 서예 작품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서론(書論)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서예시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 책은 중국 역대의 서예시 중에서, 서예시가 왕성하게 지어지기 시작한 당대(唐代)의 서예시를 추출 정리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저자소개

우재호(禹在鎬)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을 졸업하였고, 중국 南開大學 교환교수, 華中師範大學 방문학자와 國立臺灣大學 연구교수 등을 지냈으며, 지금은 영남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및 대학원 동아시아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저서로 『退溪全書12』(共譯, 1993), 『袁宏道詩歌硏究』(1995), 『唐代文人列傳』(共譯, 1998), 『中國佛敎文化』(2001), 『古文眞寶(前集 2001: 後集 2003)』(共譯), 『孟子譯註』(2002), 『魏晉南北朝文人列傳』(共譯, 2005), 『商君書』(2005), 『孟子』(2007),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共譯, 2015) 등이 있다. 현재는 주로 중국 시가와 서예 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