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인문

20세기 급진주의 노동운동의 흐름들

지은이이정희 은은기 게리훈니우스,데이비드 가르손

출판일2006-09-15

쪽 수390면

판 형신국판

I S B N89-7581-303-7 93330

판매가18,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국내에서는 아직 20세기 유럽과 미국 등지의 급진주의적 노동운동의 실제에 관한 연구 글이 종합적으로 소개된 저서가 거의 전무한 실정 무한 경쟁의 후기 산업사회에서 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노동의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산업민주주의의 달성 문제는 오늘날 전 세계 각국의 공통된 정치사회적 과제이다. 그동안 한국사회의 노동운동은 견고한 이론적 기반이나 실제에 관한 과학적 안목 없이 종종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아니면 행동주의적 전술과 양상을 띠어 왔다.

이 책은 20세기 서구 각국의 급진주의 노동운동가들이 추구해 왔던 노동자 자주관리 혹은 경영에 참여라는 목표들이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로 달성 가능한 것인지, 이에 대한 대안적 모델은 어떠한 것인지, 이를 위하여 노동운동의 지도자, 정부의 정책가, 기업의 노사문제 담당자, 혹은 사회 내의 노사분쟁 조정자들이 각각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 산업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학문적으로 진지하게 탐색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아직 20세기 유럽과 미국 등지의 급진주의적 노동운동의 실제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조명한 저서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기에 이 책의 출판은 큰 의의가 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시작된 서국 각국에서의 급진주의적 노동운동과 산업민주주의 달성을 위한 각국의 정책들을 비교사적으로 연구한 결과물

공저자인 게리 훈니우스는 미국과 캐나다의 두 개의 협력단체인 메샤츄세츠 주, 케임브리지의 <케임브리지정책연구소>의 노동자 자주경영에 관한 특별연구과제단과 온타리오 주 토론토의 <사회변화연구소 프락시스>의 노동자관리에 관한 연구과제단의 공동의 연구결과를 『Workers Control : A Reader on Labor and Social Change (New York, 1973)』으로 출판한 바 있다. 이 책에서는 기고문 가운데에서 비교사적인 가치가 많은 논문을 발췌, 번역하였다.


급진주의 노동운동이 가장 중요한 화두로서 추구하는 노동의 경영참여, 혹은 자주경영의 실현을 추구하는 입장과 단체협상 및 노사협동 체제를 통하여 산업민주주의를 달성하고자 하는 개혁적인 방법을 추구하는 입장, 그리고 미국의 신자유주의 전략에 대한 비판적 소개의 글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1장에서는 자주경영의 이론적 근거와 자본주의 체제와의 갈등에 관한 연구를, 2장에서는 프랑스에서 가장 먼저 실험한 사례로서 1890~1910년간에 전개된 프랑스 생디칼리즘 운동의 배경과 사상적 특징 그리고 총파업의 투쟁 전략, 성과 등에 관한 연구를 수록하였다.

3장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전개된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 속에서 등장한 노동자들의 혁명적 노동자관리에 관한 요구와 이에 대한 레닌의 노동정책 사이의 대립과 갈등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러시아 노동자들의 요구와 볼셰비키의 입장 그리고 레닌의 노동정책 사이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자주관리(혹은 자주경영)의 현실적 한계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4장, 5장, 6장에서는 현대의 개혁적 자주경영의 모델로서 캐나다와 스웨덴의 산업 민주주의를 소개하였다. 특히 스웨덴에서는 사회민주주의 하에서 노동과 자본 사이의 협조관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정부의 중재 기구와 모든 산업부문에서의 조직들이 수행하는 역할을 조사하였다.

7장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도입한 독일에서의 노사공동결정 제도의 내용과 성과 및 한계점에 관한 글을, 8장에서는 공산주의 국가인 유고슬라비아에서 실험한 노동자 관리의 방식이 러시아 혁명기 러시아 노동자들의 혁명적인 자주적 노동자관리 운동과는 달리 매우 자치적이면서도 생명력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였음을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다비드 가르손은 닉슨시대 미국정부가 선언한 신자유주의적인 경제프로그램이 작업현장에서의 노동자들의 참여권에 대하여 왜 비관적 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정부정책가, 기업가, 노동자들에게 이론과 실제 면에서 교훈과 합리적 안목을 가지는데 많은 도움
20세기 미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서구 각국 노동자들의 자주관리, 또는 경영에 대한 참여의 권리를 요구하는 급진적인 노동운동, 국가의 노사 정책의 여러 체험을 연구하고 소개함으로서 갈등상태에 빠져들고 있는 오늘날 정부정책가, 기업가 그리고 노동자들에게 이론과 실제 면에서 교훈과 합리적 안목을 가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차례

서언
편집인의 글
1. 자본주의와 노동자의 자주경영 _ 데이비드 엘레르만(David Ellerman)
2. 프랑스 생디칼리즘의 성격(1890~1910) _ 은은기
3. 레닌의 노동정책과 노동자관리(1917~1921) _ 이정희
4. 단체교섭과 산업민주주의 _ 크리스 트라우어(Chris Trower)
5. 현대 노동자 자주경영의 모델:스웨덴 _ 윌프레드 리스트(Wilfred List)
6. 스웨덴의 산업민주주의 _ 라르스 에릭 칼쓴(Lars Erik Karlsson)
7. 서독에서의 노사공동결정 _ 서독노동조합연맹 집행위원회
8. 유고슬라비아 노동자관리 : 본질적인 쟁점들 _ 데이비드 톤키스트(David Tornquist)
9. 노동자관리와 닉슨 경제계획 _ 잭 라스무스(Jack Rasmus)
10. 노동자관리의 정치:회고 _ 데이비드 가르손(David Garson)
참고문헌
저자소개
찾아보기

 

 

 

 

 

 

 

책속으로

 

 

 

 

 

 

 

저자소개

이정희 - 1955년 대구에서 출생하여 경북여고와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랙캄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박사과정(러시아사 및 동유럽사 전공)을 이수하였으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러시아 외무성 모스크바 동방학 연구소의 교환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논문으로 볼셰비키 사회주의와 노동자관리를 집필하였다.

은은기 - 1961년 경북 군위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였으며, 프랑스 소르본느대학교(파리 4대학)에서 프랑스사를 전공하여 DEA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논문으로 르노자동차 공장이 위치한 불로뉴시의 도시정책을 집필하였다.

Gerry Hunnius - 캐나다 토론토의 요크 대학교, 애트킨슨 대학의 사회과학부(Department of Social Science at Atkinson College, York University, Toronto, Canada)에서 강의. <프락시스 : 토론토의 사회변화연구소>의 연구원, 캠브리지 연구소의 부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토론토의 국제학술잡지 『우리세대, Our Generation』의 편집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유고슬라비아의 노동자 자주경영에 관한 글 등을 출판 하였다.

G. David Garson - 터프츠 대학교의 정치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1965년 프린스턴 대학교 학부를 졸업 하였다. 1969년 하바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하였으며, 저서로는 정치학 교재와 사회운동 특히 노동에 관한 다수 논문을 출판 하였다.

외 공저

 

 

 

 

 

 

 

서평

책소개

국내에서는 아직 20세기 유럽과 미국 등지의 급진주의적 노동운동의 실제에 관한 연구 글이 종합적으로 소개된 저서가 거의 전무한 실정 무한 경쟁의 후기 산업사회에서 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노동의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산업민주주의의 달성 문제는 오늘날 전 세계 각국의 공통된 정치사회적 과제이다. 그동안 한국사회의 노동운동은 견고한 이론적 기반이나 실제에 관한 과학적 안목 없이 종종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아니면 행동주의적 전술과 양상을 띠어 왔다.

이 책은 20세기 서구 각국의 급진주의 노동운동가들이 추구해 왔던 노동자 자주관리 혹은 경영에 참여라는 목표들이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로 달성 가능한 것인지, 이에 대한 대안적 모델은 어떠한 것인지, 이를 위하여 노동운동의 지도자, 정부의 정책가, 기업의 노사문제 담당자, 혹은 사회 내의 노사분쟁 조정자들이 각각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 산업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학문적으로 진지하게 탐색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아직 20세기 유럽과 미국 등지의 급진주의적 노동운동의 실제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조명한 저서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기에 이 책의 출판은 큰 의의가 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시작된 서국 각국에서의 급진주의적 노동운동과 산업민주주의 달성을 위한 각국의 정책들을 비교사적으로 연구한 결과물

공저자인 게리 훈니우스는 미국과 캐나다의 두 개의 협력단체인 메샤츄세츠 주, 케임브리지의 <케임브리지정책연구소>의 노동자 자주경영에 관한 특별연구과제단과 온타리오 주 토론토의 <사회변화연구소 프락시스>의 노동자관리에 관한 연구과제단의 공동의 연구결과를 『Workers Control : A Reader on Labor and Social Change (New York, 1973)』으로 출판한 바 있다. 이 책에서는 기고문 가운데에서 비교사적인 가치가 많은 논문을 발췌, 번역하였다.


급진주의 노동운동이 가장 중요한 화두로서 추구하는 노동의 경영참여, 혹은 자주경영의 실현을 추구하는 입장과 단체협상 및 노사협동 체제를 통하여 산업민주주의를 달성하고자 하는 개혁적인 방법을 추구하는 입장, 그리고 미국의 신자유주의 전략에 대한 비판적 소개의 글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1장에서는 자주경영의 이론적 근거와 자본주의 체제와의 갈등에 관한 연구를, 2장에서는 프랑스에서 가장 먼저 실험한 사례로서 1890~1910년간에 전개된 프랑스 생디칼리즘 운동의 배경과 사상적 특징 그리고 총파업의 투쟁 전략, 성과 등에 관한 연구를 수록하였다.

3장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전개된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 속에서 등장한 노동자들의 혁명적 노동자관리에 관한 요구와 이에 대한 레닌의 노동정책 사이의 대립과 갈등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러시아 노동자들의 요구와 볼셰비키의 입장 그리고 레닌의 노동정책 사이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자주관리(혹은 자주경영)의 현실적 한계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4장, 5장, 6장에서는 현대의 개혁적 자주경영의 모델로서 캐나다와 스웨덴의 산업 민주주의를 소개하였다. 특히 스웨덴에서는 사회민주주의 하에서 노동과 자본 사이의 협조관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정부의 중재 기구와 모든 산업부문에서의 조직들이 수행하는 역할을 조사하였다.

7장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도입한 독일에서의 노사공동결정 제도의 내용과 성과 및 한계점에 관한 글을, 8장에서는 공산주의 국가인 유고슬라비아에서 실험한 노동자 관리의 방식이 러시아 혁명기 러시아 노동자들의 혁명적인 자주적 노동자관리 운동과는 달리 매우 자치적이면서도 생명력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였음을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다비드 가르손은 닉슨시대 미국정부가 선언한 신자유주의적인 경제프로그램이 작업현장에서의 노동자들의 참여권에 대하여 왜 비관적 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정부정책가, 기업가, 노동자들에게 이론과 실제 면에서 교훈과 합리적 안목을 가지는데 많은 도움
20세기 미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서구 각국 노동자들의 자주관리, 또는 경영에 대한 참여의 권리를 요구하는 급진적인 노동운동, 국가의 노사 정책의 여러 체험을 연구하고 소개함으로서 갈등상태에 빠져들고 있는 오늘날 정부정책가, 기업가 그리고 노동자들에게 이론과 실제 면에서 교훈과 합리적 안목을 가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차례

서언
편집인의 글
1. 자본주의와 노동자의 자주경영 _ 데이비드 엘레르만(David Ellerman)
2. 프랑스 생디칼리즘의 성격(1890~1910) _ 은은기
3. 레닌의 노동정책과 노동자관리(1917~1921) _ 이정희
4. 단체교섭과 산업민주주의 _ 크리스 트라우어(Chris Trower)
5. 현대 노동자 자주경영의 모델:스웨덴 _ 윌프레드 리스트(Wilfred List)
6. 스웨덴의 산업민주주의 _ 라르스 에릭 칼쓴(Lars Erik Karlsson)
7. 서독에서의 노사공동결정 _ 서독노동조합연맹 집행위원회
8. 유고슬라비아 노동자관리 : 본질적인 쟁점들 _ 데이비드 톤키스트(David Tornquist)
9. 노동자관리와 닉슨 경제계획 _ 잭 라스무스(Jack Rasmus)
10. 노동자관리의 정치:회고 _ 데이비드 가르손(David Garson)
참고문헌
저자소개
찾아보기

 

 

 

 

 

 

 

책속으로

 

 

 

 

 

 

 

저자소개

이정희 - 1955년 대구에서 출생하여 경북여고와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랙캄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박사과정(러시아사 및 동유럽사 전공)을 이수하였으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러시아 외무성 모스크바 동방학 연구소의 교환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논문으로 볼셰비키 사회주의와 노동자관리를 집필하였다.

은은기 - 1961년 경북 군위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였으며, 프랑스 소르본느대학교(파리 4대학)에서 프랑스사를 전공하여 DEA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논문으로 르노자동차 공장이 위치한 불로뉴시의 도시정책을 집필하였다.

Gerry Hunnius - 캐나다 토론토의 요크 대학교, 애트킨슨 대학의 사회과학부(Department of Social Science at Atkinson College, York University, Toronto, Canada)에서 강의. <프락시스 : 토론토의 사회변화연구소>의 연구원, 캠브리지 연구소의 부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토론토의 국제학술잡지 『우리세대, Our Generation』의 편집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유고슬라비아의 노동자 자주경영에 관한 글 등을 출판 하였다.

G. David Garson - 터프츠 대학교의 정치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1965년 프린스턴 대학교 학부를 졸업 하였다. 1969년 하바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하였으며, 저서로는 정치학 교재와 사회운동 특히 노동에 관한 다수 논문을 출판 하였다.

외 공저

 

 

 

 

 

 

 

서평

TOP