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사회

이제 공간에 주의하십시오

" 2023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우수학술도서 "

지은이신지연 이승빈 김영대

출판일2023-11-28

쪽 수185

판 형

I S B N978-89-7581-878-3

판매가20,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23년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우리가 살고 느끼고 경험하는 공간을 다각도로 해석하여 다채롭게 풀어낸 사유의 결과물공간주의(ATTENTION2.SPACE)는 미디어와 문화를 공부하며 만난 젊은 연구자 세 사람이 모여 만든 공간문화 플랫폼이다. 공간에 대한 파편들을 매개하고 재조합하는 ‘접경지대’이자 ‘공통지대’를 지향하며, 지금 왜 공간적 사유가 중요한지, 공간을 통해 바라보는 세계는 어떠한지를 그려내고 있다. 이 책은 우리가 살고 느끼고 경험하는 공간을 다각도로 해석한다. 점유한다는 의미에서 공간이나 두 공간을 잇는 공간, 혹은 공간 그 아래의 공간에 대해 풀어내는 방식이 사뭇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독자들에게 자신이 살아가고 인식하는 공간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몸, 주변의 건물과 동네, 그리고 도시와 세계에 이르는 여러 장소의 성격을 다채롭게 보여줌으로써 공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깊고 넓게 만들고 있다.

 

때로는 연합하고 때로는 경합하는 공간들 사이에서

어떤 공간을 만들고 살 것인지에 관한 응답들

 

이 책은 구축, 순환, 모색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구축>은 ‘공간에 대한 공간’으로 저자들이 구축하고자 했던 플랫폼 구현의 방향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여기서는 공간주의가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지침과 모양, 그리고 이를 만들기 위해 참고한 다른 성격과 좌표, 스케일의 공간 구축 방식을 살펴보고 있다. 2부 <순환>에서는 공기와 변, 자전거와 지하철, 사람의 몸과 같이 도시공간을 구성하고 가로지르는 물질의 순환과 함께 여기에 필요한 길과 망, 정치, 정동을 다룬다. 이를 토대로 도시를 중심으로 공간의 기존 논리를 구성해 온 순환의 적절성과 정당성을 재검토하고 있다. 3부 <모색>에서는 공간과 이동의 정치가 나아갈 방향들을 탐색하고 있다. 특히 저자들은 공간에 존재하는 틈새와 균열에 주목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너머’의 정치적 가능성을 상상함으로써 어떤 공간을 만들고 살 것이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다. 또한 각 부의 서두에는 일러스트레이터 정원교 작가의 작품이 삽입되어 그 부의 내용을 종합하고 함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형식과 장르로 이루어진 응답의 글들을 시각적으로 흥미롭게 접붙이고 있다.

 

차례

1부 구축

공간주의 구상 1안

볼 수 있는 것과 느낄 수 있는 것 사이 리미널스페이스론 

우리도 건설한다? 

 

2부 순환

물과 변으로 상상력을 수혈하기

서울에서 숨쉬기 

사건: 도시(간)지하(사이)공간

이동하는 신체, 움직임 속의 감각 

 

3부 모색

떠도는 이들은 어떻게 잊혀졌는가?

게임의 공간에서 자율성 혹은 행위역량을 궁구하며 세계 열기 혹은 메타게이밍을 위한 공용 장치 도시에서 당사자를 의심하기 

 

후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으로

공간주의(空間注意)는 공간에 대한 하나의 단일한 주의(主意)를 주창하기 위한 시도가 아니다. 우리의 목적은 각자의 장소 체험이 상이한 위상에서 구성된 것임을 드러내고 이를 종합함으로써 일관되지 않은 공간을 맥락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주의는 공간을 주의하고 전면화하는 이질적인 작업들이 만나는 경계 없는(border-less) 접경지대가 되고자 한다. 이때 접경지대는 각기 다른 토대와 스케일에서 발전한 공간에 대한 작업들의 논쟁이 펼쳐지는 전장이자, 동시에 그 전장에서 합의된 공통 방향의 총체적인 공간 생산을 위한 공동진지를 의미한다. _p.16 

 

시간이 과거-현재-미래로 연속적이지 않듯 공간 역시 그렇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이곳이 시간이 펼쳐져 있다고 느껴지는 공간 중 하나라고 생각했고 그게 어떤 알 수 없는 죄책감이나 으스스함, 새로운 다짐들을 불러일으킨다고 느꼈다. _p.23

 

일상의 규범이 작동하지 않는 공간은 방문자에게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오히려 공간은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방문자를 환대하지 않으며, 이전과 같은 방식의 관계를 맺는 것도 허용하지 않는다. 이 공간은 더 이상 우리에게 익숙하던 객체가 아니며 거꾸로 우리를 응시하고 새로운 관계 속으로 던져버린다. _p.28

 

결국 도시들의 사이 공간은 서울이지만 서울이 아닌 곳, 동시에 경기-김포지만 경기-김포가 아닌 곳으로 남게 되었다. 여기에 어두운 지하의 수직적 비가시성이 레이어로 추가된 ‘사건’에서, 지방자치단체 간의 떠넘김의 혐의는 도리어 더욱 밝고 선명하게 드러났다. _p.95

 

언젠가 누가 내게 정주와 정체의 차이는 무엇이라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둘 다 한곳에 머물러 있다는 의미를 공유하지만, 나는 사회가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에 부흥할 수 있는지, 조절할 수 있는지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이는 어떤 움직임이 ‘지나치게 과도하다’는 판단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 사회가 제시하는 속도와 방향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것에 부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떠올려본다. _p.113

 

그러므로 세계 열기란 메타게이밍과 함께 일어난다. 유의미한 메타게임의 수는 곧 유의미한 플레이 공간 계열체의 수이다. 이 계열체의 역사적 이름을 장르 혹은 장르로 환원되지 않는 몇몇 고유성을 달성한 게임의 이름으로 부를 수 있었다. 이 플레이 공간은 건축 가능한 세계인 동시에 우리 삶의 다른 범속한 세계와 마찬가지로는 다른 세계와의 협상과 조정, 투쟁이 일어나는 생태 속에서 구축할 수 있다. _p.121

 

그런데 문제는 당사자라는 사실만으로 행동의 정당성이 구성되는(것이라 믿는) 당사자주의 도시정치가 도시공간을 제각각의 영역으로 쪼개어 나눠 갖게 된다는 것이다. 당사자 본위의 논리에서는 모든 이들이 당사자로서의 권리를 가진 한정된 영역에만 개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사자만을 도시공간의 정당화된 유일한 결정 주체로 선험적으로 특권화함으로써, 그저 ‘너도 맞고, 나도 맞는’ 상태로 서로 침범하지도 개입하지도 문제시하지도 않게 되어버린다. 이 과정에서 당사자들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도시공간은 제각각의 닫힌 영토로 상대화된다. _p.150

 

저자소개

신지연

광주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를 공부했고, 현재는 같은 학교의 문화인류학과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공간문화 플랫폼 [공간주의]를 공동 기획하였고 편집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 논문 [한국을 떠나는 여성-청년들], [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공저), [지아장커 영화의 경관, 지아장커 영화라는 경관](공저)과 독립출판물 [잡종도시서울](공저)이 있다. 이동을 둘러싼 동아시아 사회현상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이승빈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로 박사과정 중이다. 공간문화 플랫폼 [공간주의]의 개설을 제안했고, 편집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논문 [영상물을 활용한 건설 경관-연출의 정치], [서울역 일대 도시공간 재구성의 무산된 청사진], [20세기 전반기 서울역의 ‘경계짓기’ 과정에 대한 연구], [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공저), [지아장커 영화의 경관, 지아장커 영화라는 경관](공저)과 독립출판물 [잡종도시서울](공저) 등을 출간했다. 도시공간의 경계와 경합, 입지와 경관, 미디어 사회문화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김영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를 공부했다. 여러 이름으로 문화정치와그 너머의 관점에서 글을 쓰며 공간문화 플랫폼 [공간주의]의 편집진이다. 한국문화연구학회,공간환경학회에서 각각 비디오게임 ([던전의 전투기들: FPS의 짧은 기술사]), 플랫폼 어바니즘([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공저))에 관한 논문과 독립출판물 [잡종도시서울](공저)을 출간했고, 국립현대미술관 [워치앤칠 3.0, 서스펜스의 도시]에 [도시의 그림그리기 혹은 서스펜스의 게임]을 기고했다. 최근에는 문화현상의 기술 ․ 공간적 조건과 함께감각과 담론의 계급 동학에 관해 생각 중이다.

 

서평

책소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23년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우리가 살고 느끼고 경험하는 공간을 다각도로 해석하여 다채롭게 풀어낸 사유의 결과물공간주의(ATTENTION2.SPACE)는 미디어와 문화를 공부하며 만난 젊은 연구자 세 사람이 모여 만든 공간문화 플랫폼이다. 공간에 대한 파편들을 매개하고 재조합하는 ‘접경지대’이자 ‘공통지대’를 지향하며, 지금 왜 공간적 사유가 중요한지, 공간을 통해 바라보는 세계는 어떠한지를 그려내고 있다. 이 책은 우리가 살고 느끼고 경험하는 공간을 다각도로 해석한다. 점유한다는 의미에서 공간이나 두 공간을 잇는 공간, 혹은 공간 그 아래의 공간에 대해 풀어내는 방식이 사뭇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독자들에게 자신이 살아가고 인식하는 공간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몸, 주변의 건물과 동네, 그리고 도시와 세계에 이르는 여러 장소의 성격을 다채롭게 보여줌으로써 공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깊고 넓게 만들고 있다.

 

때로는 연합하고 때로는 경합하는 공간들 사이에서

어떤 공간을 만들고 살 것인지에 관한 응답들

 

이 책은 구축, 순환, 모색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구축>은 ‘공간에 대한 공간’으로 저자들이 구축하고자 했던 플랫폼 구현의 방향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여기서는 공간주의가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지침과 모양, 그리고 이를 만들기 위해 참고한 다른 성격과 좌표, 스케일의 공간 구축 방식을 살펴보고 있다. 2부 <순환>에서는 공기와 변, 자전거와 지하철, 사람의 몸과 같이 도시공간을 구성하고 가로지르는 물질의 순환과 함께 여기에 필요한 길과 망, 정치, 정동을 다룬다. 이를 토대로 도시를 중심으로 공간의 기존 논리를 구성해 온 순환의 적절성과 정당성을 재검토하고 있다. 3부 <모색>에서는 공간과 이동의 정치가 나아갈 방향들을 탐색하고 있다. 특히 저자들은 공간에 존재하는 틈새와 균열에 주목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너머’의 정치적 가능성을 상상함으로써 어떤 공간을 만들고 살 것이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다. 또한 각 부의 서두에는 일러스트레이터 정원교 작가의 작품이 삽입되어 그 부의 내용을 종합하고 함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형식과 장르로 이루어진 응답의 글들을 시각적으로 흥미롭게 접붙이고 있다.

 

차례

1부 구축

공간주의 구상 1안

볼 수 있는 것과 느낄 수 있는 것 사이 리미널스페이스론 

우리도 건설한다? 

 

2부 순환

물과 변으로 상상력을 수혈하기

서울에서 숨쉬기 

사건: 도시(간)지하(사이)공간

이동하는 신체, 움직임 속의 감각 

 

3부 모색

떠도는 이들은 어떻게 잊혀졌는가?

게임의 공간에서 자율성 혹은 행위역량을 궁구하며 세계 열기 혹은 메타게이밍을 위한 공용 장치 도시에서 당사자를 의심하기 

 

후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으로

공간주의(空間注意)는 공간에 대한 하나의 단일한 주의(主意)를 주창하기 위한 시도가 아니다. 우리의 목적은 각자의 장소 체험이 상이한 위상에서 구성된 것임을 드러내고 이를 종합함으로써 일관되지 않은 공간을 맥락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주의는 공간을 주의하고 전면화하는 이질적인 작업들이 만나는 경계 없는(border-less) 접경지대가 되고자 한다. 이때 접경지대는 각기 다른 토대와 스케일에서 발전한 공간에 대한 작업들의 논쟁이 펼쳐지는 전장이자, 동시에 그 전장에서 합의된 공통 방향의 총체적인 공간 생산을 위한 공동진지를 의미한다. _p.16 

 

시간이 과거-현재-미래로 연속적이지 않듯 공간 역시 그렇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이곳이 시간이 펼쳐져 있다고 느껴지는 공간 중 하나라고 생각했고 그게 어떤 알 수 없는 죄책감이나 으스스함, 새로운 다짐들을 불러일으킨다고 느꼈다. _p.23

 

일상의 규범이 작동하지 않는 공간은 방문자에게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오히려 공간은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방문자를 환대하지 않으며, 이전과 같은 방식의 관계를 맺는 것도 허용하지 않는다. 이 공간은 더 이상 우리에게 익숙하던 객체가 아니며 거꾸로 우리를 응시하고 새로운 관계 속으로 던져버린다. _p.28

 

결국 도시들의 사이 공간은 서울이지만 서울이 아닌 곳, 동시에 경기-김포지만 경기-김포가 아닌 곳으로 남게 되었다. 여기에 어두운 지하의 수직적 비가시성이 레이어로 추가된 ‘사건’에서, 지방자치단체 간의 떠넘김의 혐의는 도리어 더욱 밝고 선명하게 드러났다. _p.95

 

언젠가 누가 내게 정주와 정체의 차이는 무엇이라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둘 다 한곳에 머물러 있다는 의미를 공유하지만, 나는 사회가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에 부흥할 수 있는지, 조절할 수 있는지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이는 어떤 움직임이 ‘지나치게 과도하다’는 판단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 사회가 제시하는 속도와 방향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것에 부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떠올려본다. _p.113

 

그러므로 세계 열기란 메타게이밍과 함께 일어난다. 유의미한 메타게임의 수는 곧 유의미한 플레이 공간 계열체의 수이다. 이 계열체의 역사적 이름을 장르 혹은 장르로 환원되지 않는 몇몇 고유성을 달성한 게임의 이름으로 부를 수 있었다. 이 플레이 공간은 건축 가능한 세계인 동시에 우리 삶의 다른 범속한 세계와 마찬가지로는 다른 세계와의 협상과 조정, 투쟁이 일어나는 생태 속에서 구축할 수 있다. _p.121

 

그런데 문제는 당사자라는 사실만으로 행동의 정당성이 구성되는(것이라 믿는) 당사자주의 도시정치가 도시공간을 제각각의 영역으로 쪼개어 나눠 갖게 된다는 것이다. 당사자 본위의 논리에서는 모든 이들이 당사자로서의 권리를 가진 한정된 영역에만 개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사자만을 도시공간의 정당화된 유일한 결정 주체로 선험적으로 특권화함으로써, 그저 ‘너도 맞고, 나도 맞는’ 상태로 서로 침범하지도 개입하지도 문제시하지도 않게 되어버린다. 이 과정에서 당사자들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도시공간은 제각각의 닫힌 영토로 상대화된다. _p.150

 

저자소개

신지연

광주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를 공부했고, 현재는 같은 학교의 문화인류학과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공간문화 플랫폼 [공간주의]를 공동 기획하였고 편집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 논문 [한국을 떠나는 여성-청년들], [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공저), [지아장커 영화의 경관, 지아장커 영화라는 경관](공저)과 독립출판물 [잡종도시서울](공저)이 있다. 이동을 둘러싼 동아시아 사회현상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이승빈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로 박사과정 중이다. 공간문화 플랫폼 [공간주의]의 개설을 제안했고, 편집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논문 [영상물을 활용한 건설 경관-연출의 정치], [서울역 일대 도시공간 재구성의 무산된 청사진], [20세기 전반기 서울역의 ‘경계짓기’ 과정에 대한 연구], [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공저), [지아장커 영화의 경관, 지아장커 영화라는 경관](공저)과 독립출판물 [잡종도시서울](공저) 등을 출간했다. 도시공간의 경계와 경합, 입지와 경관, 미디어 사회문화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김영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를 공부했다. 여러 이름으로 문화정치와그 너머의 관점에서 글을 쓰며 공간문화 플랫폼 [공간주의]의 편집진이다. 한국문화연구학회,공간환경학회에서 각각 비디오게임 ([던전의 전투기들: FPS의 짧은 기술사]), 플랫폼 어바니즘([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공저))에 관한 논문과 독립출판물 [잡종도시서울](공저)을 출간했고, 국립현대미술관 [워치앤칠 3.0, 서스펜스의 도시]에 [도시의 그림그리기 혹은 서스펜스의 게임]을 기고했다. 최근에는 문화현상의 기술 ․ 공간적 조건과 함께감각과 담론의 계급 동학에 관해 생각 중이다.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